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21세기 중국학계의 중국 해양재해사 연구동향 (State of Chinese Academic Research on China's Maritime Disaster History Since the 21st Century)

3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8 최종저작일 2024.06
39P 미리보기
21세기 중국학계의 중국 해양재해사 연구동향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생태환경사학회
    · 수록지 정보 : 생태환경과 역사 / 12호 / 117 ~ 155페이지
    · 저자명 : 박지혜

    초록

    해양재해사는 해양사와 재해사 관점을 상호 융합한 연구 분야이며 역대 해양 재해 사건을 재검토 및 분석을 통해 실제로 해양 재해로 인한 피해를 예방하는 귀중한 참고 자료가 되어 학술적으로도 가치가 높다.
    중국학계에서 해양재해사의 시작은 개혁개방 이후 1980년대 자연과학 분야의 연구자들을 중심으로 정사(正史), 해안지역 지방지, 관공서 문서(檔案), 문학작품 등에서 태풍 해일과 같은 해양 재해 관련 기록을 수집 및 정리하여 자연과학 이론을 기반으로 해양 재해 사료를 분석하는 방식으로 시대별 해양 재해 유형과 특징, 발생 주기, 데이터 통계 중심의 연구 경향을 보였다. 21세기에 접어들면서도 해양사와 재해사 두 분야의 연구가 국가와 사회의 주목을 받고 있고, 해양재해사는 학제 간 융합연구 분야로 연구 성과들이 계속 축적되고 있으며, 이론적인 가치를 인정받고 있다. 또한 기존의 자연과학 이론과 연구 방법을 기반으로 한 자연재해 기록 분석, 통계 연구에서 벗어나 소재가 확대·다양화되고 있다.
    한국학계에서도 21세기에 들어와 해양사 연구의 중요성에 대한 본격적인 논의가 시작되었고 대학연구소를 중심으로 ‘해양 인문학’,‘해양 문화학’,‘해항 도시학’ 등 해양사 연구가 활성화되었다. 해양사를 중시하는 국내의 학문적 분위기는 해외학계의 해양사 연구에도 관심을 가지며 중국과 일본의 연구 동향을 소개하는 논문이 최근까지 발표되었다. 그러나 해양기후 및 해양 재해에 대해서는 관심도와 연구성과가 중국학계와 비교하면 아직 걸음마 단계라 할 수 있다. 또한 중국 해양재해사는 이미 다수의 연구 성과가 축적되어 있음에도 국내에서는 아직 중국 해양재해사 연구 동향이 소개되지 않고 있다. 21세기 이후 최근 20여 년 동안의 중국학계의 중국 해양재해사 분야로 범위를 한정하여 해양 재해의 유형, 해양 재해 발생으로 인한 사회적 영향과 대응, 해난사고로 나누어 연구현황을 간략히 소개하고 해양과 관련한 재해사와 생태사에 관심이 있는 국내 연구자에게 다각적인 연구 시야를 가지는 데 도움을 주고자 한다.

    영어초록

    Marine disaster history is a research field that combines the perspectives of marine and disaster history. Such research has great academic value as reference material to prevent damage caused by marine disasters through review and analysis of previous marine disaster events. The beginning of marine disaster history in Chinese academia was marked by analyzing marine disaster-related records of typhoons and tsunamis based on natural science theory, which entailed collecting and organizing marine disaster-related records such as the official history (正史), local chronicles(地方志), government documents (檔案), and literary works. This method was practiced largely by natural science researchers in the 1980s after China’s reform and opening up. As we entered the 21st century, research in the two fields of maritime and disaster history began attracting state and society-wide attention. Presently, marine disaster history is an interdisciplinary field in which research results with theoretical value are continuously accumulated. Additionally, materials are expanding and diversifying away from statistical research and analysis of natural disaster records based on existing natural science theories and research methods.
    In the 21st century, Korean academia also began to discuss the importance of marine history research in earnest, and marine history research in areas such as the marine humanities, marine culture, and sea urban studies emerged mainly at university research institutes. The academic atmosphere in Korea, where marine history is valued, is also characterized by interest in overseas marine history research as evidenced by the recent publication of a paper on research trends in China and Japan. However, interest in and research results related to the marine climate and marine disasters are at an early stage compared to the state of affairs in Chinese academia. Moreover, although a number of research results have already been accumulated on the history of Chinese maritime disasters, research trends gleaned from historical Chinese maritime disasters have not yet been introduced in Korea. By limiting the scope of Chinese academia to maritime disaster history over the past 20 years since the beginning of the 21st century, this paper briefly describes the research status by type of marine disaster, social impacts, and marine disaster and maritime accident responses, with the aim of helping domestic researchers interested in marine-related disasters and ecological history gain a multifaceted research perspectiv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생태환경과 역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4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