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중국계 역사 교과서의 조선시대 서술 분석 - 중국 · 대만 · 홍콩을 중심으로 - (Descriptions of the Chosŏn Period Found in China History Textbooks - With a special focus on textbooks from China, Taiwan, and Hong Kong)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9 최종저작일 2009.12
34P 미리보기
중국계 역사 교과서의 조선시대 서술 분석 - 중국 · 대만 · 홍콩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국대학교 동국역사문화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동국사학 / 47호 / 197 ~ 230페이지
    · 저자명 : 장희흥

    초록

    중국계(중국, 대만, 홍콩) 역사 교과서의 조선시대에 대한 서술은 서술상은 다분히 중화주의적 경향이 강하다. 중국이 문화를 전파하거나 전래한 것을 중점으로 서술하고 있다. 제도, 문자, 학문, 종교 등 다양한 부분에서 전파되어 조선에 많은 영향을 받았다고 서술하고 있다. 자고이래로 중국의 영향을 받았던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이러한 제도가 한국에 전래된 후 중국의 그것을 그대로 수용한 것도 있지만 한국식으로 변경한 것 역시 많이 있다. 일부 학문이나 문화가 중국에 다시 유입된 것을 서술하여 상호 교류가 있었던 것을 인정하였으나 유학의 전래와 같이 오늘날까지 그대로 생활에 적용되고 있다는 오류가 있다.
    정치사 부분에서 이성계가 조선을 건국하였다는 부분만을 서술하고 있다. 이후 훈구와 사림에 대한 서술에서 붕당이라는 용어를 사용하고 있다. 붕당이라는 용어는 선조대 이후가 적절하며, 사림파가 서원 출신의 귀족자제라고 한 부분 역시 붕당정치기 사림에 대한 설명과 혼동되어 있다. 한성과 평양을 양대 도시로 설명한 부분 역시 한성과 개성으로 수정되어야 할 것이다. 토지제도 역시 사유제를 국유제로 잘못 서술하고 있으며, 당의 균전제가 실제 도입된 것처럼 서술하고 있다. 대외관계에 대부분은 임진왜란에 대한 설명이다. 이순신과 의병의 활동을 상세히 서술하였다. 그러나 대부분 이순신과 함께 싸우다 전사한 등자룡에 주목하고 있다. 그리고 조선을 중국으로 속국으로 서술하는 오류도 존재한다.
    한자의 전래, 학문과 종교의 전래, 활자 등을 중요하게 부각시키고 있다. 이후 유교경전의 전래와 수용으로 도당유학생, 교육과 과거제도의 수용을 강조하였다. 그러나 유학의 학습하는 향교와 서원이 있다고 하거나 오늘날 유학이 젊음이의 기본 가치관이라고 한 것은 과도하게 해석한 부분이다. 그러나 일방적인 전파가 아닌 한글창제, 동활자의 주조, 동의보감 등 조선에서 더 발전한 것이나 중국에 전래된 것 역시 사실적으로 설명하고 있다.

    영어초록

    This study analyzes the descriptions of the Chosn period found in the history textbooks of East Asian countries (China, Taiwan, and Hong Kong). First, the descriptions of the Chosn period contained in the history textbooks from these three countries can be said to reflect a clear Sinocentric worldview. For example, they focus heavily on China’s conveyance of its institutions, writing system, scholarly works, and religions to Chosn, thereby implying that Chosn was greatly influenced by China. While it is true that Korea was long influenced by China, many of the items which were conveyed to Korea were not accepted as is, but rather transformed into something uniquely Korean. Although history textbooks recognize the fact that mutual exchanges took place between Korea and China and that some cultural and academic fields were reintroduced from the former to the latter, they also claim that a great amount of the culture imported from China, including Confucianism, was accepted as is, and continues to permeate throughout Korean society today.
    Second, in the political field, the history textbooks from these three countries tend to focus solely on Yi Snggye’s founding of Chosn while omitting the situation that prevailed during the transfer from the Ming to theQing dynasties. They also use the term pungdang (political factions) in their descriptions of the period marked by the hun´gu (meritorious elite) and sarim(forest of scholars, Neo-Confucian literati). However, the term pungdang can in reality only be applied to the period that began with the reign of King Snjo. The members of this early sarim faction are described as having been the descendents of aristocrats who studied in swn (private academies); however, there appears here to be some confusion with the members of the sarim that emerged during the period offactionalism-based politics. There is also a need to amend the descriptions of Hansng and P´yngyang as the two biggest cities in Chosn to Hansng and Kaesng. The private land system is also erroneously described as having been a national one. Moreover, Chosn is inaccurately described as having been a vassal of China.
    Third, as far as the Hideyoshi Invasions (imjin waeran) are concerned, all three countries’ history textbooks tend to perceive the background to the war in a similar manner and to highlight the activities of Admiral Yi Sunsin and the righteous armies (ŭibyng). Nevertheless, the majority of these entries focus on the role played by General Deng Zilong, who was killed in battle while fighting alongside Yi Sunsin.
    Fourth, all of these countries emphasize the role played by Chinese characters, scholarly works, religions, and moveable type in conveying civilization and culture to Korea. They also emphasize the fact that the conveyance and acceptance of Confucian scriptures in Korea made it possible for a great number of people to study in Tang, and paved the way for the acceptance of China’s education and civil service examination (kwag) systems. However, these textbooks also contain the outlandish claims that Korean students continue to attend hyanggyo (county public school) and swn (private academies) to learn about Confucianism, and that Confucianism remains the basic value structure of today’s younger generations. On the other hand, they correctly argue that the development of the hangŭl system, the establishment of copper type printing, and the introduction of the <Tongŭi pogam (Exemplar of Korean Medicine)> prove that cultural conveyance was not a one-sided affair.
    As such, the descriptions of the Chosn period found in these three countries history textbooks are based on a Sinocentric worldview. Viewed from a historical standpoint, there can be no denying that a great deal of China’s culture was conveyed to Chosn. Moreover, many of these textbooks also make ample reference to Chosn’s influence on China. Nevertheless, the continued presence of erroneous descriptions and misperceptions renders it necessary to bring about modifications to these textbook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국사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3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