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평창동계올림픽 엠블럼의 기호학적 가능세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emiotic Passible World of the Pyeongchang Winter Olympic Games Emblem)

1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9 최종저작일 2015.03
12P 미리보기
평창동계올림픽 엠블럼의 기호학적 가능세계에 관한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 수록지 정보 :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 19권 / 181 ~ 192페이지
    · 저자명 : 김윤배, 김가이

    초록

    올림픽은 단순히 세계인의 화합을 위한 스포츠 대회만은 아니다. 개최국의 과학과 기술 그리고 문화예술의 총체적 역량을 보여주는 세계인의 축제의 장이다. 올림픽 엠블럼은 개최국의 총체적인 역량의 아이덴티티를 시각적인 표층적 매개체의 역할과 함축된문화적 의미를 담은 텍스트로도 기능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평창동계올림픽 엠블럼을 표층적 기표를 통해, 내면적 기의를 분석하는 텍스트기호학적 관점에서 개최국의 이미지가 세계인들에게 잘알려질 수 있는 매개체임을 입증하는 데 있다. 엠블럼은 추상적으로 인지되는 형태적 그림이면서도, 한편으로 수용자의 의식 안에서 무엇인가를 추리해내는 사고적 행위로 작동한다. 이것을 입증하기 위해서는 엠블럼 표현의 기호를 해석하고 읽어내는 수준을 넘어행위 중에 발화하는 언표, 즉 하나의 표현이 수행되는화용적 상황(Pragmatic Situation)에 주목하여 가능세계로 접근하는 방법론이 제기되었다. 특히 구상적인성격을 가진 엠블럼과 달리 표현체(formant)로 나타난대상들이 추상적 대상일 경우 이들이 실현하는 유의미적 자질을 분석해 내려면 좀 더 풍부한 메타언어를확보해야만 하였다. 추상적 표현체를 구상적 표현체로간주하는 문제는 기호학적 가능 세계론으로 접근하여연구하였다. 표면적으로 엠블럼의 시각적 요소인 ‘ㅍ’은 우리 한글을 모티브로 하여 개최지 ‘평창’의 ‘평’의초성 ‘ㅍ’과 하늘, 땅 그리고 사람들의 어울림을 우리의 전통사상인 천지인을 상징적으로 표현하였고, 'ㅊ'은 ’평창‘의 ’창‘의 초성 ‘ㅊ'과 눈과 얼음의 결정체이미지, 동계스포츠 선수를 형상화하였다. 동계스포츠와별 이미지를 통해 평창올림픽에서 화려하게 탄생할스포츠 스타를 상징화하여 개최 도시 및 국가 이미지그리고 동계올림픽의 의미를 함축하고 있음을 분석하였다. 결론적으로 엠블럼도 모든 국가가 지구촌이라는하나의 무대에서 현대와 과거가 어우러진 시공간적이야기를 풀어내어 청중(독자)에게 다차원적 가치로해석되고 경험되는 가능세계가 ‘참’이 됨을 알 수 있었다.

    영어초록

    The Olympic Games are not only a sportsfestival that unite the world, but also a globalfestival enabling the host to showcase itsachievements in science, technology, art and culture.
    The Olympic Games emblem works as a mediumidentifying visually the comprehensive competenceof the host, as well as a sign imbued with culturalmeaning. Regarding this, the goal of this study isto show how the Olympic Games emblem couldwork as an effective medium delivering the identityof the host to the world in terms of semiotics,specifically through a case study of thePyeongchang Winter Olympic Games emblem. Anemblem is an image which has a specific form, andthe audience deduce meanings from the image. Inthis study, I suggest a methodology approaching‘possible worlds’ by focusing on a locutionary act,that is a ‘Pragmatic Situation’ in which anexpression is actualized, rather than merely readingand interpreting the signs or image of the emblem.
    In particular, abstract ‘formant’s, which unlikeemblems with a concrete ‘structure’, we have to beable to use rather inventive meta-language tounderstand. Therefore, I consider abstract ‘formant’sas concrete in terms of a ‘semiotic possible world’.
    For example, ‘ㅍ’, a visual element of thePyeongchang Winter Olympic Games emblem andthe initial consonant of the syllable ‘평’ from thename of the city ‘평창’, expresses symbolically oneof the traditional Korean ideas of the harmony ofthe universe, the earth, and people. As the initialconsonant of ‘창’, ‘ㅊ’ symbolizes snow and icecrystals and the Olympic athletes. Through theimages of winter sports and competitors, theemblem symbolizes sports stars rising up from theOlympic Games. Therefore, the emblem implies themeanings of the Olympic Games as well asrepresenting the images of the hosting city andnational identity. In conclusion, the Olympic Gamesemblem works as a medium leading audiences toexperience a possible world, which can beinterpreted and experienced in a many ways, as‘truth’ by reflecting the harmony of time (thepresent and the past) and space (as a globalvillag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8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2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