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930년대 비평계와 김기림의 실제비평 (Kim Ki Lim’s Critical Point of View And the Current Trend of Criticism)

3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8 최종저작일 2008.10
35P 미리보기
1930년대 비평계와 김기림의 실제비평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문학연구학회
    · 수록지 정보 : 현대문학의 연구 / 36호 / 309 ~ 343페이지
    · 저자명 : 김승구

    초록

    본고는 김기림의 1930년대 실제비평 활동을 보다 실증적인 차원에서 확인하여 그가 가지고 있던 고민의 정체가 무엇이고 그러한 고민이 실제 비평 활동에 어떻게 반영되었는지, 그리고 그 한계가 무엇인지를 조명하고자 하는 의도를 가지고 있다.
    김기림의 실제비평 활동은 1930년대 초반부터 시작되었지만 그의 비평 활동이 자각적인 차원에서 시작된 것은 백철 비평에 대한 비판으로부터 시작되었다. 그는 카프의 주요 비평가였던 백철의 비평이 가지고 있었던 외재적, 딜레탕티슴적, 지도비평적 성격을 비판하고, 내재적 비평의 방법론적 확립과 조력자로서의 비평이라는 뚜렷한 비평태도를 확립하게 되었다.
    그는 자신의 비평 활동을 통해서 이와 같은 모색의 구체화를 위해 노력하였는데, 그 결과 그는 1930년대 이래 저널리즘의 요구에 맞춰 적지 않은 분량의 실제비평을 생산하게 되었다. 형식상으로 그것을 구분해 보면 시단총평, 월평, 신간서평 등인데, 저널리즘에 종속된 비평 현실에 대한 강한 회의를 가지고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그 자신 역시 이러한 제도 안에서 조금도 벗어날 수 없었던 것이다. 편수로 따지면 신간서평이 가장 많고 그 뒤를 시단총평, 월평이 따른다. 그가 쓴 신간서평의 경우 비교적 짧은 글임에도 불구하고 해당 시인의 시세계를 압축적이고 선명하게 드러내는 경우가 많다는 점에서 대단히 인상적인 성과라고 하겠다.
    김기림의 비평방법론은 그가 활동하던 당대의 시대적 제약으로 인해 큰 반향을 가질 수는 없었다. 그러나 그의 비평방법론은 비평의 객관성과 성실성이라는, 현대 비평에서도 부정할 수 없는 미덕을 강조하고 있다는 점에서 중요성을 띠고 있다고 하겠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is intended to identify what Kim Ki Lim’s concerns were, to see how those concerns were reflected upon his actual critical activities and what the limitation of that was by reviewing his practical criticism in 1930s in the context of positive aspect.
    Although his practical criticism started in early 1930s, it was when he criticized Baek Cheol’s criticism that his criticism has come to be based on self-consciousness. He criticized the critique of Baek Cheol who was one of major critics of KAPF for its exterior-oriented, dilettantish, and enlightening inclination and established his clear critical standpoint of the methodological establishment of internal criticism and criticism as a supporter.
    He made an effort to realize this through his critical activities, as a result, he could have produced considerable amount of critical articles on practical works as a respond to journalism since 1930s. Categorized by types, they were publications such as poetry critique, critique monthly, and the new book review, which indicates that he could not escape from reality of criticism dependent on journalism himself although he had a strong skepticism about this system. He has written most articles for the new book review followed by poetry critique and critique monthly. In the case of his new book review, despite the fact that it is a short article, it is considered to be quite an impressive achievement because it shows its object’s poetic world in a condensed and clear way.
    The restricted condition of the society at the time when he lived limited his critical methodology from creating a big sensation. However, his critical methodology is certainly important in terms of the fact that it emphasizes the objectivity and sincerity of criticism which are still undeniable virtues in modern criticism.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현대문학의 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2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4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