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임란 초기 전라좌의병과 임계영의 의병활동 - 전라도 근왕의병의 활동 사례 - (Activities of Jeolla Left Loyal Troops(全羅左義兵) and Im Gye Yeong(任啓英) during the Early Japanese Invasion of Chosun in 1592 - Activities of loyal troops protecting the whole nation(勤王義兵) of Jeolla-do -)

4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8 최종저작일 2011.06
40P 미리보기
임란 초기 전라좌의병과 임계영의 의병활동 - 전라도 근왕의병의 활동 사례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조선시대사학회
    · 수록지 정보 : 조선시대사학보 / 57호 / 73 ~ 112페이지
    · 저자명 : 조원래

    초록

    임진왜란시 전국적으로 봉기하여 일본군과 싸운 의병의 주류는 鄕保義兵이었다. 전라도를 제외한 전국이 일본군의 침략을 받은 상태에서 자연히 출신지역별 의병전투가 전개될 수 밖에 없었다. 그러나 전라도의 경우엔 북부의 일부 산간지역을 제외한 대부분의 지역이 보전되었다. 따라서 임진왜란을 극복함에 있어서 나라에서 믿는 바는 곡창 전라도의 물력과 인력 뿐이었다. 이와 같은 배경에서 당시의 전라도는 7년전쟁의 병참기지 역할을 수행하였고 도내에서 일어난 의병 또한 향토방위전이 아닌, 국토방위전의 활동을 펼쳐야 했었다. 도성수복을 위하여 경기도로 북상하여 침략군과 싸우거나, 적세가 치성한 경상도에 진군하여 失地恢復을 위한 의병전투를 전개하였다. 이른 바 勤王義兵의 활동을 펼친 뚜렷한 예가 전라도 의병이었다.
    1592년 7월 전라도 보성과 장흥지역을 중심으로 일어난 임계영 휘하의 전라좌의병은 최경회 휘하의 전라우의병과 함께 연합전선을 이룬 가운데 경상우도에 진군하여 일본군과 싸웠다. 이들의 主攻戰線은 거창․성주․개령․선산지역이었으며, 그 중에서도 성주 개령지역에서 계속된 전투에서 거둔 전과는 매우 컸다. 개전 초부터 毛利輝元(모리 테루모토)와 桂元綱(카쓰라 모토츠나) 휘하의 일본군 주력부대가 소굴을 이루고 있었던 성주 개령일대를 수복하였기 때문이다. 특히 임진년 12월 14일에 벌어진 성주대첩에서는 성내에 진치고 있던 일본군을 들판으로 유인한 후, 현지의 관군과 향보의병이 모두 전투를 기피한 상황에서, 전라좌의병 독력으로 적병을 거의 섬멸하였다. 당시 이 지역에서 세운 전라좌의병의 뚜렷한 전공은 현지의 의병지도부와 비변사의 평가에도 잘 나타나 있다.
    전라좌의병장 임계영은 16세기 전라도 사림파 가문의 일가였던 장흥임씨가의 인물로서 선조 초에 문과에 급제하여 진보현감을 지낸 전직문관이었다. 그는 65세의 노령에 의병을 일으켜 천리 밖에 떨어진 경상우도의 산간지역에서 의병활동을 계속하였으며, 성주와 개령지역을 탈환하였을 때는 66세의 고령이었다. 특히 그가 이끈 전라좌의병의 작전기간이 겨울 추위가 한창이던 때, 설한의 동토에서 진행된 악전고투의 의병항쟁이었다는 사실이 주목된다.
    임란 초기 전라좌의병과 임계영의 의병활동을 통해 본 근왕의병의 활동여건은 향보의병에 비하여 큰 차이가 있었다. 지리적으로 멀리 떨어진 원격지에서 펼친 군사활동이었다는 점에서 먼저 군량조달과 병력충원의 여건에서부터 현지 향보의병과는 크게 달랐고, 매우 불리하였다. 뿐만 아니라 의병의 사기를 저하시키는 갖가지 어려움이 뒷따른 가운데서 경상우도의 실지회복에 공헌했던 것이 전라좌의병의 근왕활동이었다. 아울러 전략전술면에서 독특한 전법을 구사한 것도 전라좌의병 지휘부였다. 군사행정과 전투지휘를 문관출신의 의병장과 무재가 뛰어난 副將이 각기 분담하여 의병활동을 성공적으로 이끌었던 것이다. 즉 실전에서는 항상 부장 張潤이 정예병 수백명을 이끌고 신속하게 적진을 공격하는 형태를 취하였고, 노의병장은 전투현장에서 가까운 본진에 위치하여 군수보급과 행정업무를 총괄하였다. 이것은 곧 민병조직의 비정규군이 갖는 취약성을 보완, 의병의 전투효과를 극대화하는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따라서 임란 초기의 의병활동에서 보여준 독특한 유형의 의병전략이었다는 점에서 주목되는 사례이다.

    영어초록

    During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loyal troops who uprose and fought against Japanese army were mostly local loyal troops (鄕保義兵: protecting the local area). Since all of the national territory except Jeolla-do was invaded, it was natural to have local battles by loyal troops. However, most areas were protected except for a part of the northen mountainous areas in Jeolla-do which was the breadbasket. The nation was relying on material and human powers of Jeolla-do in order to overcome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During the war for 7 years, Jeolla-do served as a logistics base, and the loyal troops of honam area did not only serve as local troops but protected the nation. They came north to Gyeonggi-do to fight the capital back or advanced to Gyeongsang-do where enemies were vigorous to recover the lost lands. The only national loyal troops (勤王義兵 : protecting the whole nation not just the region) were honam loyal troops.
    Jeolla left loyal troops (全羅左義兵 : loyal troops in the left Jeolla-do area) under Im Gye Yeong(任啓英) uprose based on Boseong and Jangheung area of Jeolla-do in July 1592 built the united front with Jella right loyal troops (全羅右左兵 : loyal troops in the right Jeolla-do area) under Choi Gyeong Hoi(崔慶會) to advance to right Gyeongsang-do(慶尙右道) and fought with the Japanese army. Their major front was Geochang, Seongju, Gaeryeong and Seonsan area, and especially the result of the battle in Seongju and Gaeryeong area was great because they recovered those areas where the major Japanese troops under Mori Terumoto(毛利輝元) and Katsura Mototsuna(桂元綱) were dominating from the beginning of the outbreak of the war. Especially in Seongju Great Battle(星州大捷) on December 14, 1592, Jeolla left loyall troops independently destroyed almost all enemies by luring the Japanese army that were inside the castle to the field without the help of local royal forces and loyal troops. This clearly distinguished service of Jeolla left loyal troops in war is well recorded in the evaluations of local loyal troops leadership and bibyeonsa (the Office of Border Defense).
    Im Gye Yeong, the commander of Jeolla left loyal troops, is from Jang Heung Im family which was a Sarim group of Jeolla-do in 16th century. He was a former civil servant who was once jinbohyeongam(眞寶縣監) after passing the civil servant examination in the early Seonjo Dynasty. He gathered the loyal troops at the old age of 65 and continued resisting the Japanese army in the mountainous right Gyeongsang-do area about 390km away. When he recovered Seongju and Gaeryeong areas, he was 66. It is worth of notice that the battle time of Jeolla left loyal troops lead by him was in the middle of winter to make the resistance battles tough fights.
    The activities of Jeolla left loyal troops and Im Gye Yeong during the early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the activity tendency of loyal troops serving the King is very different from it of local loyal troops. Since they carried military activities in geographically remote places, they had difficulties of food supplies and reinforcing very much unlike local troops. Against all difficulties that can collapse the morale of loyal troops, Jeolla left loyal troops served the King by fighting to recover the right Gyeongsang-do. Also, the command of Jeolla left loyal troops showed unprecedented battle strategies. The commander who was a former civil servant in age 65 and the young general with great martial arts skills each directed military administration and direction of actions to lead successful activities of loyal troops. In other words, at the battle sights, General Jang Yun lead 200 or 300 elite soldiers to attack the enemy's position quickly, and the old commander stayed in near military headquarters to handle military supplies and administration affairs. It fundamentally supplemented weaknesses of militia irregular troops and maximized the battle outcomes of the loyal troops. It is remarkable that it was a new strategy shown in loyal troop activities to serve the King in the early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참고자료

    · 없음

    태그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7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4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