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우세남(虞世南)의 「계묘(契妙)」편 해석과 불교적 분석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Yu Shinan’s Profound theory and Buddhism)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9 최종저작일 2015.12
26P 미리보기
우세남(虞世南)의 「계묘(契妙)」편 해석과 불교적 분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사상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사상과 문화 / 80호 / 365 ~ 390페이지
    · 저자명 : 이영철

    초록

    동양예술의 근간인 서예는 흑색의 선(線)과 백색의 지면(紙面)위에 붓으로 표현하는 예술이다. 그리고 이 서예는 문자의 발명과 함께 발전하면서 그에 이입된 차원 높은 사상과 문화가 함께하고 있다. 다시 말해서 예술가들은 예술실천 속에서 터득한 자신의 인생관과 세계관, 예술관 등이 그들 이론에 반영되기 마련이다. 서예이론 역시 서예실천과정에서 당시의 사상과 문화가 함께하고 있다. 그래서 우리는 서예를 일종의 철학적 예술이며 서예이론은 하나의 예술적 철학이라 부른다.
    더욱 동양철학의 토대라 할 수 있는 불교는 서예와 불가불의 관계이며 서로에게 많은 영향을 주고받았다. 이에 본고에서는 우세남(虞世南)의 『필수론(筆髓論)『 「계묘(契妙)」편 전문에 나타난 불법의 영항을 살펴 우세남의 서예이론에 미친 불교를 고찰하였다.
    우세남은 그의 저서 『필수론』에서 “서예는 무조건 쓰는 것이 아니라 반드시 마음의 깨달음이 있어야 한다”며 「계묘」편에서 ‘심오(心悟)’를 주장하며 글씨와 정신의 관계를 설명하고 있다. 물론 앞서 이들을 유학(儒學), 도학(道學)방면에서 고찰하는 논고는 있지만 이들과 불법의 관계를 밝히는 논고는 많지 않다. 그러므로 본고에서는 우세남의 저서 『필수론』에 나타난 ‘심오’를 불교의 경전을 통하여 분석 정리하였다.
    우세남이 말한 ‘심오’는 심성의 자각과 자증(自證)이며 망상의 때를 깨우치고 증험함이다. 특히 서예는 임모(臨摹)에서부터 시작하여 ‘심오’에 이르려야 한다는 우세남의 명제는 형태의 전달에서 정신을 나타내는 것이며, 구체적인 물상으로부터 이성에 이르는 것이라 말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마음을 깨우치면 그의 글씨는 비로소 진리와 어긋나지 않고, 절묘한 경지와 합치될 수 있다는 것이다. 다시 말해서 명성과 이익을 쫓으며 공교함과 졸함을 지나치게 따지면 서예의 진리는 알 수 없다는 결론에 이르고 있다.

    영어초록

    Calligraphy, which is based on oriental art, is the art of expressing the brush over the black line (線) and the white ground (紙面). Calligraphy evolves with the invention of letters and level of ideology and culture are transferred with this. In other words, artists have their own view of life and worldview, art galleries, etc. learned in art practice are bound to be reflected in their theories. Calligraphy theory is also with the history and culture at the same time by practicing calligraphy course. So, calligraphy is called as sort of philosophical art and calligraphy theory is referred to as one of the artistic philosophy. Moreover, Buddhism, based on Eastern philosophy, and calligraphy are inseparable and had to give a lot of influence on each other. In this paper, it is studied that calligraphy theory influenced by Buddhism especially in Gae-myo of Yu Shinan's Pil-su-lon.
    In the Yu Shinan's book, he explain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ext and the spirit by claiming profound(心悟). Profound was studied in Confucianism and Ethics but was not considered in the relationship with Buddhism. Therefore, in this paper, it is analysed and summarized Yu Shinan’s Profound through the scriptures of Buddhism. Profound is self-awareness and one's own evidence, and the verification of the waste of delusion.
    As a result, letter is the truth with self-awareness and that would be consistent with the exquisite heights. In other words, if chasing fame and profits, it cannot be known the truth of calligraph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사상과 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6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1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