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증산계 신종교의 의례와 상징에 관한 연구 - 치성의례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rituals and symbols of New Religion of Jeungsan)

4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9 최종저작일 2016.12
42P 미리보기
증산계 신종교의 의례와 상징에 관한 연구 - 치성의례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 수록지 정보 :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 70호 / 353 ~ 394페이지
    · 저자명 : 백경언, 이경원

    초록

    증산계 신종교는 조선말 활약했던 강증산(姜一淳, 1871~1909)을 신앙하는 종교단체를 말한다. 한때 교세가 대단한 경우도 있었으나 2015년 조사에 의하면 17개 정도의 교단이 활동 중인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들 교단 중에서 인터뷰가 가능했던 교단을 중심으로 치성의례의 상징을 분석하여 일단의 신종교현상을 이해하고자 한다.
    치성은 고대 국가적 차원에서 천신에 감사의 제사를 드리는 행사가 변모를 거듭하여 교리는 물론 성직자 조직도 없는 민간차원에서 신(神)에게 감동을 줄 제물을 갖추고 ‘제(祭)를 지낸다.’는 말로 행해져 한국인의 서민적 정서가 담겨있는 제의형식이다. 한국 신종교로서 증산계 신종교의 치성은 이러한 민족문화전통을 계승한 측면이 있다. 그러므로 증산계 신종교의 치성의례와 의례에 내재한 상징분석은 증산계 신종교의 종교 문화적 특징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리라 본다.
    증산계 신종교 치성의례에서 치성물은 민족문화의 전통을 계승하면서도 “신(神)은 사람이 먹는 데로 흠향한다.”는 것과 연관하여 ‘맛있는 것이 좋은 것’이라는 증산의 교설이 반영되고 있다. 복식에서는 색과 형태의 구성을 통해 정음정양을 상징함으로써 완성된 남성과 여성상을 나타낸다. 장소는 후천의 개벽 문명이 각기의 치성 장소를 중심으로 펼쳐진다는 우주적 중심으로서의 상징성을 강하게 지니고 있다. 치성의 시간은 새로운 기운이 동하는 때에 시행하고 있어 새롭게 도래할 후천을 고대하고 암시하는 면이 있다. 치성에 쓰이는 말과 글은 기성의 종교 주문을 원융하는 포용력을 보이면서도 태을주를 공통으로 송주하는 특징을 보인다. 치성 시의 몸짓으로 배례는 하늘과 땅의 기운을 인간에게 모으는 상징성을 지니고 있어 교리적 이상을 행위로 구현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이러한 특징은 타 종교문화에 배타적이지 않은 한국문화전통을 계승하는 측면에서 종교화합의 선례라 할 수 있으며, 또 후천개벽이라는 완성을 지향하고 있어 미래에 대한 비전 제시라는 측면에서 한국 신종교의 가치를 드러내고 있는 점으로 보인다.

    영어초록

    New Religion denominations of Jeungsan are the religious groups that believes in Kang Jeungsan(1871-1909) who was active during the late Joseon dynasty. They once had a strong presence in Korea and it was confirmed in the 2015 research that there about 17 religious groups. This study tried to understand the phenomena of New Religion through analyzing the symbols represented in Chiseong(ceremonial ritual) of some religious groups with whom I was able to interview.
    Chiseong was originally a national ceremony in the ancient times for showing gratitude to Heavenly gods. Then it went through a lot of changes to become a Korean ritual for common people who, without any help from religious leaders, prepared offerings and performed ‘ceremony ritual’ for gods. In a way, Chiseong of New Religions of Jeungsan inherited such national cultural tradition. Therefore, an analysis on symbols shown in their Chiseongs and other rituals will help understand the religious cultural characteristics of New Religions of Jeungsan.
    Offerings used in Chiseong in New Religions of Jeungsan inherited the national cultural tradition and reflected the teachings of Jeunsan who said “it is better to prepare good offerings because gods eat what humans eat.” The dresses for Chiseong have colors and designs that symbolize the right Yin and right Yang, which indicates the perfect form of masculine and feminine. The place of Chiseong has a strong symbol as the center of the universe, which shows that all places of Chiseong are where the new civilization of Later World will be unfolded. The time of Chiseong is when the new energy is initiated and thus implies the coming Later World.
    Words and writings used in Chiseong have a common characteristic of reading Taeeulju incantation while accepting incantations of other existing religions. The body movement shown in Baerae(bowing) during Chiseong has a symbol of collecting the energy of Heaven and Earth and shows the bodily manifestation of their religious ideal. These characteristics can be the example of making harmony between religions as they inherits Korean cultural tradition that is not exclusive to other religious cultures. Also, as they pursue the perfection with the new opening of Later World, Korean New Religions have a value in providing the vision for the futur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영화 <퍼스트 라이드.> 시사회 초대 이벤트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5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1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