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저승여행신화의 인정-협상 코드: <차사본풀이>계 서사무가 연구 (A Gift-Negotiation Code of the Underworld Journey Myth: Research on Chasabonpuri-Type Narrative Shaman Songs)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9 최종저작일 2024.06
28P 미리보기
저승여행신화의 인정-협상 코드: &lt;차사본풀이&gt;계 서사무가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구비문학회
    · 수록지 정보 : 구비문학연구 / 73호 / 81 ~ 108페이지
    · 저자명 : 조현설

    초록

    <차사본풀이>의 형성과 관련하여 17세기 제주 판관으로 재직한 적이 있는 김치의 일화나 흥덕현감설화가 근원설화라는 견해가 제기된 바 있다. 그러나 <차사본풀이>의 기본 모티프인 이승 판관과 저승 판관의 대결담은 당송 시대에 이미 존재했고, 흥덕현감이 아니라 고려 강감찬 장군이 해결사로 등장하는 구전도 있다는 점을 고려하면 이 무속신화의 형성 시기는 고려시대, 혹은 그 이전으로 소급될 수 있다. <차사본풀이>를 심독하려면 김치판관이라는 후대에 부가된 화소가 아니라 심층의 서사를 살펴야 한다.
    <차사본풀이>의 심층에 존재하는, 수렵사회에서 농경목축사회에, 수메르 신화에서 탐라·제주 신화에 걸치는 장대한 서사의 여정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이 긴 여정을 이끄는 심층 서사는 죽음의 세계에 대한 상상에서 비롯한 저승여행이고, 주인공의 저승여행을 가능케 하는 동력은 ‘인정-협상 코드’다. 이 코드에 의해 인안나는 자신을 인정으로 삼아 나무못에 내걸었고, 그 결과 두무지와 누이 게쉬틴안나가 이승과 저승을 반년씩 순환하는 방식의 협상을 이룩했다. 만주족 샤먼의 조상으로 불리는 니샨 샤먼도 서르구다이 피양구를 데리러 저승에 들어가면서 다양한 인정으로 염라왕과 그의 사자 몽골다이 낙추와 협상하여 피양구의 수명을 연장한다. <짐가제굿>에서 <차사본풀이>로 이어지는 한국의 무속신화에서도 단명한 망자를 구해내기 위해 이승의 원님은 저승의 염라왕과 인정을 걸고 협상한다. 문화적 조건과 서사 구성의 세부적 차이에도 불구하고 이들 신화의 심층에는 인정-협상 코드가 작동하고 있다.
    이런 인정-협상 코드는 초기 수렵사회의 인간과 동물 사이의 의례적 선물교환에서 비롯된 것이다. 선물을 바치지 않으면 동물의 주인이 사냥감을 풀어주지 않으므로 사냥꾼은 인정을 걸고 신과 협상한다. 이 인정 걸기는 계산된 교환 행위가 아니라 무제한적 호혜성에 기반한 증여 행위이다. 인안나 신화에서 강림차사 신화에 이르기까지 반복되고 있는 인정-협상 코드는 무제한적 호혜성에 기초한 수렵사회의 규약이 서사적 변형을 거치면서 현재의 무속신화에도 지속되고 있다는 점을 드러내는 지표이다.

    영어초록

    It is insisted that Chasabonpuri may have been inspired by the story of Kimchi, who served as the Jeju judge in the 17th century, or the story of Heungdeokhyeongam. However, considering that the basic motif of Chasabonpuri, which is the confrontation between this world’s judge and the underworld judge, already existed during the Tang Song Dynasty, and that there was also an oral tradition in which General Gang Gam-chan, not Heungdeokhyeongam, appeared as the solver, the formation of this shamanic myth can be traced back to before Goryeo. To understand Chasabonpuri, one should consider the narrative, and not the Kimchi judge as the motif. It is necessary to pay attention to the long history of an in-depth narrative present in Chasabonpuri, spanning from a hunting society to an agricultural and pastoral society, and from Sumerian to Tamra-Jeju mythology. The in-depth narrative involves a journey to the underworld that originates from the vision of the world of death, and the driving force that makes the protagonist's journey to the underworld possible is the gift-negotiation code. According to this code, Inanna hung herself on a peg as a gift, and consequently, Dumuzi and her sister Geshtinanna negotiated a 6-months-long cycle between this world and the next. Nishan Shaman, who is said to be the ancestor of Manchurian shamans, also enters the underworld to pick up Seorgudai Piyanggu, and using various gifts, he pleads with King Yeomra and his messenger Mongoldai Nakchu to extend Piyanggu's life. In Korean shamanic mythology, which continues from Jimgajegut to Chasabonpuri, a district magistrate in this world negotiates with King Yeomra of the underworld using gifts to save the dead from a short life. Despite detailed differences in cultural conditions and narrative composition, there is a gift-negotiation code deeply integrated in these myths. This gift-negotiation code originated from the ritual gift exchange between humans and animals in early hunting societies. Hunters offered gifts and negotiated with the gods because the animal's owner would not release the game unless gifts are offered. This gift is not a calculated act of exchange but is based on unlimited reciprocity. The gift-negotiation code repeated from the Inanna myth to the Ganglimchasa myth indicates that the rules of a hunting society based on unlimited reciprocity continue in current shaman mythology through narrative transform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9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4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