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朝鮮後期 南人系 科體詩集 『近藝雋選』 硏究 (A Study on GeunYeJunSeon(『近藝雋選』) in the Late Joseon Dynasty)

3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8 최종저작일 2021.03
31P 미리보기
朝鮮後期 南人系 科體詩集 『近藝雋選』 硏究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고전번역원
    · 수록지 정보 : 민족문화 / 57권 / 161 ~ 191페이지
    · 저자명 : 김경

    초록

    이 논문은 科體詩가 성행하던 18세기에 편찬된 『近藝雋選』의 편찬 시기 및 의도와 목적을 究明하기 위해 작성되었다.
    최초 『근예준선』은 權偗(1736∼?)에 의해 1771년 이전에 편찬되었다. 현전하는 『근예준선』은 대략 7종으로 모두 필사본이며 원본이 아니다. 이 중에서 고려대본은 1774년 이후 필사되었고, 入格에서부터 世系까지 다양한 정보가 수록되어 있다는 점에서 자료적 가치를 지닌다.
    『근예준선』에 수록된 작품은 대부분 등제하지 못한 詩이기에, 이 책은 조선후기 과체시 명편선집에 해당하지 않다고 할 수 있지만, 기존 과체시선집에서 볼 수 없는 작품들로 당대 유생들의 과체시 학습 과정 및 과체시에 대한 평가 기준의 등을 엿볼 수 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아울러 『근예준선』의 편찬자 및 선정 작가들이 모두 南人系 인물이며, 이 책의 편찬 시기가 이들의 정치적 도약기와 맞물려 있다. 이러한 점을 고려했을 때, 『근예준선』은 남인세력의 능력 과시이거나 불우함을 부각하기 위한 의도가 내재된 결과물이라 할 수 있다. 더욱이 현전하는 남인계 과체시집이 확인되지 않는 만큼, 이 책을 통해 1780년대 남인이 분파하기 이전의 문학적 활동을 가늠할 수 있다.

    영어초록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time, intention and the purpose of publishing of GeunYeJunSeon(『近藝雋選』), compiled in the 18th century when poetry for the civil examination prevailed.
    The first GeunYeJunSeon(『近藝雋選』) was compiled by GwonSeong(1736~?) before 1771. There are approximately seven types of extant 『GeunYeJunSeon』 and they are all copied works and not originals. Among them, a version of Korea University, which was transcribed after 1774, is valuable in that it contains various information ranging from passing of the examination to the lineage of successful applicants for the civil examination.
    Since most of the works in GeunYeJunSeon(『近藝雋選』) were written when applicants were not able to pass the exam, this book does not belong to collections of poetry masterpieces compiled for the civil examination. However, since those works cannot be seen in the previous collection of poetry masterpieces for the civil examination, it is significant in that it provides a glimpse of the learning process and the criteria for evaluation of poetry for the civil examination. In addition, the compiler and selected writers of the GeunYeJunSeon(『近藝雋選』) are all from Namin pedigree, and the time of compiling this book is intertwined with their political success. Considering these points, it can be said that the GeunYeJunSeon(『近藝雋選』) is a result of showing the ability of Namin pedigree or the intention to highlight their underprivileged condition. Moreover, since there is no extant book of poetry for the civil examination of Namin pedigree, this book can be used to estimate their literary activities before an offshoot of Namin took place in the 1780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민족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09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3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