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대학생의 트레드밀 걷기활동과 자율적 걷기활동을 통한 에너지소비량 측정 - 간접열량계와 가속도계를 이용하여 - (Measurement of Energy Expenditure Through Treadmill - based Walking and Self - selected Hallway Walking of College Students - Using Indirect Calorimeter and Accelerometer)

1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8 최종저작일 2016.12
13P 미리보기
대학생의 트레드밀 걷기활동과 자율적 걷기활동을 통한 에너지소비량 측정 - 간접열량계와 가속도계를 이용하여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
    · 수록지 정보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21권 / 6호 / 520 ~ 532페이지
    · 저자명 : 김예진, 왕취상, 김은경

    초록

    본 연구는 강릉시에 위치한 대학생 총 30명(남학생 15명, 여학생 15명)을 대상으로 트레드밀에 기초한 5가지 속도의걷기 활동과 자유롭게 평상시 걷기 속도에 맞춰 걷는 3가지의 복도 걷기 활동(self-selected hallway walking)의 에너지 소비량을 측정하고 그 강도를 비교 분석하였다. 또한 이를 토대로 20대 청년들이 일상생활에서 쉽게 수행 할 수 있는 구체적인 걷기 운동 방법 및 적정 시간 등을 제시해 줌으로써 건강증진 및 운동처방 프로그램을 구성하는데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휴대용 무선 호흡가스 분석기로 측정한 METs값을COMPENDIUM기준[22]에 따라 분류 한 결과 남자의 경우 TW2.4 활동만 저강도로 분류되었고 나머지 7가지 활동은 모두 중강도 로 분류되었다. 여자의 경우 TW5.6 활동과HWF(fast) 활동은 고강도로 분류되었고 그 외 나머지 활동은 중강도로 분류되었다.
    2) 가속도계로 측정한 METs값을 COMPENDIUM기준[22]에 따라 분류 한 결과 남자의 경우 TW2.4, TW3.2 및TW4.0 활동은 저강도로 분류되었고 나머지 4가지 활동은모두 중강도 로 분류되었다. 여자의 경우 TW5.6, HWB (brisk) 및 HWF(fast) 활동은 중강도로 분류되었고 나머지 4가지 활동은 모두 저강도로 분류되었다.
    3) 휴대용 무선 호흡가스 분석기와 가속도계로 측정한 에너지소비량과 METs값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모든 걷기활동에서 가속도계를 이용하여 추정한 값은 휴대용 무선 호흡가스분석기로 측정한 값에 비하여 유의하게 낮게 나타났다.
    4) 그러나 휴대용 무선 호흡가스 분석기와 가속도계로 측정한 에너지소비량 값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에서는비교적 높은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5) 위의 결과를 토대로 한국 성인을 위한 신체활동 지침을실천하기 위하여 남자는 TW2.4활동을 제외한 나머지 7지 활동 중 하나를 선택하여 일주일에 150분 이상 수행하고, 여자는 HWF(fast)활동만 일주일에 75분 이상, 그 외 7 가지 활동 중 하나를 선택하여 일주일에 150분 이상 수행한다면 ‘중강도 활동을 일주일에 150분 이상’ 혹은 ‘고강도 활동을 일주일에 75분 이상’ 할 것을 권장하고 있는 신체활동지침을 수행할 수 있다.
    본 연구는 걷기 활동에 있어서 실험실에서만 수행 가능한트레드밀 걷기 활동뿐만 아니라 일상생활에서 자유롭게 수행 할 수 있는 self-selected hallway 걷기 활동을 포함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크다고 할 수 있다. 즉 이러한 결과를토대로 일상생활에서 구체적으로 활용 할 수 있는 걷기 운동의 지침을 제안 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한 연구로 그 가치가 있다고 볼 수 있다.
    추후연구에서는 대규모 집단을 대상으로 가속도계의 추정식, 착용부위, 기준치, 자료요약주기 등을 포함한 가속도계정확성 검증이 이루어져야 할 필요가 있다.

    영어초록

    Objective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energy expenditure and metabolic cost (METs) of walking activities of college students and to compare treadmill based walking with self-selected hallway walking.
    Methods: Thirty subjects (mean age 23.4 ± 1.6 years) completed eight walking activities. Five treadmill walking activities (TW2.4, TW3.2, TW4.0, TW4.8, TW5.6) were followed by three self-selected hallway walking activities, namely, walk as if you were walking and talking with a friend: HWL (leisurely), walk as if you were hurrying across the street at a cross-walk: HWB (brisk) and walk as fast as you can but do not run: HWF (fast) were performed by each subject. Energy expenditure was measured using a portable metabolic system and accelerometers.
    Results: Except for HWF (fast) activity, energy expenditures of all other walking activities measured were higher in male than in female subjects. The lowest energy expenditure and METs were observed in TW2.4 (3.65 ± 0.84 kcal/min and 2.88 ± 0.26 METs in male), HWL (leisurely) (2.85 ± 0.70 kcal/min and 3.20 ± 0.57 METs in female), and the highest rates were observed in HWF (fast) (7.72 ± 2.81 kcal/min, 5.84 ± 1.84 METs in male, 6.65 ± 1.57 kcal/min, 7.13 ± 0.68 METs in female). Regarding the comparison of treadmill-based walking activities and self-selected walking, the energy expenditure of HWL (leisurely)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at of TW2.4. In case of male,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between energy costs of HWB (brisk), HWF (fast) and TW5.6 activities, whereas in female, energy expenditures during HWB (brisk) and HWF (fast)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at of TW5.6.
    Conclusions: In this study, we observed that energy expenditure from self-selected walking activities of college students was comparable with treadmill-based activities at specific speeds. Our results suggested that a practicing leisurely or brisk walking for a minimum of 150 minutes per week by both male and female college students enable them to meet recommendations from the Physical activity guide for Korean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5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