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기독교교육생태계를 회복하는 대안적 교회교육–품 모델 (An Alternative Approach to Church Education for Recovering the Christian Education Eco-system: The “Pum” Model)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9 최종저작일 2016.03
28P 미리보기
기독교교육생태계를 회복하는 대안적 교회교육–품 모델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장로회신학대학교 기독교사상과문화연구원
    · 수록지 정보 : 장신논단 / 48권 / 1호 / 361 ~ 388페이지
    · 저자명 : 박상진

    초록

    전통적인 교회교육은 ‘주일학교’라는 학교식 체제를 지니고 있다. 1780년대에 영국 글로체스터에서 로버트 레익스에 의해 시작된 주일학교 운동은 영국이나미국은 물론 한국의 기독교교육에도 큰 영향을 끼쳤다. 그러나 오늘날에는 주일학교 체제가 여러 가지 한계를 드러내고 있다. 과연 주일학교의 한계를 극복하고보다 생명력 있는 신앙교육을 위한 대안은 무엇인가? 본 연구는 한국교회 안에서주일학교라는 학교식 체제가 지니는 문제들을 분석하고 이를 해결할 수 있는 대안적 모델을 모색하기 위한 것이다. 특히 주일학교의 한계를 여덟 가지 분리현상으로 분석하고 있는데 교사와의 분리, 학생 상호간의 분리, 은사와의 분리, 교재와의 분리, 목회와의 분리, 가정과의 분리, 학교와의 분리, 지역사회와의 분리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교회교육의 학교식 모델이 갖는 분리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기독교교육생태계를 회복할 필요성이 있음에 주목하고 그 대안으로품 모델을 제시한다. 학교식 모델은 지식을 가르치는 것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면, 품 모델은 품는 것을 강조한다. 품는 것은 사랑하는 것, 관계 맺는 것, 본을 보이는 것을 의미한다. 품 모델은 기독교교육생태적 모델로서 미시적 체계로는 부모의 품, 교사의 품이 있고, 이런 품들이 모여 있는 품 공동체가 있다. 또한 중간체계로는 교회, 가정, 학교가 연계된 품 누리가 있으며, 사회의 문화와 가치관도교육에 영향을 미치는데 거시체계로서 큰 품 누리이다. 품 모델을 통해 생명력 있는 다음세대 교육이 이루어지기를 소망한다.

    영어초록

    Traditional church education can be identified with “Sunday school” as a schooling paradigm. The Sunday school movement, which was begun at Gloucester in the 1780s by Robert Raikes, has had a strong impact on Christian education, not only in England and North America but also in Korea. However, the current state of the Sunday school system reveals many problems about it. What would be an alternative that can overcome the limitations of Sunday school and to encourage a living Christian education? This study focuses on the analysis of the problems of Sunday school as a schooling paradigm in the Korean church, and suggests an alternative model to solve these problems. Especially this study categorizes the limitations into 8 types of separation: separation between teacher and students, separation among students, separation from gifts, text books, the ministry, family, school, and the local community. This study suggests a “Pum”(Korean term for “embrace”) model as an alternative to the schooling paradigm of the existing Sunday school. While the schooling paradigm focuses on teaching knowledge, the Pum model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embracing. Embracing means loving, connecting, and serving. The Pum model as a Christian education ecology model includes the “pum” of parents and teachers as a microsystem, and a “pum” community which consists of many “pums.” Also, it includes “Pum-Nuri”, which refers to a connection of the church, family, and school as a mesosystem, and a larger version of “Pum-Nuri”, which includes the culture and value of the society at large as a macrosystem. I hope that the Pum model will contribute to a living Christian education for the future gener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장신논단”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4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4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