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謙齋 趙泰億의 시세계 一考: 의주 접반 시기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Poetry of Gyeomjae(謙齋) Jo, Tae-eok(趙泰億): Focusing Uiju Reception Diplomat Period)

3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9 최종저작일 2021.11
31P 미리보기
謙齋 趙泰億의 시세계 一考: 의주 접반 시기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 수록지 정보 : 한국민족문화 / 80호 / 73 ~ 103페이지
    · 저자명 : 김효정

    초록

    이 글은 1722~1723년 사이 伴送使와 遠接使의 임무를 수행하기 위해 세 차례 의주를 방문하였던 謙齋 趙泰億(1675~1728)의 의주 접반 시기 창작 시 221제 249수를 살피고 그 양상을 고찰하기 위해 이루어진 글이다. 세 차례에 걸친 의주 접반 업무 수행은 원접사와 반송사라는 공무 수행과 함께 勝遊라는 개인적인 바람이 동시에 실현된 여정이었다. 이 시기에 지은 시들에는 의주를 오가며 느낀 다양한 감정들이 담겨 있어 겸재 시세계의 일면을 살펴볼 수 있다.
    의주 접반 시기에 지은 시의 양상을 ‘遊覽의 기대감과 興趣의 발현’, ‘백성을 향한 愛民과 무력감의 自責’, ‘약소국 신하의 悲哀와 排淸意識의 표출’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겸재는 세 차례에 걸쳐 의주를 오가는 동안 마주한 명승지를 직접 눈으로 보며 勝遊의 흥취를 즐기기도 하였고, 가뭄과 사신 접대의 부역에 허덕이는 백성들의 피폐한 삶을 목도하고 이들을 향한 안타까운 마음과 이들의 고통을 해결해 주지 못하는 조정과 자신의 처지를 자책하기도 하였다. 또한 청나라 사신의 횡포를 고발하면서 이에 대한 적극적인 대책을 세우지 못하는 약소국 조선의 현실과 신하의 悲憤을 토로하였다.
    겸재는 첨신하거나 기교를 사용하지 않은 평이한 시어를 사용하여 實景을 사실적으로 묘사하였고, 당대 조선이 겪고 있는 현실의 어려움을 사실적인 묘사를 통해 핍진하게 그려내었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was made to examine 249 poems created by Gyeomjae Jo, Tae-eok(1675~1728) who visited Uiju three times as a Reception Diplomat between 1722 and 1723. These three times visit to Uiju was a journey which he could accomplish personal wish of a scenic tour along with the official duties. These poems contain various emotions that he felt while his performing of official duties as a Reception Diplomat, so we can see some aspect of the Gyeomjae’s poem world.
    In this article, we will look into these poems which was written during that period divided into three aspects which are “Expression of expectation and delightful for his journey”, “His love for people and self-reproach of helplessness toward the people”, “Expression of Anti-Qing Dynasty consciousness and sorrow of vassal country”. Gyeomjae enjoyed the excitement of scenic tour while performing three times of Uiju visiting, witnessed the devastated lives of the people struggling with drought and tyrannical Qing’s envoy, blamed government and himself for failing to resolve their sorrow and pain. In addition, he exposed the tyranny of Qing Dynasty’s envoy and the reality of Joseon which was weak country that could not take proper measurements against it.
    By using ordinary words, Gyeomjae described the scenery realistically and depicted the difficulties of Joseon in detail.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민족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3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5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