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가난한 나’의 무섭고 쓸쓸하고 서러운, 그리고 좋은 (The fear, loneliness, sorrow, and liking of ‘Poor me’)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9 최종저작일 2012.09
30P 미리보기
‘가난한 나’의 무섭고 쓸쓸하고 서러운, 그리고 좋은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비평문학회
    · 수록지 정보 : 비평문학 / 45호 / 7 ~ 36페이지
    · 저자명 : 고형진

    초록

    이 글은 백석의 시에 구사된 고빈도 형용사 어휘에 주목하여, 그 시어들이 백석의 시에 어떻게 쓰이고, 백석시의 의미 형성에 어떻게 관여하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쓰여 진다. 백석의 시에 나타난 고빈도 형용사 어휘는 ‘무섭다,’ ‘외롭다/쓸쓸하다,’ ‘슬프다/서럽다,’ ‘좋다,’ ‘가난하다’ 등이다. 이들은 모두 감정형용사들이며, 이러한 성질의 형용사들이 백석의 시에 독특하게 쓰이면서 백석 시의 의미형성에 큰 기여를 한다.
    백석 시에서 ‘무섭다’는 말은 고향체험을 추억하는 유년화자로부터 성년화자에 이르기까지 지속적으로 나타나는데, 이러한 감정의 표출은 인간의 원초적 감정을 자극하며 독자들을 동심의 세계로 이끈다. ‘외롭다/쓸쓸하다’는 성년화자가 삶의 길 위에 드리워져 있는 숙명적인 고독을 표상하고 궁극적으론 “싸움과 흥정으로 왁자지껄한 더러운 세상”과 거리를 두면서 고결한 정신을 얻는 감정으로 격상된다. ‘슬프다/서럽다’는 일상의 체험에서 다양하게 촉발되는 넓은 스펙트럼의 감정인데, 백석 시에서 이러한 감정은 ‘무섭다’와 ‘외롭다/쓸쓸하다’는 감정과 짝을 이루면서 나타나 그러한 일상의 아픔을 넘어 높은 정신적 가치를 지닌 범상치 않은 감정으로 승화된다. ‘좋다’는 백석 시에서 가장 많이 구사되는 감정형용사이다. 백석이 그의 시에서 좋아하는 품목들은 주로 자연물이다. 자연을 구성하는 개별 주체들이 좋다는 감정을 교감 하는 속에서 백석의 맑고 투명한 시가 탄생한다. 자연이 좋은 것은, 그것들이 욕심이 없기 때문이라고 백석은 말한다. 욕심이 없다는 것은 싸움과 흥정으로 왁자지껄한 더러운 세상과 떨어져 지내는 삶의 태도이므로 좋다는 감정도 그 기저에선 순수하고 고결한 정신에 맞닿아 있는 ‘무섭다,’ ‘외롭다/쓸쓸하다,’ ‘서럽다/슬프다’는 감정과 상통한다. 지금까지 구사된 감정형용사들은 모두 ‘가난하다’는 말로 수렴된다. 백석 시에서 ‘가난하다는’ 말은 물질적인 궁핍을 넘어 욕심 없고, 겸손하며, 인정 많은 사람을 가리키는 말로 쓰인다. 백석은 이 말을 주로 나, 엄마, 아버지, 동무 등에 대한 수식어로서 쓰면서 백석이 사랑하는 사람을 규정하는 말로 나타내고, 또 이 말의 함축을 통해 높은 정신적 가치를 지닌 빛나는 연시를 빚어내기도 한다.
    백석은 우리에게 익숙한 감정 형용사로 인간 삶의 가장 소중한 가치를 일깨워줌으로써 일찍이 서정시의 지평을 새롭게 열어 놓았다.

    영어초록

    This thesis analyzes adjective words that are used in Baek―seok’s poetry. The thesis scrutinizes highly used adjective words in Baek―seok’s poems and finds out their meanings.
    The most often used words in Baek―seok’s poetry are as follows: ‘scared,’ ‘lonely/solitary,’ ‘sad/sorrowful,’ ‘like,’ ‘poor’. The word ‘scared’ is used 17 times, ‘lonely’ 5 times, ‘solitary’ 22 times, ‘sorrowful’ 9 times, ‘sad’ 5 times, ‘like’ 27 times, and lastly ‘poor’ 14 times. Most of the adjective words are emotion adjectives. These emotion adjectives play an important role in Baek―seok’s poems,.
    The word ‘scared’ refers to both young speaker and adult speaker. For young speaker, fear is an expression of innocence of childhood and love towards the weak. Therefore, fear makes the Baek―seok’s poetry so pure and beautiful. ‘Lonely/solitary‘ are emotional adjectives that indicate noble spirit apart from the filthy world. ‘Sad/sorrowful’ also refers to high state of consciousness. ‘Like’ is one of the most often used words in Baek―seok’s poetry. The things that he ‘likes’ are mostly natural objects. He likes them because nature has no greed. No greed means being apart from the filthy world which indicates that the emotion of ‘like’ is also based on the pure, innocent and high consciousness. Therefore all of these emotions connect together.
    All these emotional adjectives can be gathered into one adjective word, ‘poor’. In Baek―seok’s poetry, ‘poor’ means selfless, humble and humane. He usually uses this adjective to describe ‘myself,’ ‘mother,’ ‘father,’ ‘friend,’ etc., elaborating the high state of consciousness of the people he loves.
    Baek―seok delivers the most precious value in our life through these adjective word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비평문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2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