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高麗人 宦官 高龍普와 大元帝國 徽政院使 투멘데르(禿滿迭兒)의 관계에 대한 小考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Korean Eunuch Go Ryong-bo(高龍普) and the Minister of Huizhengyuan(徽政院使) of the Yuan Empire Tümender(禿滿迭兒))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9 최종저작일 2015.03
32P 미리보기
高麗人 宦官 高龍普와 大元帝國 徽政院使 투멘데르(禿滿迭兒)의 관계에 대한 小考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사학회
    · 수록지 정보 : 사학연구 / 117호 / 201 ~ 232페이지
    · 저자명 : 권용철

    초록

    본고에서는 대원제국과 고려 말기에 두 국가에서 두드러지게 활동했던 고려인 환관 高龍普와 대원제국의 徽政院使 투멘데르(禿滿迭兒, Tümender)의 관계에 대해 살펴보았다. 기존의 연구들에서는 환관 고룡보가 곧 휘정원사 투멘데르와 동일한 인물이고 고룡보의 몽골 이름이 투멘데르라고 하는 것에 대해 별다른 의문을 제기하지 않았다. 그러나 이러한 설명은 어떠한 뚜렷한 근거가 뒷받침되지 않은 상태에서 단지 추정을 하는 것에 지나지 않는다. 물론, 『元史』에는 휘정원사 高龍卜이라 기록된 곳이 한 군데 있지만 그 신빙성이 불투명하다. 또한, 이 기록으로도 고룡보와 투멘데르가 동일한 인물이라고 단정할 수는 없다.
    그래서 본고는 고룡보와 투멘데르의 관계를 재검토하기 위해 우선 고룡보의 행적을 살펴보았다. 사실, 대원제국과 고려 양국에서 뚜렷한 활약을 한 것 치고는 고룡보에 대한 기록은 그리 많지 않다. 다행히 『高麗史』에는 고룡보의 열전이 있지만, 그마저도 고룡보의 출생이나 그가 대원제국으로 들어가게 된 배경 등에 대한 설명은 없다. 『高麗史』 이외의 자료들에서 다양한 이름으로 散見되기는 하지만, 그의 행적을 상세하게 복원하는 데는 많은 어려움이 존재한다. 하지만, 이러한 자료들 중에서 고룡보의 몽골식 이름이 투멘데르였다는 기록은 확실히 존재하지 않고, 고룡보가 투멘데르와 동일한 인물이라고 단정하게 만드는 기록은 더더욱 보이지 않는다.
    이에 필자는 아예 고룡보가 아닌 다른 인물에 주목하였다. 『稼亭集』에 나오는 禿滿達이 투멘데르와 동일한 인물일 가능성이 높다고 본 것이다. 가정집의 저자 李穀의 기록은 독만달이 1300년에 대원제국에 들어온 이후 至正 5년(1345)까지 고위 관료로서 은총을 받는 혜택을 누렸고, 이에 돌아가신 부모님을 위한 사당을 짓기 위해 이곡에게 부탁하여 지어진 것이다. 독만달은 대원제국에서 여러 관직을 거쳤는데, 이곡은 굳이 그를 徽政公이라고 불렀다. 휘정공은 휘정원사를 의미하는 것이고, 이는 독만달의 대표 관직이 휘정원사였음을 뜻한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또한, 독만달이 환관이었을 가능성이 높음을 보여주는 기록들도 있어서 투멘데르가 고려인 환관이라고 서술했던 『庚申外史』의 내용과도 맞아떨어진다. 그리고 독만달이 휘정원사에 있을 때 賢能한 자를 추천하는 것을 자기의 임무로 삼았다는 내용은 기황후를 궁녀로 추천한 투멘데르를 연상시키는 대목이라고도 할 수 있다.
    한편, 고려의 자료에 기록된 禿滿達과 『元史』의 禿滿迭兒가 과연 같은 人名에 대한 다른 표기인지가 문제가 될 수 있는데, 이는 고려의 자료에서 몽골인 인명을 쓰는데 활용한 達의 또 다른 용례를 살펴보면서 우리말의 達이 중국어와는 달리 ‘da’와 ‘r’ 발음을 한꺼번에 표현하고 있음을 확인하여 禿滿達과 禿滿迭兒는 같은 인명에 대한 다른 표기임을 주장하였다. 아마 고려 측의 자료와 중국 측의 자료에 대한 비교 작업을 계속 수행하게 되면 이와 비슷한 사례들이 또 발견될 가능성이 높다. 앞으로 대원제국-고려 관계의 구체적인 역사를 들여다보기 위해서는 두 국가의 자료에서 발견되는 같은 인물에 대한 다른 표기 방식을 추적하고 이를 비교 분석하는 과정이 반드시 필요할 것이라 생각된다. 특히, 대원제국 시기의 자료에는 같은 인물을 다른 한자로 표기한 사례 혹은 동명이인이 많이 발견된다. 그래서 대원제국과 고려의 관계에 관여한 사람들의 이름을 분별하는 작업이 결코 쉬운 것은 아니다. 이에 본고는 추후에 이루어질 상세한 연구들을 위한 試論으로서 우선 투멘데르가 누구인지를 밝혀내어 고룡보와는 전혀 다른 사람이었음을 드러내고자 한 것이다.

    영어초록

    This paper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Korean eunuch Go Ryong-bo(高龍普) and the Minister of Huizhengyuan(徽政院使) Tümender(禿滿迭兒), who prominently acted in the each two nations during the late Goryeo Dynasty and late Yuan Empire. Previous studies did not raise any particular doubts about relationship between eunuch Go Ryong-bo and Minister of Huizhengyuan Tümender. Indeed, they are not the same person and we do not know Go Ryong-bo’s Mongolian name. Existing suggestion is no more than an assumption that is not backed up by distinct sources. Of course, in the History of Yuan Dynasty(『元史』), there is one part that recorded Gao Long-bu(高龍卜) as the Minister of Huizhengyuan, but its credibility is not high. In addition, it cannot be asserted that Go Ryong-bo and Tümender are actually the same person even by this record.
    Therefore, this paper investigated Go Ryong-bo’s career first in order to re-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Go Ryong-bo and Tümender. In fact, there are not many records about Go Ryong-bo except that he performed special political acts in both countries of the Yuan Empire and the Goryeo Dynasty. Fortunately, there is a biography of Go Ryong-bo in the History of Goryeo Dynasty(『高麗史』); however, there is no detailed account about even his birth or the background that made him enter to the Yuan Empire. Although he is found here and there in various names in the materials other than the History of Goryeo Dynasty, there are many difficulties in restoring his career in detail. In addition, the record that the Mongolian name of Go Ryong-bo was Tümender does not apparently exist in these materials, and even the record that makes assertions that Go Ryong-bo and Tümender are the same person has never been found.
    Therefore, I paid attention to another person. I am thinking that Dokmandar(禿滿達) appearing in the Gajeongjip(『稼亭集』) is more likely to be the same person as Tümender. The record by Lee Gok(李穀), the author of the Gajeongjip, was written at the request of Dokmandar, who received benefit as a high-ranking official until the fifth year of Zhizheng(至正)(1345) after he entered the Yuan Empire in 1300, to build a shrine for his dead parents. Dokmandar served in various government posts in the Yuan Empire, and Lee Gok obstinately called him Prince of Huizheng(徽政公), which means the Minister of Huizhengyuan, and it is thought that Dokmandar’s representative public post can be safely said to be the Minister of Huizhengyuan. In addition, there are records that indicate the high possibility of Dokmandar’s being a eunuch, of which content is consistent with the Unofficial History of Emperor Gengshen(『庚申外史』) that described Tümender as a Goryeo eunuch. The record that Dokmandar made it his mission to recommend benevolent and talented persons when he served as the Minister of Huizhengyuan can be regarded as the passage that is reminiscent of Tümender who recommended Empress Ki as a court lady.
    On the other hand, whether Dokmandar recorded in the Goryeo materials and Tümender appeared in the History of Yuan Dynasty are really the different expressions for the same name can be a problem. By confirming that the pronunciations of ‘da’ and ‘r’ are expressed all at once for ‘達(dar)’ in the Korean language differently from the Chinese language while investigating other examples of ‘達’ utilized in writing Mongolian names, it was asserted that Dokmandar and Tümender were the different representations of the same name. Similar examples are highly likely to be found if comparisons between the Goryeo’s materials and Chinese materials are continuously performed. In order to look into the specific histor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Yuan Empire and the Goryeo Dynasty, it is thought that the processes of tracking different representation methods for the same person found in both of the two countries’ materials and comparatively analyzing them are absolutely necessary. In particular, a lot of examples of representing the same person in different Chinese characters or different persons with the same name are found in the materials during the Yuan Empire. Therefore, it is not easy to discriminate the names of the persons involv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Yuan Empire and the Goryeo Dynasty at all. As an essay for the detailed studies that will be conducted in the future, this paper intended to first determine who Tümender was in order to reveal that he was completely a different person from Go Ryong-bo.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사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07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2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