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동삼동패총 출토 繩文系土器와 그 의미 (Jomon Pattern Earthenware from Dongsam-dong Shell Mound and Its Meaning)

2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8 최종저작일 2009.12
21P 미리보기
동삼동패총 출토 繩文系土器와 그 의미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신석기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신석기연구 / 18호 / 95 ~ 115페이지
    · 저자명 : 다나카 소이치

    초록

    본고는 韓․日 新石器文化交流에 있어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던 동삼동패총
    출토 繩文系土器를 중심으로 교류를 통해 토기 양식에 보이는 영향관계와 그것이 나
    타난 배경에 대해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동삼동패총은 한반도 동남 해안지역, 부산 영도에 위치하며 신석기시대 조기부터
    만기에 걸쳐서 계속적으로 형성된 유적이다. 이 유적은 한국 신석기시대 토기 편년이
    나 생업 활동뿐만 아니라 문화 전반에 대해 연구하는데 많은 자료들을 제공해 왔다.
    일본 繩文系 유물들의 존재에 관해서도 연구 초기부터 주목되어 왔는데, 최근에 들어
    그 동안 未報告이던 국립중앙박물관에 의한 발굴조사 성과와 새로 조사된 부산박물관
    의 발굴보고서가 나와서 韓․日 新石器文化交流 연구에도 새로운 접근이 가능하게 되
    었다.
    韓․日 新石器文化交流는 大韓海峽과 玄界灘을 무대로 하여 비슷한 자연환경에 속하는 한반도 南海岸 地域과 對馬島․壹岐島 등 島嶼部를 포함한 일본열도 西北九州
    지역 사이에서 주로 이루어 졌다. 해협을 사이에 둔 양안 지역에서 출토된 토기들을
    통해 新石器時代 早期(隆起文系土器群 段階)부터 晩期(二重口緣土器群 段階)까지 계
    속해서 교류가 확인되고, 「어로민들의 생업 활동에 따른 구조적인 접촉」에 의한 문
    물․정보 교환이 이루어 졌다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그것은 시기에 따라 교류가 활발
    한 시기와 그렇지 않은 시기, 韓半島 南海岸 地域에서 對馬島․北部九州 地域으로 보
    다 적극적으로 건너가려고 하는 의지가 보이는 시기와 그 반대 방향으로 교류가 향하
    는 시기도 있었던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동삼동패총 출토 繩文系土器를 소개하면서 남해안 지역 전체에
    시야를 넓히고 토기의 시기별 출토 양상을 기타 交流 關聯 遺物들과 함께 살펴보았다.
    그 결과 新石器時代 早期부터 晩期까지 계속된 兩 地域의 교류 양상을 早․前期 段階,
    中․後期 段階, 晩期 段階로 크게 나눌 수 있고, 早․前期 段階와 晩期 段階에 韓․日
    新石器文化交流가 활발해 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 가운데 新石器時代 早․前期의
    隆起文系土器群와 刺突․押引文系土器 段階에는 兩 地域 토기에서 어느 정도 유사성
    을 인정할 수 있는 것에 비해 晩期의 二重口緣土器群 段階에는 그러한 유사성을 찾을
    수 없었다. 韓․日 新石器文化交流에 있어서 토기 이동의 배경에는 어로 활동뿐만 아
    니라 집단관계 유지를 위한 여러 접촉이나 사람들의 이동 등도 있었다고 생각되는데
    各 段階에서 나타난 交流 모습과 영향관계의 差異가 신석기시대 사람들의 생활 환경
    의 변화와 그것에 대한 사람들의 적응방식과도 관련하고 있었을 가능성을 지적했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heck for the effect relationship shown in Pottery
    form through exchanges of Mat Impressions Design pattern earthenware from
    Dongsam-dong shell mound which was an important part between Korea and
    Japan and its background.
    Neolithic cultural exchange between Korea and Japan Was primarily done around
    Korea South Coast Region belong to the same natural environment focused on
    Korea Str. and the Japanese Archipelago including island areas like Taemado
    (Tsushima), IKI's, etc.
    Through the potteries excavated in these two districts based on the Strait, it
    has been confirmed these exchanges continuously from Early to Late of Neolithic.
    It was known that culture and Information Exchanges was done by the structural
    contact in accordance with Livelihood of fishing activities. However, depending on
    its period, there's the time when its exchange was active or not and the time
    when the commitment shown to cross from the southern coast of Korea to
    Taemado (Tsushima) · the north of Gyusu more actively or to the opposite
    direction.
    Therefore in introducing this Mat Impressions Design pattern earthenware from
    Dongsam-dong shell mound on this study, not only broaden our horizons to the
    entire south coast area, but looked at the excavated aspects of pottery through
    time series with mutual exchange of relics. As a result, the exchange aspects of these two regions from the Early to Late of
    Neolithic could be divided into 3 big period significantly like the early stage, the
    middle․the latter part, and the last of it. Among them, some similarities could be
    recognized within Yunggimun Department earthenware, shot down pattern, and
    Apinmungye Department earthenware from Early Neolithic between these two
    regions. But such similarities could not be found within Dual oral earthenware
    group stage from Late Neolithic. On the exchange in the Neolithic Age Culture
    between South Korea and Japan, it was considered that there were not only for
    fishing activities, but for maintaining relationships with multiple contacts or groups
    of people moving to the background of pottery movement. Each of the steps shown
    in the flow of the relationship between appearance and impact of environmental
    change in the lives of Neolithic people, and it's about how people adapt and have
    been associated with the likelihood he sai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신석기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29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0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