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해양생태계 모니터링을 위한 식물플랑크톤 자료의 정도 관리 동향 (Trends in QA/QC of Phytoplankton Data for Marine Ecosystem Monitoring)

1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9 최종저작일 2021.08
18P 미리보기
해양생태계 모니터링을 위한 식물플랑크톤 자료의 정도 관리 동향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해양학회
    · 수록지 정보 : 바다 / 26권 / 3호 / 220 ~ 237페이지
    · 저자명 : 이원호, 박종우, 성경아, 박종규, 유영두, 김형섭

    초록

    1880년대에 들어서서 해양 식물플랑크톤의 기능적 중요성이 처음 주창된 이래, 전통적인 형태 관찰법 및 진보된 형태 자동분석 기술을기반으로 하여 다량의 식물플랑크톤 종별 정량자료가 생산되었다. 최근에는 해수시료 중의 색소를 직접 분석하거나 원격탐사 자료를 해석하여 색소특성에 따른 분류군별 정량자료를 생산함으로써, 자료생산 방법이 점점 다양해지고 자료 확보 대상 정점에 대한시공간적 접근성도 크게 개선되고 있다. 장기적인 해양생태계 모니터링에서 식물플랑크톤의 종별 정량자료가 생산된 경우도 적지않아, 각각의 해역에서 중장기적인 해양 식물플랑크톤의 구조와 기능의 변동에 대한 중요한 증거로 활용될 수 있다. 그러나 모니터링 기간 전체에 걸친 연대별 자료 생산자 간의 차이로 인해 이러한 자료의 활용성이 제한될 수 있는데, 시료 처리 및 분석법, 종의 확인 및 분류, 분석이 완료된 시료의 관리 등의 다양한 측면에서 연대별 생산자 간의 편차가 적지 않다. 해양 식물플랑크톤의 종별 정량자료 값을 정확하게 구하기 위한 심도있는 연구는 1880년대 후반 Victor Hensen이 시작한 것으로 평가된다. 정확도를 포함한 해양 식물플랑크톤 자료의 정도 관리에 관한 국제적인 논의는 ICSU의 SCOR Working Group 33을 중심으로 1969년에 시작되었다. 첫결실로 UNESCO 해양과학기술보고서 제18편이 1974년 출판되었는데, 이는 UNESCO의 해양학 방법론의 전문연구서적 제6편인Phytoplankton Manual 출판의 실마리였다. 1990년대 말에는 ISO 기준에 따른 해양 식물플랑크톤 종별 정량자료의 정도관리를 달성하여, 국제적인 자료의 상호비교 및 교정을 가능하게 하려는 수행기구인 IPI (International Phytoplankton Intercomparison)의 전신인BEQUALM 사업이 유럽에서 본격 출범하였다. IPI는 지난 20여 년간의 경험과 실적을 바탕으로 정도관리 기준을 모든 나라에서 적용할 수 있도록 국제협력을 강화해 나가고 있다. 우리나라의 해양화학 분야 측정자료의 정도관리 체계와 내용이 잘 정립된 데 비하여, 해양생물의 종별 정량자료에 대한 본격적인 정도관리 체계는 아직 법제화 단계에 이르지 못하고 있다. 우선, 해양생태계의 기초생산자인 식물플랑크톤의 종별 정량자료에 대한 정도관리 체계를 확립하고, 다양한 기능생물군으로 이를 확장해 나갈 필요가 있다.

    영어초록

    Since the functional importance of marine phytoplankton was firstly advocated from early 1880s massive data on the species composition and abundance were produced by classical microscopic observation and the advanced auto-imaging technologies.
    Recently, pigment composition resulted from direct chemical analysis of phytoplankton samples or indirect remote sensing could be used for the group-specific quantification, which leads us to more diversified data production methods and for more improved spatiotemporal accessibilities to the target data-gathering points. In quite a few cases of many long-term marine ecosystem monitoring programs the phytoplankton species composition and abundance was included as a basic monitoring item. The phytoplankton data could be utilized as a crucial evidence for the long-term change in phytoplankton community structure and ecological functioning at the monitoring stations. Usability of the phytoplankton data sometimes is restricted by the differences in data producers throughout the whole monitoring period. Methods for sample treatments, analyses, and species identification of the phytoplankton species could be inconsistent among the different data producers and the monitoring years. In-depth study to determine the precise quantitative values of the phytoplankton species composition and abundance might be begun by Victor Hensen in late 1880s. International discussion on the quality assurance of the marine phytoplankton data began in 1969 by the SCOR Working Group 33 of ICSU. Final report of the Working group in 1974 (UNESCO Technical Papers in Marine Science 18) was later revised and published as the UNESCO Monographs on oceanographic methodology 6. The BEQUALM project, the former body of IPI (International Phytoplankton Intercomparison) for marine phytoplankton data QA/QC under ISO standard, was initiated in late 1990. The IPI is promoting international collaboration for all the participating countries to apply the QA/QC standard established from the 20 years long experience and practices. In Korea, however, such a QA/QC standard for marine phytoplankton species composition and abundance data is not well established by law, whereas that for marine chemical data from measurements and analysis has been already set up and managed. The first priority might be to establish a QA/QC standard system for species composition and abundance data of marine phytoplankton, then to be extended to other functional groups at the higher consumer level of marine food web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바다”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4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