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중국 남북조시대 서방계 금은기의 수입과 제작 (Importation and Production of Western Goldware and Silverware during the Period of North and South Dynasties of China)

2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8 최종저작일 2019.12
24P 미리보기
중국 남북조시대 서방계 금은기의 수입과 제작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숭실사학회
    · 수록지 정보 : 숭실사학 / 43호 / 105 ~ 128페이지
    · 저자명 : 이송란

    초록

    이 글에서는 남북조시대 중국에서 사용된 수입 금은기의 제작지와 수용경로를 밝혀 중국에서 단조법의 금은기 제작의 시기와 기술 계통을 살펴보고자 한다. 그간 남북조 금은기의 연구에서 서방계 금은기의 로마, 사산조 이란, 또는 소그드 등 계통성에 대한에 연구가 집중되었다. 이 연구에서는 그간의 연구 성과를 기반으로 서방계 금은기의 제작지와 수용경로를 집중적으로 고찰하였다, 학계에서 많은 주목을 받은 당대 금은기에 비해 위진남북조시대의 수입금은기의 전체를 조망하는 연구 성과는 많지 않다. 분열되었던 중국의 정치 상황으로 인하여 중국 본토와 변경에서 출토되는 서방계 금은기의 유통경로가 쉽게 파악 되지 않고 문헌상 확인되는 사용 양과 실제 출토 양상이 다른 것이 연구가 쉽지 않은 중요 이유이다.
    연구 방법에서는 군신에게 선물로 사여하거나 연회에서 식기로 쓰는 등 자체 생산하여 여러 가지로 다채롭게 사용되는 문헌 기록을 주목하였다. 문헌을 분석한 자료와 실제 출토된 서방계 금은기의 계통을 종합하여 본 결과 사산조이란이나 로마 등 본토에서 제작된 것은 단 한 예도 없어, 대부분 박트리아 등지의 중앙아시아와 중국 내에서 서방계 장인들이나 이들에게 배운 현지인이 제작한 사실이 밝혀졌다. 그리고 그릇 하나에도 사산조 이란, 비잔틴, 소그드, 에프탈 등 여러 요소가 혼합되어 있는 경우가 많은 것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혼합적 요소는 중국내에서 서방계 단조기법의 금은기 수요가 많아지면 소그드와 에프탈계 장인들이 중국에서 직접 작업하였던 구조를 반영한 것으로 해석된다.
    서방계 금은기의 제작지를 규명 하려는 이 글의 문제 의식은 실크로드 네트워크에서 사용자의 문화취향을 살피고자 하는데서 출발하였다. 원거리에 있는 실크로드의 물자가 단순히 사치품으로 유입된 것이 아니라 사용자의 문화취향과 관련된 것임을 규명하고자 한 것이다.

    영어초록

    This study would examine the period of the production and the technical system of goldware and silverware in the forging technique, revealing the places of the production and the routes of the acceptance of the imported goldware and silverware used in China during the Period of North and South Dynasties. To the present time, the studies of goldware and silverware during the period of North and South Dynasties have focused on the systemicity of Western goldware and silverware, such as Rome, Sasanian Iran, or Sogd. This study focused on discussing the places of the production and the routes of the acceptance of the Western goldware and silverware based on the research achievements until now. As compared to the contemporary goldware and silverware, which drew much attention in the academic circles, there are few research achievements that surveyed all the imported goldware and silverware during the period of Wei-Jin Kingdoms and the Period of North and South Dynasties. Due to the fragmented political situations of China, the routes of the circulation of the Western goldware and silverware excavated in the Chinese mainland and peripheries are not easily understood, and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the amount of the goldware and silverware used found in the literature and the aspect of the actual excavation, which are the important reasons why it is difficult to conduct research.
    As for the research method, this study paid attention to the literary record that goldware and silverware were produced by the Chinese people themselves and used in various ways, e.g. Being given to the whole body of officials as Imperial Gifts or used as tableware at the banquets. As a result of putting together the materials analyzing literature and the systems of the Western goldware and silverware actually excavated, there was no example of production in the mainland like Sasanian Iran or Rome, etc., so the fact that most were produced by the Western artisans or local people who learned the techniques from them in Central Asia like Bactria etc. and China. Also, it was found that various elements were often mixed in a bowl, such as Sasanian Iran, Byzantine, Sogd, and Hephthalite. It is interpreted that these mixed elements reflected the structure in which the artisans of Sogd and Hephthalite worked themselves in China, if demands for goldware and silverware in the Western technique increased in China.
    The critical mind of this study that would investigate and reveal the places of the production of the Western goldware and silverware began with the intent to examine the users’ cultural tastes in the Silk Road Network. This would aim to investigate and reveal that supplies from the Silk Road far away were not flowed in simply as luxury goods but were concerned with the users’ cultural tast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숭실사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3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