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참동계(參同契)」의 촉목회도(觸目會道)에 대한 이해 (An Understanding of Chumuhuidao on Cantongqi)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9 최종저작일 2021.09
36P 미리보기
「참동계(參同契)」의 촉목회도(觸目會道)에 대한 이해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 수록지 정보 :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 89호 / 357 ~ 392페이지
    · 저자명 : 김려위

    초록

    석두희천의 「참동계」는 남돈북점이라는 논쟁 속에서 만법이 평등하다는 원 리를 천명한 게송이다. 그는 누구나 바르게 수행한다면 손을 뻗으면 깨달음에 닿을 수 있다고 가르친다. 한마디로 ‘촉목회도’이다. 본 논문은 「참동계」의 해 석과 고문헌 분석을 통해 ‘촉목회도’의 본의에 접근을 시도한다.
    「참동계」의 ‘참’은 눈앞의 삼라만상이 차별된 형상으로 나타나는 것이고, ‘동’은 천차만별한 현상 이면의 근본 바탕이 모두 평등하다는 것이다. ‘계’는 ‘참’의 차별 현상과 ‘동’의 근본 바탕이 회호불회호한다는 것이다. 회호불회호 는 「참동계」의 핵심 개념이다. 회호불회호를 통해 삼라만상은 서로 뿌리가 되 고 서로 끊임없이 관계를 맺고 있다는 ‘존재 방식’을 말하고, 만법은 평등한 하 나의 마음 ‘진여’에 놓여있다는 ‘존재 바탕’을 말한다. 이 ‘존재 방식’과 ‘존재 바 탕’에 대한 깨달음을 통해, 눈에 닿는 것은 모두 자심(自心)의 표현이고 불성의 표현이라는 것을 ‘촉목회도’할 수 있을 것이다.

    영어초록

    Shitou Xiqian’s Cantongqi is a gāthā that sheds light on the principle that all dharmas are equal, to admonish the situation of disputes and conflicts between the Southern school and the Northern school about “sudden cultivation and gradual cultivation”. He teaches that anyone can reach enlightenment if they practice it properly. In short, the enlightenment comes from everything that the eyes touch upon. This paper interprets the contents of Cantongqi in a rudimentary way and attempts to approach the meaning of Chumuhuidao through the analysis of old texts. Can(參) means that all of the numberless things in front of us appear in the form of a discriminatory shape. Dong(同) means the fundamental foundation behind the phenomenon is all equal. Qi(契) represents that the discrimination and the equal fundamental foundation are “mutually entering and mutually identifying - Huihubuhuihu”. Huihubuhuihu is the core concept of Cantongqi. Through the Huihubuhuihu, he says the way of being of all things that everything who exists by the dependent arising has an inseparable relationship with each other. And he says the basis of being of all things that everything lies within one equal mind- Tathatā. Through this realization of the way of being and the basis of being, one will be able to say that everything that touches one’s eyes is an expression of oneʼs own mind and an expression of the buddha-natur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7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1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