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중서부지역 마한계 분묘의 인식과 시공간적 전개과정 (The cognition and developmental process of Mahan tombs in Korea's mid–western region)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9 최종저작일 2011.02
32P 미리보기
중서부지역 마한계 분묘의 인식과 시공간적 전개과정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상고사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상고사학보 / 71권 / 71호 / 85 ~ 116페이지
    · 저자명 : 김승옥

    초록

    이 글의 목적은 마한계 묘제의 분포와 형식분류, 시공간적 발전과정을 추적하는데 있다. 먼저 이 글에서는 마한계 분묘를 분구묘와 봉토묘 전통으로 대별하였다. 분구묘 전통의 묘제는 다시 축조재료와 방법, 분포 범위에 따라 盛土墳丘墓, 積石墳丘墓, 葺石墳丘墓로 나눌 수 있고, 봉토묘 전통의 묘제는 주구토광묘와 단순 토광묘로 나누어진다. 서해안 일대의 성토분구묘는 매장시설의 수와 축조방법에 따라 단장(성토)분구묘와 다장(성토)분구묘로 나눌 수 있는데, 단장분구묘는 다시 1기가 독립된 형태로 축조된 형식(Ia형)과 Ia형 분구묘 2기 이상이 주구를 공유하거나 연접하여 축조된 형식(Ib형)으로 나누어진다. 다장분구묘는 하나의 분구에 다수의피장자를 안치하는 형식(IIa형)과 IIa형 분구묘의 주구를 메우고 분구를 확장하는 형식(IIb형)으로 분류된다.
    이 글에서는 마한계 분묘의 전개과정을 4단계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I과 II 단계에서는 형태와 매장원리, 유물에서 차이를 보이는 성토분구묘와 주구토광묘가 분포권을 달리하면서 발전하고 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II단계까지의 묘제는 단장이라는 공통점을 지니고 있다. 그러나 II단계 후반부터 Ia형의 분구묘는 Ib형으로 변화하고, III단계 이후로는 IIa형과 IIb형의 분구묘가 본격적으로 유행하기 시작한다. 다장 전통의 즙석분구묘 또한 III단계부터 출현한다.
    III단계 이후 마한계 분묘의 해체과정은 지역적으로 상이하게 나타난다. 먼저 충청내륙권의 마한계 묘제는 III단계 전후부터 백제의 토광묘와 석곽묘로 거의 완벽하게 대체된다. 이에 비해 성토분구묘권에서는 IV단계까지 마한계 전통의 묘제가 지속된다. 또한 IV단계 마한계 묘제는 금강 이북과 이남에서 차이를 보이게 된다. 예를 들어 금강 이북지역에서는 경기남부에서 주구토광묘, 부장리에서 성토분구묘가 발견되지만 발견된 유물은 백제계 일색이다. 이에 비해 금강 이남의 성토분구묘에서는 마한계와 백제계 요소가 동시에 발견된다. 이러한 마한계 분묘의 발전과정은 백제의 남정이 경기와 충청지역부터 전북지역까지 순차적으로 이루어졌음을 시사한다. 또한 마한계 토착세력에 대한 백제 중앙정부의 지배형태를 추정하는 근거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IV단계에 들어서면 금강 이북의 마한계 세력에 대해서는 직접지배, 금강 이남의 일부 재지 세력에 대해서는 정치적 자율성을 어느 정도 용인해주는 간접지배의 형태를 띠었을 가능성이 있다.

    영어초록

    This study attempts to examine the distribution, type classification, and developmental process of Mahan–oriented tombs(馬韓系墳墓). Mahan–oriented tombs can be largely divided according to two burial traditions; Bungumyo(mounded tomb with an encircling ditch) and Bongtomyo(封土墓).
    Bungumyo(墳丘墓) can be reclassified into Sungtobungumyo(盛土墳丘墓), Guksukbungumyo(積石墳丘墓), and Geupsukbungumyo(葺石墳丘墓), on the basis of the construction materials used to build the tombs and the distribution area. Moreover, the Bongtomyo includes pit tombs with ditchs(周溝土壙墓) and simple pit tombs(單純土壙墓). The Sungtobungumyo in the western coast of the Korean peninsular can be subdivided into Bungumyo Type I, with a single burial chamber(單葬墳丘墓), and Bungumyo Type II, with multiple burial chambers(多葬墳丘墓). Bungumyo Type I is further divided into Type Ia, consisting of a single Bungumyo distributed independently, and Type Ib,consisting of more than two Bungumyo, which share a ditch or are closely located. Bungumyo Type II is also subdivided into Type IIa, with multiple graves within a Bungumyo, and Type IIb, which are filled first Type IIa ditches and have enlarged tomb sizes.
    The development of Mahan–oriented tombs is divided into four phases. Phases I and II mainly consisted of Sungtobungumyo and pit tombs with ditches, which differed based on the burial form, technical aspects of construction, and artifacts discovered within. Almost all burials until Phase II are characterized by Bungumyo Type I. However, after the latter period of Phase II, Type Ia Bungumyo gradually transformed to Type Ib. In addition, Types IIa and IIb Bungumyo emerged and became very popular after Phase III. Geupsukbungumyo, with the burial tradition of multiple burial chambers, also appeared at the beginning of Phase III.
    After Phase III, the dissolution of Mahan tombs and the emergence of Baekje(百濟) tombs took place differently in the Korea's mid–western region. First, Mahan–oriented tombs in the Chungcheong inland area were almost completely replaced by pit tombs and stone lined Baekje tombs around Phase III. Contrastingly, tombs in the Sungtobungumyo area continued the Mahan tradition until Phase IV. Further, pit tombs with ditches were found north of Geum river basin in the southern Kyeonggi province during Phase IV, and Sungtobungumyo was found at the Buchangri site, but the artifacts discovered here were all related to the Baekje. Notably, both Mahan and Baekje–oriented tombs coexisted in the Sungtobungumyo area, south of the Geum river basin. This transformation of the burial tradition strongly suggests that the expansion of Baekje forces to the south had occurred gradually from the Kyeonggi and Chungcheong provinces to the Chonbuk province. Additionally, it suggests the control forms of the Baekje's central government against Mahan's indigenous forces differed. For example, the Mahan's forces north of the Geum river basin were under the direct control of the Baekje's administration, while Mahan's forces south of the Geum river basin were under the its indirect control.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1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