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920-30년대 불교계의 사회주의에 대한 인식 (How Socialism Was Understood by Korean Buddhists in 1920s-1930s)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8 최종저작일 2012.12
29P 미리보기
1920-30년대 불교계의 사회주의에 대한 인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각사상연구원
    · 수록지 정보 : 대각사상 / 18호 / 329 ~ 357페이지
    · 저자명 : 김종인

    초록

    3.1운동의 실패와 러시아 사회주의 혁명의 성공 후 사회주의는 한국사회에 빠르게 전파되었다. 사회주의는 여러 측면에서 한국사회에 영향을 미쳤다. 한국의 정치지도자들과 지식인들은 일본제국주의로부터 해방될 수 있는 새로운 전망을 찾고 있었는데, 그들 중 상당수가 사회주의가 그 대안이 될 것이라고 보았다. 한국불교도들 또한 사회주의의 정치사회적인 측면과 철학적인 측면 모두를 나름대로 검토하였다. 사회주의자들은 종교가 계급적 착취의 도구라고 비판하였으며, 그 비판 대상에는 불교도 포함되었지만, 불교인들은 사회주의에 대해 대체적으로 우호적인 태도를 취했다. 부처가 카스트 제도를 비판하였으며, 사람들 간에 어떠한 차별도 두지 않았으며, 승단은 공산주의 시초라고 보았기 때문이다. 그러나 불교인들은 유물론에 대해서는 다른 태도를 취했다. 신을 부정한다는 점에서는 유물론이 불교와 일치하지만, 불교는 정신과 물질의 불이론의 철학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유물론과는 다르다고 보았다.
    당시 사회주의에 대한 글을 쓴 대부분의 불교 저자들은 사회주의와 유물론에 대한 체계적인 인식을 하고 있지는 않았다. 이들의 사회주의와 불교에 대한 유사성에 대한 지나친 강조는 매우 단순하고 거친 이해를 바탕으로 하고 있지만, 불교와 사회주의에 대한 보다 심도 있는 이해를 가지고 있는 현대의 학자들 사이에서도 두 사상체계 사이의 유사성을 확인하는 경우가 많다.

    영어초록

    Socialism came rapidly into Korean society in the 1920s, after the failure of the March 1st movement and the success of the socialist revolution in Russia. Korean political leaders and intellectuals were looking for a new vision for the liberation of Korea from Imperial Japan, and many of them saw socialism as the most favorable alternative. Socialism influenced Korean society from many aspects, and Korean Buddhists also examined socialism from the socio-political aspect as well as philosophical aspect. Although socialists criticized religions, including Buddhism, as a tool of the exploiting classes, Buddhists saw socialism in favorable manner, believing that there were similarities between the two thought systems. Buddhists believed that the Buddha denied the cast system and never discriminated against people, and that Buddhist monastic community is a pioneering example of Communism. They, however, held a different view of materialism. They believed that materialism correspond with Buddhist views with regard to the denial of God, but Buddhist philosophy, unlike historical materialism, have a highly developed concept regarding non-duality between the material realm and the mental realm.
    Most of the writers of the time did not have thorough understanding of Socialism and materialism. While some of them excessively emphasized the similarity between Socialism and Buddhism -- on the basis of a very simple and rustic understanding of Socialism -- their basic understanding of the similarities and the differences between the two thought systems seems to concur with the views of modern scholars who are more thorough knowledgeable about both Buddhism and Socialism.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대각사상”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0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