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643년 계미사행을 전후한 화원 이기룡의 행적 및 활동 (Behavior and Activities of Painter Lee Gi-ryong before and after Gyemisahaeng)

3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9 최종저작일 2017.02
33P 미리보기
1643년 계미사행을 전후한 화원 이기룡의 행적 및 활동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부산광역시사편찬위원회
    · 수록지 정보 : 항도부산 / 33호 / 71 ~ 103페이지
    · 저자명 : 이정은

    초록

    화원 이기룡(李起龍, 1600~?)은 계미사행(癸未使行, 1643)의 수행화원(隨行畵員)이다. 계미사행은 조선화 또는 수행화원의 그림에 대한 일본 측의 요구가 폭증하면서 수행화원의 역할과 입지에도 변화가 나타난 사행이었다. 사실 계미사행부터는 통신사의 성격이 정치․군사적 면보다는 문화사절단으로서의 측면이 강화되었고, 이에 따라 수행화원의 활동 역시 본격화되었다. 조․일간 문화교류사의 측면에서 조선통신사를 연구한다고 할 때, 수행화원의 역할과 활약을 고찰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의미를 지니는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기룡의 사행 기록은 물론이고 국내활동에 대한 기록도 소략하여 그의 연구는 입체적으로 이뤄지지 못하였다. 이에 본고는 이기룡의 계미사행 활동을 중심으로 전후 활동을 고찰해보았다.
    병자사행에 이어 이기룡이 파견된 계미사행 당시 일본 화단은 선화가 일대 유행이었다. 선화로 인해 병자사행에 이어 방일한 김명국과는 달리 그의 선화는 알려진 작품이 없다. 선화를 그려 남긴 김명국과는 달리 선화 한 점을 전하지 않는다는 것은 파견된 두 명의 화원의 역할과 활동에서 차이가 있었음을 짐작하게 하는 점이다. 수행화원으로서 일본측 구청에 응하는 그림을 그려 남긴 김명국은 그의 활동 이력이 고스란히 기록물을 통해 전하는 반면 이기룡의 활동은 찾기가 어렵다. 이러한 이유는 정묘호란(인조 5)과 병자호란(인조 14)을 겪은 조선이 대외활동에서 상대국의 군사정보를 그림으로 기록하고자 했던 바를 이기룡이 비밀리에 수행했던 바에서 비롯된 것으로 사료된다. 이런 추측은 이기룡이, 이홍규를 이은 화원가문인 점과 사행 이전 1638년 『인조장렬후가례반차도』를 제작하는 데 인조가 아꼈던 이징(李澄, 1581∼?)과 함께 참여한 점 등에서 미뤄볼 수 있다. 그의 현존하는 일본사행 작품은 말 그림으로 당시 긴박했던 사행과는 동떨어지면서도, 국내 의궤 활동에서 볼 수 있는 세밀한 묘사가 두드러진 것을 미뤄보아서 사행 이전의 작품으로 추정된다. 즉 해당 작품은 일본 측의 요청으로 사전 제작해서, 일본으로 가지고 간 것으로 무게를 두었다. 단독으로 참여한 1631년 『선조목릉천장산릉도감의궤』의 사신도와 비교하면 정교한 필치와 안정적인 구도를 기본으로 하고 있는 점 등을 들 수 있다. 이기룡은 다른 회차에 파견된 수행화원들과 마찬가지로 사행 이후에 활발한 국내활동을 이어간 화원으로 볼 수 있으며 이 역시 부친과 가문의 영향이 컸다고 본다. 그런데 이기룡의 아들 이형정의 공적ㆍ사적 활동 기록이 전무한 점과 1661년 의궤 참여를 마지막으로 공적 활동이 없는 점 등은 이후 가문의 세력이 축소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는 한 개인의 화가로서보다 조선을 대표하는 화원이라는 공적 입장에 있었고, 그의 활약도 그런 범주 내에서 평가되어 왔다. 개인 작품이 현존하지 않는 수행화원 이기룡의 행적 범주를 좀 더 확산시켜 그의 가문적 배경과 도화서 내에서의 활약까지 두루 조망해 봄으로써 수행화원 이전과 이후의 내․외연적 활동을 고찰하였다.

    영어초록

    Painter Lee Gi-ryong (李起龍, 1600~ ) is an entourage painter of Gyemisahaeng (癸未使行, 1643). Gyemisahaeng was a journey in which there was a change in the role and position of the entourage painters as Japan's demand for Joseon paintings or paintings of entourage painters increased. In fact, since Gyemisahaeng, the nature of the envoys was strengthened as a cultural delegation rather than a political and military aspect. When studying Joseon Envoys in terms of cultural exchanges between Joseon and Japan, it is very important to examine the role and performance of the entourage painters. Nonetheless, Lee Gi-ryong's journey records as well as the record of his domestic activities were negligent and studies on him were not fully conducted. In this paper, this study reviewed pre- and post-activities of Gyemisahaeng focusing on Lee Gi-ryong's Gyemisahaeng activities.
    When Lee Gi-ryong was dispatched to Gyemisahaeng following the Byeongja journey, line drawing was an art trend in Japanese painting circles. Due to line drawing, unlike Kim Myeong-guk who joined Gyemisahaeng following Byeongja journey, there are no known works of Lee Gi-ryong’ line drawing. Unlike Kim Myeong-guk, who left a line drawing, Lee Gi-ryong did not leave a piece of a line drawing, which suggests that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roles and activities of the two painters dispatched. As an entourage painter, Kim Myeong-guk, who had drawn pictures to respond to the request of the Japanese side, conveyed his activity history through the records while it is difficult to find Lee Gi-ryong’s activities. It is thought that Joseon undergoing Jeongmyohoran (Injo 5) and Byeongjahoran (Injo 14) was supposed to try to record the military information of the other country in the diplomatic activities and this mission may have been given to Lee Gi-ryong.
    He was a painter who represented Joseon in a public position rather than as an individual painter, and his performance has been evaluated within such a category. As an entourage painter, Lee Gi-ryong whose personal works do not exist, was studied by extending the category of Painter Lee Gi-ryong's activities further, to examine his inner and outer activities before and after the entourage painter by looking into his family background and his activities in Dohwaseo.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항도부산”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5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5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