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팔계 변헌의 생애와 시세계에 대하여 (About Byun Hun(卞獻)’s life and poems)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8 최종저작일 2012.08
28P 미리보기
팔계 변헌의 생애와 시세계에 대하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양한문학회
    · 수록지 정보 : 동양한문학연구 / 35권 / 35호 / 37 ~ 64페이지
    · 저자명 : 김상일

    초록

    이 글은 卞獻(1570~1636)의 생애와 시세계를 살핀 것이다.
    변헌은 임진왜란에서 胡亂으로 이어진 외침의 시기를 살았던 평안도安州출신의 佛僧이자 시인이었다. 그는 士族의 후예로 어려서 불승이 되었지만 임진왜란 뒤 환속하여 儒家的出世를 지향하였다. 그가 유가로서재출발하게 된 계기는 임진왜란 때 전공을 세워 벼슬을 역임한 것과 李廷龜와 같은 중앙문단의 사대부문인들로부터 시적 재능을 인정받았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환속한 前歷과 문학적 재능이 오히려 그의 인생을 신산하게 하였다. 반면에 그의 이러한 생애와 그가 살았던 시대적 상황은 그의 시문학을 풍성하게 한 토양이 되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한편, 변헌은 환속한 뒤 燕行使나 問安使의 從者로 활동한 적이 있었다.
    그것은 明․淸교체기 명과의 외교와 관련된 정보를 탐지하거나 문서를 작성하는 일이었다. 그는 만년에 명에 齎咨使로 가게 된 崔有海를 따라 바닷길로 명의 登州에 다녀왔다. 이때 그는 布衣신분으로 최유해를 수행하면서 외교문서를 전담하여 文章報國의 재능을 보였다.
    변헌은 시문집인 『寓庸集』을 남겼지만 지금은 전하지 않는다. 다만 최유해의 東槎錄에 17수, 金地粹의 『苔川集』에 2수 등 19수의 시가 전하며, 산문은 『仁祖實錄』에 2편, 『朝鮮金石總攬』에 1편 모두 3편이 전해진다. 최유해의 동사록 소재 변헌의 시 17수는 명에 사행을 다녀오며 지은사행시이다. 그것은 최유해 및 명나라 선비와 酬唱한 시, 명의 불승에게준 시들이다. 그 제재는 대체로 사행 도중에 겪은 간난신고와 이국의 새로운 경물과 풍물을 보고 느낀 작자의 정감을 담은 것이다. 그의 시는 대부분 서글픔의 정조를 띠는데, 그것은 懷才不遇했던 그의 인생에 대한 회한이 형상화되어 있기 때문이다.
    한편, 변헌의 시는 수창의 현장에서 지어진 卽興作으로 작품성이 낮다고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변헌은 경물과 풍물 속에 생애의 이력을 끌어와 시상의 변화를 꾀하는 작시방식과 함축과 같은 표현수법으로 작품성을유지하고 있다.
    이처럼 변헌은 사대부문인들에게 인정받을 정도로 시문에 뛰어났다.
    특히, 그는 17세기 전반 변경의 지방문사로 문학적 성취가 뛰어난 使行詩를 남긴 시인이었다. 이런 점에서 그의 시문학은 마땅히 조선시대의 문학사에 편입되어 논의되어야 할 것이다.

    영어초록

    This paper is written about Byun Hun’s life and poems. He was a Buddhist monks(佛僧) and Seungjang(僧將: A monk who fights in wars) in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and the Manchu war(胡亂). He also went to Myung(明: China) as a envoy because he was a Yuga(儒家: Confucian) who writes novels and poems very well.
    He was a poet who was born in Pyunando(平安道) Anju(安州) where is in the frontier of Chosun(朝鮮). He was a monk descended from a classical scholar but he returned to secular life sinc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So, he sought Confucian life through Confucian exam. It may be the reason why he pursued Confucian life that he had successively filled government posts and recognized his poetic talent from the literary noblemen. However, his life was changed to hardships by his past career and literary talent. On the other hand, It was the base of his literary talent that his life and the situation when he lived. He worked as a Yeonhengsa(燕行使: a envoy who goes to Beijing). It was to acquire informations and write documents in diplomacy between Chosun and Myung. He went to Deungju(登州) in Myung with jeJasa(齎咨使) Choi Yu Hae(崔有海) when he was a diplomat.
    He completed his mission as Munjangboguk(文章報國: Raging the fame of country through literature). He wrote the book that collects his masterpieces but it don't be handed now. Its name is Wooyongzip(寓庸集). But his 19 poems was written in others’ books, his 2novels was written in Injosillok(仁祖實錄) and another one was written in Chosungeumseokchongram(朝鮮金石總覽).
    His left masterpieces now was almost written when he was a diplomat. These are what were corresponded with Choi Yu Hae, Chinese and what gave to Chinese monks. These show his emotions through his hardships and fresh feeling in his travel. So, his pieces mostly make us feel sadness. It was embodied his regret to his life because he had many talents but his life was very hard. His poems was made of special poetic format, rhetorics and fresh words although his poems was written on impulse when he correspond poems with someone. So, his pieces show high expressivity. In this sense, his poetry ought to be incorporated in the literary history of the Chosun Dynasty will be discuss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양한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5월 29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0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