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정유재란사(丁酉再亂史) 연구에 관한 한일학계 연구의 현황 (The History of Research on the Jungyu War in Korea and Japan)

5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9 최종저작일 2020.09
52P 미리보기
정유재란사(丁酉再亂史) 연구에 관한 한일학계 연구의 현황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연세사학연구회
    · 수록지 정보 : 학림 / 46권 / 153 ~ 204페이지
    · 저자명 : 조인희

    초록

    본고는 정유재란사 연구에 대한 연구사 정리다. 본고에서는 근래의 연구를 중심으로 정유재란사 연구의 현황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문의 내용은 크게 두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첫 번째 부분에서는 임진왜란, 정유재란의 원인에 대한 한일학계의 연구사를 정리하여 임진왜란, 정유재란 원인론에 대한 기존의 학설을 검토해 보고자 하였다. 두 번째 부분은 정유재란사 연구의 세부 논점으로 총 12개의 각론으로 구성되어 있다. ① 도요토미 히데요시 책봉 문제 및 교섭 결렬의 원인 ② 정유재란기 명군(明軍)의 파병 ③ 정유재란기의 의병(義兵) ④ 칠천량 해전(漆川梁海戰)과 이순신(李舜臣)의 수군 재건(1597.7) ⑤ 황석산성(黃石山城) 전투(1597.8) ⑥ 남원성(南原城) 전투(1597.8) ⑦ 명량(鳴梁) 해전(1597.9) ⑧ 울산성(蔚山城) 전투(1597.12~ 1598.1) ⑨ 순천(順天) 전투(1598.9~1598.11) ⑩ 사천(泗川) 전투(1598.9~10월 초) ⑪ 노량(露梁) 해전(1598. 11.18.~19) ⑫ 정응태 무고 사건(1598.6, 1598.9)이다.
    본고의 연구사에서 다루지 못했거나 좀 더 연구되어야 한다고 판단되는 부분은 다음과 같다. ① 시기 구분의 세분화 ② 정유재란기 조선 조정의 동향에 대한 연구 ③ 임진왜란, 정유재란의 발발 원인에 대한 고찰 ④ 정유재란기 일본군의 전략 변화에 대한 고찰

    영어초록

    The following essay discusses the historiography of the Jungyu War. The main focus of this essay is the current trends in Jungyu War historiography.
    The essay consists of two main parts. The first part reviews theories on the causes of the Imjin War and the Jungyu War. The second part discusses 12 aspects of the Jungyu War: 1. the installment of Toyotomi Hideyoshi and why negotiations broke down; 2. why the Ming army was dispatched during the Jungyu War; 3. the Battle of the Righteous Army during the Jungyu War; 4. the battle of Chilchunryang and reestablishment of the Joseon navy; 5. the Battle of Hwangseoksanseong; 6. The Battle of Namwonseong Fortress; 7. the Battle of Myoungryang; 8. the Battle of Ulsan Fortress; 9. the Battle of Suncheon; 10. the Battle of Sacheon; 11. the Battle of Noryang; and 12. Jung Yin Tai's false accusation.
    The aspects of the Jungyu War that this essay does not addressed but that should be studied further include: 1. the stalemate period; 2. the political geography of the Joseon government; 3. the causes of the Imjin and Jungyu Wars; and 4. the Japanese army’s strateg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5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