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寒暄堂 金宏弼에 대한 역사학계의 연구 성과와 전망 (A historical study on Kim Going-pil and academic prospect)

4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9 최종저작일 2012.12
44P 미리보기
寒暄堂 金宏弼에 대한 역사학계의 연구 성과와 전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경북대학교 영남문화연구원
    · 수록지 정보 : 영남학 / 22호 / 61 ~ 104페이지
    · 저자명 : 김훈식

    초록

    조선시대의 유학사에 대한 인식은 아직 道統論의 영향을 완전히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특히 15세기의 유학사에 대한 인식은 더욱 그러하며, 15세기 후반기에 활동한 金宏弼에 대한 인식 역시 마찬가지이다. 최근에 김굉필에 대한 역사학계의 연구가 진행되면서 도통론의 영향을 벗어날 수 있는 기초가 마련되었다. 그러나 그 연구의 양은 그리 많지 않다. 자료의 한계라는 근본적인 제약 때문이다. 이글에서는 김굉필에 대한 역사학계의 연구 성과를 정리하면서 그 제약을 넘어설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고자 했다.
    김굉필을 연구한 거의 모든 글은 그의 학문을 道學이라고 부르며, 그가 도학을 처음으로 정립한 인물이라고 한다. 그러면서 도학 역시 성리학이라는 범주 속에 포함되며, 김굉필 이전에도 도학이라는 개념이 사용되었다는 사실도 인정한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제까지는 주로 도학의 개념을 어떻게 정의할 것인가에 초점을 맞추어왔다. 그러나 먼저 도학의 개념을 규정하고, 이 개념에 맞추어 김굉필의 학문・사상을 이해하는 방법은 한계가 있다. 도학의 개념 규정이 주관적일 수 있는 위험이 항상 있기 때문이다. 이 보다는 15세기에 도학이라는 개념이 다양한 의미로 사용되었다는 사실, 그리고 그 개념이 역사적 변화를 겪었다는 사실을 살피는 것이 우선이다. 그리고 그 변화 속에서 김굉필의 도학을 살피는 것이 바람직해 보인다.
    김굉필의 도학에 관한 설명에서 가장 중요하게 취급되는 내용이 『小學』공부이다. 그러나 『小學』을 중시한 것은 이미 성리학 도입 초기부터이다. 따라서 김굉필의 『소학』공부가 그 이전과 어떤 차이가 있는지를 밝혀야 한다. 기왕의 연구를 통해 김굉필 이전의 『소학』은 어린 아이들이 읽어야 하는 책으로, 혹은 과거 시험을 준비하기 위해 읽어야 하는 책으로 강조되었음이 밝혀졌다. 이에 반해 김굉필의 『소학』공부는 과거공부와는 아무런 관련이 없었고, 또 평생의 공부였다는 사실도 밝혀졌다. 그러나 김굉필의 『소학』공부가 그 이전과 다른 점이 이 정도에 그치지는 않는 것 같다. 그 차이를 밝혀나가는 것은 앞으로의 과제이다.
    김굉필의 도학에서 『소학』공부가 차지하는 비중이 워낙 커다보니 대부분의 연구는 그 방면에만 관심을 집중하였다. 그 결과 김굉필은 성리학 공부의 두 가지 측면인 修己와 治人 가운데 수기에만 관심을 둔 것처럼 보였다. 그러나 최근 김굉필의 도학에서 『소학』과 『대학』이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는 연구가 이루어져 그의 학문에 대한 새로운 이해를 기대할 수 있게 되었다.
    김굉필에 대한 연구에서 빠지지 않고 거론되는 사실이 그의 스승인 金宗直과의 관계인데, 대부분의 연구는 그 두 사람의 공통점보다는 차이점에 주목한다. 그리하여 학문적 차이나 정치적 견해의 차이 때문에 결국 두 사람이 갈등을 겪게 되었다고 이해한다. 최근의 연구는 이 두 사람의 갈등 속에서 出處論이 정착되어가는 모습을 발견하고 있다. 출처론은 성리학의 이념체계 속에서 핵심적인 내용이다. 그러나 이제까지 이 이념에 대해 주목한 연구는 거의 없다. 성리학 도입 이후 출처론이 어떻게 받아들여졌고, 출처론의 전개과정 속에서 김굉필의 출처론이 어떤 의미를 갖는지 살피는 것은 앞으로의 과제이다.
    김굉필이 조선시대의 유학사에서 차지하는 위치를 설명하기 위해서는 그의 門人에게도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기왕의 연구는 그의 문인 가운데 趙光祖에게만 관심을 집중하였다. 그 외에 거론되는 문인으로는 김안국 정도를 들 수 있을 뿐이다. 그러나 실제 김굉필의 문인 가운데는 이들 이외에도 중요하게 취급되어야 할 인물들이 있었다. 그들에 대한 연구 역시 앞으로의 과제로 남아있다. 김굉필의 문인과 관련된 또 하나의 문제는 그의 문인으로 거론되는 인물들 가운데 師弟관계를 확인하기 힘든 인물이 있다는 점이다. 특히 김굉필 연구에서 중요한 자료로 취급되는 <寒氷戒>와 관련이 있는 潘佑亨이라는 문인은 자세한 검토가 필요한 인물이다.

    영어초록

    The Theory of Dotong(道統) has reigned The understanding of Confucian history in Choseon Dynasty. Therefore, the existing studies of Kim Going-pil(金宏弼), an Confucian scholar in 15thcentury, has been strongly affected by the Theory of Dotong. This misunderstanding about Kim Going-pil was due to lack of critical apparatus. Recently there are some new researches interpreting the life of Kim Going-pil and his acadmic achivements in different way from the Theory of Dotong. This article is to summary existing studies and seek the way to overcome the Theory of Dotong for understanding Kim Going-pil.
    The existing studies about Kim Going-pil has called his thought as Moral Philosophy(道學) and called him as the progenitor of Moral Philosophy. However this view has caused the problem of subjectivity. Since the concept of Moral Philosophy had been existed before Kim Going-pil, and it can be interpreted in various ways. Therefore, this article would suggest that his thought should be interpreted in historical context of Moral Philosophy.
    『SoHak(小學)』is one of the most important subject to explain Kim Going-pil’s Moral Philosophy. The point is the difference between his 『SoHak』 and the 『SoHak』 before his study. 『SoHak』had been emphasized as textbook for KwaGeo(科擧) and for children’s education. In opposition, Kim Going-pil’s 『SoHak』 had no relationship with KwaG대 and he studied 『SoHak』 for his lifetime. 『SoHak』 had so large part of Kim Going-pil’s study that most researches on him leaned toward 『SoHak』. In the result of those biased studies, Kim Going-pil has been seen that he only focused on moral training(修己) instead of governing(治人). But, this article insist of the view that 『SoHak』 and 『DaeHak(大學)』 were connected in his Moral Philosophy organizationally would be appropriate.
    Kim Going-pil’s personal relations are also useful way to understand his academic and political position in history of Chosun Dynasty. The relationship between Kim Going-pil and Kim Jong-jik(金宗直), his master, is very important part to understand Kim Going-pil. Most researches about them has focused on the differences rather than common ground between them. And the researches have insisted that those differences created conflict. But recent studies has revealed that the conflict between Kim Jong-jik and Kim Going-pil made progress in The Theory of Chulcheo(出處) which is core concept of Neo-Confucianism. Meanwhile, Jo Kwang-jo(趙光祖) has been regarded the only disciple of Kim Going-pil. Besides him, however, there were a few more literary men who had to be noticed. The researches on Kim Going-pil’s literary men are very insufficient. This paper would review advanced researches on Kim Going-pil’s life and studies, and suggest that follow-up studies find out the new meaning of Kim Going-pil in Confucian history of Chosun-Dynas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영남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3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