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한국전쟁기 국가의 남한 전통음악계 동원 (Mobilization of Korean traditional music during the Korean War)

4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8 최종저작일 2021.09
40P 미리보기
한국전쟁기 국가의 남한 전통음악계 동원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역사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역사연구 / 42호 / 379 ~ 418페이지
    · 저자명 : 최혜진

    초록

    본 논문은 한국전쟁 시기 국가의 남한지역 전통음악계 동원을 검토하였다.
    전통음악계는 대한민국 수립 직후부터 국가에 동원되기 시작하였다. 전통음악인과 그들의 음악은 3·1절과 광복절 기념식, 개천절 경축식 등 각종 국가 행사뿐만 아니라 ‘우방과의 친선을 도모’하는 국가적 사업, 그리고 대중 선전과 선동작업에도 동원되었다.
    한국전쟁 시기 남한지역의 전통음악계는 전황에 따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과 대한민국에 의해 각각 동원되었다. 전쟁 직후 인민군의 남한지역 점령 시기에 전통음악인들은 인민공화국 지지 시위와 인민군 대상의 위문공연, 또 인민공화국을 위한 선전·선동 작업, 나아가 대중위문 사업에도 동원되었다.
    전통음악계의 본격적 동원은 대한민국에 의해 이루어졌다. 국군의 반격과 서울 수복(1950.9.28) 이후 아악부와 국악원 소속 전통음악인들은 부역 심사 후 ‘국민방위군 정훈공작대’와 ‘육군 군예대’ 등에 편성되었다. 그들은 각각 전방과후방 지역에 동원되어 위문공연뿐만 아니라 반공 선전·선동 활동을 수행하였다. 1951년과 그 다음다음 해까지 전쟁이 지속하면서, 전통음악인들은 집단적으로, 또는 개별적으로 대한민국의 전쟁 선전·선동, 장병 위문뿐만 아니라 국가의 ‘민심 수습’ 등의 작업에 동원되었다. 이처럼 대한민국과 인민공화국은 자신들의 전시 목표에 따라 전통음악인과 ‘전통음악’을 동원하였다.
    그런데 전통음악의 동원과정에서 흥미로운 것은 주로 성악이 동원되었다는것이다. 기동성과 편의성이 요구되고 추구되는 전시 상황에서, 성악은 간편하게국가의 정치적 의제를 언어적으로 전달할 수 있었다. 이러한 이유로 성악은 ‘민족애와 조국애, 그리고 민족과 조국에 대한 의무감’ 등을 대중들의 의식에 불어넣고 그들을 대한민국에 충성하는 국민으로 변화시키는 장치로 동원되었다.
    그렇지만 성악 동원 역시 제한적으로 이루어졌다. 대한민국과 인민공화국은‘민요가 너무 구슬퍼서, 군인들의 감정 절제가 어려웠기’ 때문에, 그것은 대적(對 敵) 심리전 장치로 동원되거나 후방의 시민 위안 공연에 동원되었다. 전통음악의 선택적 동원은 전통음악 자체에 내재한 특성만이 아니라 세계사적 맥락에서대한민국의 한국전쟁이 가진 성격과 전쟁 전개 양상의 특성 등에 의해 규정된것이기도 했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examined the mobilization of the Korean traditional music and its musicians in South Korea during the Korean War. The traditional music and musicians began to be mobilized by the state right after the establishment of the Republic of Korea(ROK hereafter). Traditional musicians and their music were mobilized not only for various national events such as March 1st, Liberation Day celebrations, and National Foundation Day celebrations, but also for national projects to “promote friendship with allies,” and public agitation & propaganda During the Korean War, the traditional music and musicians in South Korea was mobilized by the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DPRK hereafter) and the Republic of Korea, respectively, according to the war situation. Traditional musicians were mobilized to the demonstration processions supporting the DPRK during the occupation of South Korea by the People’s Army, performing consolation performances for the People’s Army, propaganda and agitation work for DPRK, and consolation activities for the popular masses.
    The mobilization of the traditional music and musicians was made more serious by ROK. After ROK military counterattack and the restoration of Seoul, traditional musicians belonging to the Aakbu and the Gugakwŏn were organized into the ‘National Defense Force Jeonghoon Operation Team’ and the ‘Army Military Crafts Corps’ after an adjunct screening of their activities for the time of the People’s Army’s South Korean occupation. They were mobilized in the front and rear areas, respectively, to perform anticommunist agitation & propaganda activities as well as the consolation performances for the National Defense Forces and popular masses.
    As the war continued for three years, traditional musicians, collectively or individually, had to continually do the works of war propaganda and comforting soldiers, as well as the official work ‘to rectify public sentiment’.
    As such, the ROK and the DPRK mobilized traditional musicians and music according to their wartime goals.
    However, what is interesting in the process of mobilizing traditional music is that vocal music was mainly mobilized. In a wartime situation where mobility and convenience were demanded and pursued, vocal music was able to convey linguistically the ROK’ political agenda. For this reason, vocal music infused ‘a sense of duty and patriotism towards the nation and the state’ into the consciousness of the public, and furthermore, it was mobilized as a device to form South Koreans’ national identity.
    However, the mobilization of vocal music was also limited in terms of genre. ROK and the DPRK mobilized folk songs to their political agendas.
    It was mobilized as a psychological warfare device against the enemy in the war front or for civilian comfort performance in the rear because it was difficult to control the emotions of the soldiers because it was too pitiful.
    Such selective mobilization of traditional music was not only defined by the characteristics inherent in traditional music itself, but also by the nature of the Korean War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war development in the context of world histor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역사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콘크리트 마켓 시사회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2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3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