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삼국지』 배송지 주와 『위략』 고조선 관련 기사 (Old Choson(古朝鮮) Related Passages in the Sanguozhi(三國志) Commentary by Peisongzhi(裵松之) and the Weilue(魏略))

3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9 최종저작일 2012.09
31P 미리보기
『삼국지』 배송지 주와 『위략』 고조선 관련 기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중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한국학 / 35권 / 3호 / 145 ~ 175페이지
    · 저자명 : 오강원

    초록

    전근대 시기 『위략(魏略)』은 『삼국지(三國志)』 배송지(裵松之) 주와 함께 잡다하고 번잡한 사서로 혹평되었다. 이러한 혹평은 이들 사료의 사료적 가치마저 부정하거나 무시하는 경향을 띠게 되었다. 그러나 『위략』을 인용하고 있는 『삼국지』배송지 주는 다양한 사료를 교차 비교하는 방식을 통해 철저한 고증을 진행하였고, 이 과정에서 오늘날에는 전하지 않는 많은 사료를 소개하고 있다는 점에서 그 가치가 다시금 재평가되고 있다. 『위략』 또한 『사기(史記)』·『한서(漢書)』에서 소홀하게 다루어지거나 서술 범위를 벗어난 시기의 고조선 관계 기사를 포함하고 있다는 점에서 결코 무시할 수 없는 사료적 가치를 지니고 있다.
    그런데 『위략』의 고조선 관계 기사는 어환(魚豢)의 신분을 고려할 때 기존의 신뢰할 만한 권위 있는 사서를 참고한 것이 분명하다. 이와 관련하여 주목되는 것이 동한(東漢) 명제(明帝) 때부터 편찬되기 시작하여 동한 말 채옹(蔡邕)이 최종 속보한 『동관한기(東觀漢記)』이다. 그런데 『동관한기』에는 「동이전」이 별도로 입전되어 있지 않았다. 이와 함께 배송지 주의 부여 관련 『위략』 인용문에서 ‘구지(舊志)’를 언급하고 있는 것으로 보아, 『동관한기』 「지리지」에 삽입되어 있는 고조선 관계 기사를 참고하였던 것으로 판단된다. 이렇게 볼 때 『위략』의 “취지이천여리(取地二千餘里)” 기사 또한 역사적 해석은 별도로 하더라도 사료적 출처가 분명한 기사로 보아야 할 것 같다.

    영어초록

    In the pre-modern period the Weilue and the Sanguozhi commentary by Peisongzhi were harshly criticized as a sundry and complicated historical text. These criticisms tended to dismiss and ignore the historical value of these texts. However, the Sanguozhi commentary by Peisongzhi which cites the Weilue, adopted thorough investigation by comparing diverse historical material, and in the process has introduced much historical material which are no longer extant and therefore the value of this text is being re-evaluated today. The Weilue likewise includes material carelessly treated and outside the time period covered by the Shiji and Hanshu related to Old Choson and has historical value which must not be ignored.
    It is clear that considering the social standing of Yuhuan, the Old Choson chapter of the Weilue consulted reliable and authoritative historical texts of that period. What is worth notice in this respect is the Dongguanhanji, which began to be compiled during the reign of emperor Mingdi of the Eastern Han and the final draft completed by Chaiong of the late Eastern Han. However there is no chapter on eastern barbarians in the Dongguanhanji. As seen from Peisongzhi mentioning an“old record”in the citation related to Buyeo, it seems he had consulted passages related to Old Choson in the geography chapter of the Dongguanhanji or the chapter on Old Choson. Therefore, the passage “acquired 2,000 li of territory” in the Weilue, aside from historical interpretation must be seen as a passage having a authentic historical sourc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6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