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조선 후기 ‘사산비명’의 유통과 호남사상계의 동향 (The Distribution of 'Sasanbimyeong' in the Late Joseon Dynasty and the Trends of Honam Thought Related to It)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8 최종저작일 2023.12
28P 미리보기
조선 후기 ‘사산비명’의 유통과 호남사상계의 동향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신라사학회
    · 수록지 정보 : 신라사학보 / 59호 / 405 ~ 432페이지
    · 저자명 : 장일규

    초록

    조선 후기 호남 불교계는 최치원이 찬술한 비명을 그의 문집에서 발췌하여 ‘사산비명’으로 엮었다. ‘사산비명’의 주해본은 주로 낭혜의 비명을 제일 앞에 두고 진감의 비명과 지증의 비명을 배열하였다. 하지만 근래에 이르러 석전정호는 비명의 찬술 시기에 따라 진감, 낭혜, 지증의 비명을 순서대로 엮기도 하였다.
    ‘사산비명’의 주해본은 중관해안, 몽암기영, 홍경모, 범해각안, 석전정호 등이 만들었다. 임란 이후 중관해안은 화엄사에 주석하면서 대화엄종주로 자리하였는데, 당시 벽암각성은 화엄사와 연고를 가지고 활동하였다. 자연히 호남의 화엄불교계에서는 중관해안이 가려 뽑은 ‘사산비명’을 중시하는 경향을 가졌고, ‘사산비명’은 화엄사뿐만 아니라 대흥사, 징광사, 송광사, 선암사 등을 중심으로 호남 불교계에도 제법 영향을 미쳤다. 특히 백파긍선이 머문 순창 구암사를 중심으로도 계승되었고, 석전정호가 ‘사산비명’ 주해본을 대체로 계승하며 호남 불교계의 전통을 이어나가고자 하였다.

    영어초록

    In the late Joseon Dynasty, the Honam Buddhist community extracted CHOI Chi-won's epitaphs from his literary collection and woven them into ‘Sasanbimyeong’. This was not irrelevant to the tendency to build pagoda monuments everywhere to emphasize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and disciples along with monks who entered the temple while placing importance on the world of Buddhism after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However, the Hwaeom(Huayan sutra) Buddhist community devoted their heart to the compilation and dissemination of ‘Sasanbimyeong’ centered on Hwaeomsa Temple, which succeeded Haeinsa Temple's buddhist doctrine.
    Most of the interpretations and footnotes of ‘Sasanbimyeong’ tended to arrange the epitaph of Jingam and Jijeung with Nanghye in front. However, depending on when the epitaphs were completed, Monk Seokjeon Jeongho used to list Monk Jingam, Monk Nanghye, and Monk Jijeung.
    The interpretation and footnotes of the ‘Sasanbimyeong’ were generally given to Monk Junggwan Haean, Monk Mongam Kiyoung, Confucian scholar Hong Gyeong-mo, Monk Beomhae Gakan, and Monk Seokjeon Jeongho. After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Monk Junggwan Haean stayed at Hwaeomsa Temple and established himself as the Great master of the Hwaeom. At that time, Monk Byeokam Gakseong was involved in various works on Hwaeomsa Temple. Naturally, the Hwaeom Buddhist community in the Honam region tended to value the ‘Sasanbimyeong’ chosen by Monk Junggwan Haean, and the ‘Sasanbimyeong’ had a significant impact on the Honam Buddhist community, focusing on Hwaeomsa Temple, Jinggwangsa Temple.
    Since then, the Buddhist Monk Baekpa Geungseon has passed it down to the center of Guamsa Temple in Sunchang. Naturally, Monk Seokjeon Jeongho wanted to continue the Honam Buddhist tradition by inheriting the interpretation of the ‘Sasanbimyeong’ and a footnot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신라사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5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2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