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한국 종교계의 정치적 이념성향 연구를 위한 제언 (A study on the political ideologies of religious sects in Korea)

2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8 최종저작일 2017.06
25P 미리보기
한국 종교계의 정치적 이념성향 연구를 위한 제언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사상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사상과 문화 / 88호 / 337 ~ 361페이지
    · 저자명 : 이혜숙

    초록

    종교계의 이념성향은 외재적· 내재적 변인으로 구분할 수 있는 바, 외재적 측면의 정치적 이념성향에 관한 기존연구들에서 시사점을 얻고, 향후 필요한 추가연구들에 대해서 제안하였다. 해방이후 한국사회는 ‘친미· 반공’의 이념이 지배적이었고, 주로 복음주의 경향의 개신교가 정권의 비호 아래 교세를 확장했다. 1987년 이후 많은 종교계 NGO가 생겨났고, 정권과 긴장관계를 갖는 다양한 시민운동을 이어갔다. 종교계 지도자들의 이념성향이 종교계 전체의 성향을 반영한 것은 아니며, 개개인의 정치적 태도와 함께 이념성향을 조사했지만 다차원의 이념성향을 조사한 것은 드물었다. 종교별로 정치사회적인 이념성향이 결집되고 표출되는 과정에 차이점이 있다. 종교공동체에 참여하는 관행을 보더라도 개신교와 천주교는 불교에 비해 신자의 몰입(committment)을 확실하게 요구한다. 개신교의 개(個)교회주의나 천주교의 교단중심 체제에 비해서, 불교의 조직 구속력은 매우 느슨한 편이다. 국민대중의 내면에는 평등/반(反)평등· 변화/반(反)변화의 이념이 혼재되어서 이념적으로 불안정한 태도가 나타났다. 세속적인 이해관계로 정교유착을 하기 때문에, 그러한 종교 세속성이 사회균열을 유발할 수 있다. 반면에, 종교성이 사회자본을 형성하고 사회구성원끼리 상호신뢰 및 호혜(互惠)로써, 사회적 건강(societal health)을 기대할 수도 있다. 종교계의 권력집단과 하부집단 간 상호작용이나, 평신도들의 조직 내 참여경험이 어떠한가를 알지 못한 채, 해당조직을 진보/보수라고 단정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을 수가 있다.

    영어초록

    In this paper, I propose further studies necessary on the implications of political ideology of the religious affiliations. After liberation, Korean society was dominated by the ideology of "pro-American and anti-communism," and Protestants expanded their political power under the supports of the regime at that period. Since 1987, many religious NGOs have emerged and have continued various civic movements with tensions against the regime. The ideological tendencies of religious leaders did not reflect the tendency of the whole religious community, and the individual's ideology was investigated barely at the point of political attitudes, not at the level of multi- dimensionality.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process of collecting and expressing political and social ideology respectively by the religious affiliations. Protestants and Catholics certainly demand the strong commitment of believers as compared to Buddhists, even in the practice of visiting in temples. Compared to the principle of individual-churchism in Protestant and the Order-centered Catholic, the solidarity power of Buddhists is very loose.
    Instability appeared in the ideology of nation people, because of coexistence of ideology of equality and anti-equality/ change and anti-change. Such religious secularization can lead to social cleavages because the politics and the religions are in back-scratching alliance for their own interests. On the other hand, religiosity can form social capital and produce the societal health, as mutual trust and reciprocity among members of society. It may not be desirable to assume that the religious affiliations is progressive or conservative without knowing the interaction between the religious power group and the subgroup or the lay members' experiences from socio-political activities within the religious communi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사상과 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5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