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사상계』 지식인의 한일협정 인식과 반대운동의 논리 (Sasang-gye Intellectuals’ Perception on the Korea-Japan Treaty and Their Counter Logic)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9 최종저작일 2015.02
29P 미리보기
『사상계』 지식인의 한일협정 인식과 반대운동의 논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 수록지 정보 : 한국민족문화 / 54호 / 177 ~ 205페이지
    · 저자명 : 김려실

    초록

    이 논문에서는 『사상계』 지식인들을 중심으로 한일협정에 대한 1960년대 지식인의 인식과 대응 논리를 살펴보았다. 그들은 한일국교 정상화에 대해서 원칙적으로 찬성하되, 한국정부의 저자세 외교와 졸속 강행 처리를 비판했다. 『사상계』의 한일협정 반대운동 논리의 궤적을 살펴본 결과, 이 운동이 전 사회적으로 확대될 수 있었던 것은 과거사 청산뿐만 아니라 군사정권의 민주주의 탄압과 미국의 압력에 저항한 지식인․학생 연대에 대해 국민적인 공감대가 형성되었기 때문이라는 점을 알 수 있었다. 군사정권과의 이념 투쟁 속에서 『사상계』 지식인들은 민족주의 담론을 재발견하고 냉전체제하의 신식민주의를 비판했다. 그럼에도 베트남파병에 대한 문제제기를 반대운동에 통합시키지 못했다는 점에서 드러나듯 1960년대 지식인들은 냉전적 금지를 해체하고 평화운동의 방법론을 도출하는 데까지는 나아가지 못했다. 결과적으로 한일협정 반대운동은 실패했고 과거 청산 문제는 미해결인 채로 남아 오늘날까지도 한․미․일의 삼각구도 속에서 반복․변주되고 있다. ‘1965년 체제’가 흔들리고 있는 오늘날, 어제의 투쟁과 좌절을 되짚어 보면서 우리 시대의 지성이 제시할 수 있는 교훈과 해법은 무엇인지 묻는다.

    영어초록

    In this paper, I research Korean intellectuals’ perception on Korea-Japan Treaty and their counter logic in the 1960s focusing on Sasang-gye intellectuals. They agreed basically on normalization of diplomatic relations between Korea and Japan, accusing Korean government of low profile diplomacy and unilateral ratification of the treaty. I took a look at the orbit of their logic in the movement against Korea-Japan Treaty and found the people supported Intellectual and student’s solidarity and were echoed, not because of unsettled past issues but also because of their sympathy for the resistance against democracy suppression of the government and American pressure. Sasang-gye intellectuals rediscovered nationalism ethnicism discourse and criticized neo-colonialism under the Cold War system through ideological quarrels with the military regime, nevertheless they could not deconstruct the Cold War prohibition and develop methods of peace movement, showing their limited approach on Vietnam issue which could not be combined with the movement against Korea-Japan Treaty. Eventually, the movement was failed and the past issue is still repeated and mutated in the triangular structure of Korea, Japan, and America. I question what lesson and solution the intellectuals in our society can give us today, when we see the shaking of the 1965 system.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민족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2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