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시조에 나타난 봄의 형상-四時歌系 연시조를 중심으로- (Representations of spring in Literature -Focus on Sasigagyeo Yeonsijo -)

2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9 최종저작일 2015.06
27P 미리보기
시조에 나타난 봄의 형상-四時歌系 연시조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중앙어문학회
    · 수록지 정보 : 어문론집 / 62권 / 217 ~ 243페이지
    · 저자명 : 김상진

    초록

    계절은 봄으로부터 비롯된다. 계절은 자연이란 대상에 시간적 질서를 부여한것이다. 그러므로 시조에 등장하는 봄의 형상을 조망하려는 본고의 취지는 궁극적으로는 자연에 대한 관심으로 확대할 수 있을 것이다. 그 중에서도 자연을 인식하는 다양한 태도에 대한 관심이다. 동일 대상에 대한 인식의 차이에 주목하는 만큼, 연구의 대상 작품 또한 계열화가 가능한 일련의 사시가계 연시조를 중심으로 하였다.
    시조에 나타난 봄은 크게 세 가지로 범주화 할 수 있다. 이념의 정립과 관념의 봄, 전통의 계승과 관습의 봄, 그리고 현실의 인식과 행동하는 봄이 그것이다.
    이 세 가지 범주는 시대적 추이나 사회적 인식과 관계를 맺게 된다. 국가의 기강이 확립되어가고 성리학의 이념이 지배적이던 시기였던 조선 전기 시조에 등장하는 봄은 관념의 대상이다. 그래서 봄을 노래하되 그것으로써 자신의 이념을드러내게 된다. 조선 후기로 접어들며 현실의 문제가 부각됨에 따라 시조에 등장하는 봄의 형상에도 변화가 생긴다. 즉, 봄을 현실적으로 인식하며 행동의 계절로 묘사하는 것이 그것이다.
    관념의 봄과 행동하는 봄이 조선 전, 후기로 구분되며 횡적관계를 이루고 있다면 관습의 봄은 집단이나 사회에서 통용되는 전통의 계승과 긴밀함을 맺으며종적으로 나타난다. 그 대표적인 예로 일련의 어부가계 연시조를 꼽을 수 있는데, 윤선도의 <어부사시사>에 등장하는 봄에는 ‘어부가’에서 발견되는 보편적정서가 관류하고 있다. 여타의 시조에서도 봄에 대한 정서적 관습을 발견할 수있었다.
    이상 물리적으로 동일한 봄이 문학의 장르나 시대적 상황에 따라 어떻게 다르게 변모하는지 검토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인간의 삶에서 문학, 또는 시조의 역할을 규명하는 것으로 확대할 수 있을 것이다.

    영어초록

    The cycle of seasons begins with spring. The seasons are being granted to the temporal order in nature. This study explores representations of spring in Sijo (時調). This ultimately is of interest for nature. Among them is particular interested in the variety of attitudes to nature. In this paper, the same target are recognized for the difference between notes. Sasigagyeo Yeonsijo (四時歌系 연시조) is the focus.
    Spring in literature can be categorized into three representations: As ideological formulations and as the spring of ideas, as a succession of traditions, and as the spring of customs. The last discusses reality and ways of behavior in the spring. These indicate the historic and architectural changes in social awareness and relationships. In other words, spring is about ideology, which appears in the Joseon (朝鮮) former Sijo. In the latter Joseon (朝鮮) Sijo, spring is depicted realistically.
    The customary spring in close relationships that is a tradition of succession. This is a tradition that is commonly followed in a group or society and is hence longitudinal.
    Traditionally, spring involves customary succession and bears a close relationship. A good example is the Eobugagyeo Yeonsijo (어부가계 연시조). For example, in the Yoon Seon-do‘s (윤선도) Eobusasisa’s (어부사시가) spring is succeed in the emotion of Eobuga (어부가). In other Sijo found that Emotional customs of spring. Physical spring thus remains unchanged, regardless of time and space. However, spring in literature depends on the genre, age, and situation. These findings could be of use in understanding human life and literature or Sijo.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어문론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8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1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