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고구려 멸망기 불교계의 동향 -승려 道顯의 활동을 중심으로- (Overview of the Buddhist trend in the decline period of Koguryeo -Focusing on the activity of the Buddhist Monk Dohyeon-)

3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9 최종저작일 2008.12
35P 미리보기
고구려 멸망기 불교계의 동향 -승려 道顯의 활동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사상사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사상사학 / 31호 / 31 ~ 65페이지
    · 저자명 : 정선여

    초록

    道顯은 연개소문 정권과 연결된 승려로서 멸망기 고구려와 일본에서 활발한 활동을 펼쳤던 것으로 생각된다. 보장왕대 일본으로 건너간 도현은 영류왕대 이후 강화되었던 대일본외교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였을 것으로 생각된다. 일본에서 고구려의 佛法을 전파하였고, 당시 정계의 실력자였던 등원겸족과 긴밀하게 연결되어 활동하였다. 또한 도현은 『日本書紀』의 중요한 근거자료가 되었던 『日本世記』를 편찬하였다. 『일본세기』는 그 사료적 가치가 매우 큰 역사서로 평가되고 있으며, 7세기대 이후 고구려의 역사인식 및 역사서술의 모습을 살펴볼 수 있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가 있다고 생각된다.
    도현은 승려였지만 다른 사상에도 풍부한 지식을 가지고 있었던 것으로 생각된다. 먼저 광범위한 유교적 지식과 문학적 능력을 겸비하였던 승려로서 이러한 지식을 바탕으로 『일본세기』와 같은 역사서를 편찬할 수 있었다. 또한 도현은 도참에도 능했다. 그가 연개소문과 밀접하게 연결될 수 있었던 것은 이러한 능력 때문이었던 것으로 생각된다. 연개소문이 집권하면서 고구려 멸망과 관련된 예언이 유행하였는데, 도현은 참언을 통해 국가멸망에 대한 예언을 무마하기 위해 노력하였던 것으로 추정된다. 그러나 정작 승려로서 도현의 불교사상에 대해서는 정확히 알 수 없다. 다만 등원겸족과 그 아들 정혜와의 관련성, 그가 일본에서 주석하였던 사원의 사상적 경향 등을 통해 추정해 볼 수 있는데, 섭론종과 유식사상을 받아들였던 것으로 생각된다.
    이처럼 도현은 불교가 약화되었다고 생각되는 고구려 멸망기에 활발한 활동을 펼쳤다. 도현뿐만 아니라 덕창과 신성 등과 같이 당시 연개소문 정권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활동하였던 승려들이 존재하였다. 이들은 보덕과 같이 연개소문 정권에 적극적으로 대항하던 승려와는 다른 활동모습을 보여주고 있어 멸망기 고구려 불교계 세력이 분열되었던 사실을 알려주고 있다. 이때 고구려 불교계가 분열하였던 원인은 사상적인 차이, 각각의 세력들을 후원해주던 정치세력들이 분열 대립하고 있었던 점, 그리고 당의 사상적 영향때문이었던 것으로 생각해 볼 수 있다.

    영어초록

    Dohyeon(道顯) was the monk who had close relations with the Yeon,gaesomun(淵蓋蘇文)regime getting a foothold in Goguryeo(高句麗) and Japan. Under the reign of King Bojang(寶臧王), he moved to Japan and played an important role in diplomatic relations with Japan which had been strengthened since King Youngryu(榮留王). He was closely connected with Denungwongyeomjok(藤原鎌足, ふじわらのかまたり) who had dominant influence in politics of the day. He spread Buddhism to Japan and compiled the Ilbonsegi(日本世記) which provided a solid ground for the Ilbonseogi (日本書紀). The Ilbonsegi(日本世記) is regarded as historical records of great worth in that it shows how Goguryeo understands and describes the history after the 7th century.
    Even though Dohyeon is a monk, he seems to have a good knowledge of other ideas. His erudition of Confucian ideas and literary ability gave him a basis to compile historical records like the Ilbonsegi. He is also good at Docham(圖讖), which is thought to connect him closely to Yeon,gaesomun. In the Yeon,gaesomun’s regime, the prophecy about the fall of Goguryo prevailed throughout the dynasty. Dohyeon took advantage of Docham in an effort to soothe the prophecy. His idea of the Buddhism as a monk is known very little, though. Inferred from the connection with Denungwongyeomjok and his son Jeonghye, he is thought to accept the Seopronjong(攝論宗) and the Mind Only thought (唯識思想).
    When Goguryeo was on the wane, Buddhism was also thought to be weakened. Many monks like Deokchang(德昌), Sinseong(信誠) as well as Dohyeon were involved in the Yeon,gaesomun regime, while other monks like Bodeok(普德) were aggressively against the regime. This shows that Buddhism was split up in this period. There are other factors indicating the division of Buddhism such as the difference of thought, conflict of interest of each political sponsors and Tang(唐, china)’s influence supporting new translation Buddhism (新譯佛敎) and Taoism(道敎).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사상사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19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5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