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리모델링관련 국내 선행연구 경향 분석 -디자인 및 계획계 문헌을 중심으로- (Analysis of Domestic Research Trend on Remodeling -Focused on Design and Planing Research-)

1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9 최종저작일 2019.04
12P 미리보기
리모델링관련 국내 선행연구 경향 분석 -디자인 및 계획계 문헌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 14권 / 2호 / 167 ~ 178페이지
    · 저자명 : 이소연, 유성은

    초록

    (연구배경 및 목적) 리모델링은 친환경성과 경제성 등 다양한 장점 덕분에 노후화된 건축문제를 해결할 대책으로 주목받고 있다. 그러나 기존 건축물의 틀에서 작업해야 하는 리모델링은 신축이나 재건축보다 디자인 개선 및 계획에 한계가 있어 차별화된 대안이 필요하다. 따라서 관련 연구를 통해 개선안을 찾는다면, 리모델링 산업을 발전시킬 뿐 아니라 국내 노후 공간을 개선하는 데에도 큰 도움이 될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리모델링 연구 중 디자인 및 계획계 문헌의 동향을 파악하여 향후 연구들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기존 연구의 문제점 및 보완점을 찾아 리모델링 연구의 발전을 도모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리모델링의 개념 및 정책 변화를 살펴보아 본 연구를 분석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한다. 기존의 리모델링 연구를 게재연도, 키워드, 연도별 키워드, 연구방법, 연구결과의 유목(類目)별로 나누어 경향을 내용 분석(content analysis)한다. 구체적으로 빈도 분석 및 게피(Gephi)프로그램 을 통한 네트워크 분석을 한다. 연구의 대상이 되는 리모델링 관련 문헌을 추출하기 위해 학술데이터베이스(DB)에서 제공하는 디자인 및 계획계 관련 논문 100편을 전수 조사하여 그 성향을 파악하였다. (결과) 첫째, 리모델링 연구는 2000년도 초반부터 증가 추세를 보이다가 2008년 이후 하락세를 나타냈다. 이는 2000년대 초반 실시된 리모델링 지원 정책과 2008년 재건축 규제 완화 정책 등 해당 시기의 정책적 영향을 많이 받은 것으로 사료된다. 둘째, 공동주택 리모델링과 관련된 연구가 가장 많았으며 해당 연구의 영향력도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연구에서 공동주택 연구가 차지하는 비율은 점차 감소하고 있는 데 반해 다른 분야에 관한 연구는 다양하게 진행되고 있다. 친환경 리모델링, 교육시설, 의료시설, 노인 관련 연구가 활발히 진행 중이며 도시재생 관련 연구가 최근 대두하였다. 셋째, 연구방법은 기존 리모델링에 대한 사례조사가 가장 많았는데, 다방면의 연구결과 도출을 위해 앞으로 다양한 조사방법이 시도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아울러 소비자의 요구를 파악하여 리모델링 방안을 제시하기 위해서는 면접조사나 설문조사 등 심층 분석 조사가 더욱 활발해져야 한다. 넷째, 연구 결과는 기존 공간을 분석 및 평가하고 이에 대한 지침 및 방향을 제시하는 경우가 많았으며, 특징적으로 정책 및 제도 제시를 위한 연구가 다수 있었다. (결론) 리모델링 디자인 및 계획의 연구는 다른 공간디자인 연구와 다르게 정책 및 제도와 긴밀한 관계를 보이는 것이 가장 특징적이다. 공동주택 연구가 다수를 이루었으나 이는 점차 축소되고 연구의 주제가 사회·문화적 요인으로 다양화 되고 있는 중이다. 연구의 방법 및 결과으로 살펴보았을 때 기존 사례를 분석 및 평가하는 연구가 가장 많아 더욱더 다양화된 연구 주제 및 방법을 시도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리모델링 관련 연구를 종적 횡적으로 발전시킬 필요가 있다.

    영어초록

    (Background and Purpose) Remodeling, as a measure to resolve deteriorating construction issues, is attracting attention for its various strong points such as eco-friendliness and economic efficiency. It is anticipated that finding improvement based on relevant studies would be highly helpful in developing the remodeling industry and making domestic deteriorated spaces better. This study, therefore, aims to provide basic data for further studies by analyzing the trends in the design and planning literature of remodeling research. This study also intends to address problems in existing studies and issues to remedy and promote the development of remodeling research. (Method) This study aims to provide basic study for analysis by examining the concept of remodeling and the political changes. To achieve the study purpose, content analysis of the existing remodeling studies was conducted after classifying them depending on the years of publication, the keywords, the study methods, and the study results. To be specific, frequency analysis and Gephi program-based network analysis were performed. For collecting literary data regarding remodeling, 100 papers on design and planning provided by Library Database (DB) were all investigated and the tendencies were analyzed. (Result)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remodeling studies began to increase in the beginning of 2000, but they have entered a downturn since 2008. It is considered that this was caused by the political effects of the times, such as the remodeling support policy enforced in the early 2000s and the reconstruction deregulation policy of 2008. Second, the studies on apartment remodeling occupied the largest proportion and they had the highest influence as well. The proportion of the studies on apartment housing has been gradually declining, whereas diverse studies on other fields are under way. Third, case studies on existing remodeling occupied the biggest proportion of the study methods. This means a variety of research methods needs to be attempted to obtain study findings from various angles. Fourth, the majority of the study results were to analyze and evaluate the existing spaces, and provide the related guides and directions.(Conclusion) The major characteristic of the remodeling design and planning studies is that they have close relations with policies and systems, unlike other space design studies. Besides, the proportion of the apartment housing studies has been reducing by gradation and the study topics have been diversifying, covering social and cultural factors. When it comes to the study methods and results, the majority of them were to analyze and evaluate the existing cases and this demonstrates there is a need to deal with more diversified study topics and method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4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