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고보리 엔슈의 차회기에 나타난 미의식 연구-데이카와 고전문학을 중심으로- (A Study of the Aesthetic Sense in Enshu Kobori’ s Tea Ceremony)

2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9 최종저작일 2015.07
20P 미리보기
고보리 엔슈의 차회기에 나타난 미의식 연구-데이카와 고전문학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아시아일본학회
    · 수록지 정보 : 일본문화연구 / 55호 / 266 ~ 285페이지
    · 저자명 : 임찬수

    초록

    고보리 엔슈(小堀遠州)는 392회에 이르는 다회(茶会)를 개최하였는데, 다실이나 부속 공간에 중국의 다도구나 문방구, 선승(禅僧)의 그림, 묵적(墨蹟), 일본의 고전작품, 와카(和歌)등을 전시하였다. 특히 일본의 고전작품이 62회에 걸쳐 전시되었다. 특별히 다회를 주최한 엔슈는 중세시인인 데이카(定家)의 필적인 와카 그리고 그의 후손에 의해 필사된 고전작품들을 장식하곤 하였으며 『고킨슈(古今集)』나 『이세모노가타리(伊勢物語)』 가론서(歌論書)등을 들 수 있다. 나아가 데이카의 글씨체를 모방하기도 하고, 다도구에 이름을 붙일 때도 와카의 일부분의 구를 차용하여 짓기도 하였다.
    이와 같은 행동은 데이카에 대한 숭배나 존경에 의한 결과이며, 데이카 가론의 영향이라고 할 수 있다. 엔슈가 중국의 도구나 선승 그림 이외에도 일본의 고전작품을 다실에 장식한 것은 차(茶)에 대한 미의식의 변화를 보여준 대표적이 예이다. 이것은 일본 것과 중국 것의 융합이라는 의미도 있지만, 와비(侘び) 사비(寂び)라는 사상의 발로라는 측면이 있다. 데이카의 미의식으로부터 파생된 미적 개념을 나름대로 다시 발전 변용시킨 것이다.

    영어초록

    Enshu Kobori held tea ceremonies 392times and displayed Chinese equipment for tea, office materials, pictures or writings of Zen priests, Japanese classical literature, and waka in either tea rooms or attached spaces. Works of Japanese classical literature were displayed 62 times. As a host, Enshu used to decorate Teika’s original and transcribed waka, which were copied by the medieval poet’s descendants. Deika’s essay on waka poems by Kokinshu or Isemonogatari is a representative work. Besides, Teika’s calligraphic styles were copied and tea sets were named after specific phrases of the waka poems. One can interpret this behavior as a result of worshiping or respecting Teika and his prevailing influence over the intellectual mainstream. Enshu’s display of Chinese tea-things, pictures of Zen priests and Japanese classical works implies a changed sense of the beauty of tea. Shifts in decorating behavior from Chinese tea-things to Japanese ones, and from Chinese Zen priests’ pictures to Japanese writings and waka, indicate not only a harmonization of thetwosides but also a manifestation of the Wabi ideology, which is a concept derived from Teika’s sense of beau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일본문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1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