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한국 최초의 절기 설교집 종교계 저명사 강연집에 대한 연구 (A Study of the Frist Seasonal Sermon Collection in Korea)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9 최종저작일 2018.09
28P 미리보기
한국 최초의 절기 설교집 종교계 저명사 강연집에 대한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실천신학회
    · 수록지 정보 : 신학과 실천 / 61호 / 147 ~ 174페이지
    · 저자명 : 한경국

    초록

    일제강점기 이었던 1922년 7월 출간된 종교계 저명사 강연집 (宗敎界 著名士 講演集)은 총 20편의 설교 중 5편의 절기 설교를 수록하고 있는 한국 최초의 절기 설교집 이다. 아울러 1921년 7월 에 출간된 한국 최초의 설교집 백목강연에 이어 나온 한국교회의 두 번째 설교집이다. 종교계 저명사 강연집은 편집인 한석원이 직접 설교현장에 참여하여 녹취한 설교문 을 수록한 것이기 때문에 당시 설교 현장의 생생한 음성을 되새길 수 있는 특별함이 있다. 아울러 3.1운동 이후 일제에 대한 저항심이 은연중 드러나는데 총 20명의 설교자중 7명이 3.1운동에 민족대표로 참여한 분들이며 조선총독부의 검열에 걸려 삭제된 부분을 편집 없이 그대로 싣고 있다는 점은 역사적 사료로서 그 가치가 높다. 우리는 종교계 저명사 강연집을 통해 ‘설교’라는 용어가 일제 강점기 당시 여러 가지 다른 용어와 함께 혼용되다가 점진적으로 오늘날의 용어로 정착되었음을 다시 한 번 확인 할 수 있다. 아울러 일제강점기 초기 선교사들의 영향을 받아 주제설교의 형태가 주로 사용 되어 왔고 구약보다 신약의 본문이 더 빈번히 사용되었음을 확인 할 수 있다. 종교계 저명사 강연집에 대한 연구를 통해 우리는 한국교회 절기설교의 초기 형태가 오늘날과는 많이 다른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즉 오늘날의 일반적 절기 설교는 절기의 유래 등에 대해 설명하고 성경의 내용을 해당절기와 관련해서 풀어내는 특징을 보이는데 종교계 저명사 강연집에 나타난 한국교회 초기 절기설교 형태는 절기에 대해 특별한 언급이 없이 서론과 본론을 이끌어가다가 결론부에 가서 설교자가 의도한 주제들과 절기를 몇 문장으로 연계시키는 특징을 보인다. 그리고 설교의 도입부에 생활 예화를 함으로서 회중의 관심을 유발한 후 점진적으로 설교의 주제로 이끌어가는 설교기법을 사용하고 있다. 본 소고에서는 우리나라 절기 설교집의 시초이면서 두 번째 발행된 설교집인 종교계 저명사 강연집에 대한 심층적 연구를 통해 초기 한국교회 설교들과 그 특징들에 대해 살펴보고 21세기 한국교회 설교자들을 위해 적용할 점을 생각해 본다.

    영어초록

    The Jonggyogae Jaemyungsa Gangyeonjip; the Sermon collection by renowned preachers of Religious Circle has twenty sermons including 5 seasonal sermons. The collection was published in July 1922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he book is the first seasonal sermon collection in Korea and the second sermon colletcion of Korean church followed by the Paikmok Kangyun. The Jonggyogae Jaemyungsa Gangyeonjip  was a transcript of tape-recording by the editor Han Seokwon, who attended  the actual places of preaching. This makes the book special that the book reminds the readers of the vivid voices of the preachers. The book also secretly reveals the spirit of resistance of the 33 Korean leaders, including seven pastors, against the Japanese empire. It shows several parts of deletion by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without any editing. Therefore, the book is a valuable historial records of Korean history.
    From the Jonggyogae Jaemyungsa Gangyeonjip, we can confirm that there were various terms, which indicated today’s ‘preaching.’ As time went by, the term ‘preaching’ was accepted as today’s meaning.  Moreover, the topical preaching was widely used as one of the representative preaching styles in Korean church, which was influenced by Western missionaries. Moreover, this study confirms many preachers' tendency to select the New Testament over the Old Testament.  Through this study, we will see some different features between the seasonal preaching in the Jonggyogae Jaemyungsa Gangyeonjip and current seasonal preaching style.
    Furthermore, sermons in the book reveal some features such as using a life story in the introduction. Through the study about the Jonggyogae Jaemyungsa Gangyeonjip, we will examine sermons of the early Korean church and some applicable-useful points for the 21st centuries’ Korean preacher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신학과 실천”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4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