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고려말 불교계의 불사와 흥법 운동 (Buddhist Matters and the Movement to Reinvigorate Buddhism in Late Goryeo)

3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8 최종저작일 2022.02
37P 미리보기
고려말 불교계의 불사와 흥법 운동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행선연구원
    · 수록지 정보 : 한마음연구 / 8권 / 167 ~ 203페이지
    · 저자명 : 황인규

    초록

    본고에서는 불교 교리의 다양성이라는 측면에서 불교의 사상적 흐름을 소개하고자 한다. 불교 학파 중 8세기 이전부터 강한 영향력을 발휘했던 정량부와 독자부의 ‘개아(pudgala)론’과 관련한 맥락을 살펴보고, ‘개아론’이 계율 및 수행도 등과 관련한 맥락에서 비롯되어서 어떤 행위를 한 이가 그 결과를 받는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한다는 점을 언급하였다.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시작한 논의가 불교 내 다른 학파로부터 ‘무아설’과 상충되는 고정적이고 불변하는 ‘자아’로 비판받았다는 점도 거론하였다. 그리고 정량부 출신의 진제가 동아시아에서 ‘아말라식’과 ‘여래장’, 그리고 『대승기신론』의 ‘진여’를 선양하였다는 점에서 정량부와 독자부의 ‘개아론’이 이러한 개념들과 일정 부분 연결되어 있을 가능성이 있다는 점도 논의하였다.
    ‘무아’의 가르침과 『팔천송반야경』에서 설한 ‘다르마(dharma)의 비실재성’이라 명명할 수 있는 ‘대승환영주의’와 중관학자가 피력하는 ‘모든 다르마의 자성이 공하다’는 가르침이 설일체유부에서 주장하는 ‘다르마에 자성이 있다’는 입장과 대비되는 입장임을 언급하였다. 그리고 『보성론』에서는 기존의 중관학자들처럼 ‘모든 다르마의 자성에는 고정적인 실체가 없다’는 것을 주장하는 것이 아니라 ‘비본질적인 번뇌가 공하다는 점’을 피력하고 있음도 밝혔다. 어쩌면 불교는 ‘무아’와 ‘개아’, ‘자성’과 ‘무자성’, ‘다르마의 공’과 ‘번뇌의 공’이 서로 긴장관계를 구축해 온 역사일지도 모른다.
    끝으로 ‘ 대중의 삶을 외면한 ‘산중불교’라는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대중 불교’와 ‘생활 불교’라는 당시의 시대적인 화두를 표방하고 새로운 수행공동체를 선보였던, 카리스마 있는 지도자였던 대행은 ‘주인공’과 ‘한마음’이라는 키워드로 자신의 수행법을 대중들의 눈높이에 맞춰서 널리 보급했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영어초록

    This study is based on a re-examination of many studies, including my own research, in order to gain a new understanding of the Buddhism of late Goryeo under the theme “Buddhist Matters and the Reinvigoration Movement of the Late Goryeo Buddhist Community.” After the establishment of the Goryeo Dynasty, the activities of the Buddhist community were mostly centered in the Goryeo capital of Gaegyeong. Eminent monks representing the Buddhist community are thought to have been royal preceptors and state preceptors, but most of them resided in temples in the countryside, and in practice, did not lead the Buddhist community. In the capital city Gaegyeong were the headquarters temples of various lineages, but Buddhist matters in Gaegyeong were controlled by eminent monks of the Inner Court Dharma Hall (Naewondang) located within the palace.
    In late Goryeo, some royal and state preceptors led the Buddhist community by initiating Buddhist reforms in Gaegyeong. It was customary that royal and state preceptors did not directly engage in the operation of the Buddhist community, but some exceptions appeared in late Goryeo. Noteworthy examples of these individuals were connected to the reformation policy of King Gongmin. They were: Taego Bou of the Gajisan School of the Jogye Order; Sindon and Seolsan Cheonhui of the Hwaeom Order; and Naong Hyegeun of Sagulsan School of the Jogye Order. Their lineages took the lead in the Goryeo Buddhist community and led the movement to reinvigorate and reform Buddhism in Gaegyeong. Later, the Gajisan School of the Jogye Order led the Buddhist community in Gaegyeong. Other lineages and schools also led movements to reinvigorate and reform Buddhism in areas around Gaegyeong, including the Hanyang area. Through this movement, four major Buddhist orders emerged to lead Goryeo Buddhism: the Jogye Order, Cheontae Order, Hwaeom Order and Yuga Order. Of these, the Jogye Order represented the Seon School and the Hwaeom Order represented the Doctrinal School in early Jose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마음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2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3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