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한반도 남부지역 三燕系 마구 연구 (A Study on the Samyan Variant Harnesses of the Southern Region of the Korean Peninsula)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8 최종저작일 2023.06
28P 미리보기
한반도 남부지역 三燕系 마구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고고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고고학보 / 2023권 / 2호 / 287 ~ 314페이지
    · 저자명 : 이정희

    초록

    이 연구의 시작은 김해 대성동 91호분에서 삼연 마구인 표비, 십금구, 반구형장식금구, 패제장식금구, 영부장식금구와 함께 약간의 차이를 가진 마구가 공존하는 점에 주목한 것이다.
    한반도 남부지역의 재지 공인들은 삼연 마구의 속성을 변이시키며 새로운 형식의 마구를 제작하였다. 특히 인수 ⅡA1류는 이입과 동시에 재지 기술과의 결합으로 ⅡA2류 등 다양한 형태로 개량되었고, 김해에서는십금구와 패제장식금구의 기술이 결합된 패제십금구라는 독특한 장식 마구가 생산되었다. 4세기 말에는 가장 복잡한 공정인 함유의 변용을 다루면서 판비 전체로 재지화를 일궈 나간다. 또한 십금구와 반구형장식금구의 용문과 그 제작기법은 금동제 대장식구와 유기적인 관계가 있음을 확인하고, 당시 금공품 제작 기술이공유되는 제작 환경이 갖추어졌을 가능성을 제기하였다.
    경로는 시기에 따라, 부여계 특징을 가진 ⅠA·ⅠD식 표비가 백제 권역에서 확인되고, 당시 낙랑과의 불안정한 교류망의 대체로 한반도 서남해안 연안항로를 이용한 백제의 교류망을 근거로 1단계는 백제로의 경로를 제시하였다. 2단계부터는 고구려가 서북한지역을 차지하고 남부지역과의 교류의 매개자 역할을 시작한시기에 주목하고, 고구려와 신라 일대에서 확인되는 용문투조대부식+수하식 과와 집안 칠성산 96호분, 경주쪽샘 L17호, 월성로 가-13호분 출토 마구 관계를 근거로 고구려-신라-가야로의 경로를 제시하였다.
    한반도 남부지역에는 삼연産보다는 재지産인 삼연계 마구의 출토 비율이 높다. 이는 삼연産은 위신재라는명목하에 국가 간의 정치적 관계에서 소량 이입되었고, 삼연계 마구의 수가 많은 것은 공인의 이동과 재지에서의 발빠른 제작 수용의 이유로 해석하였다. 삼연 공인은 그들의 기술을 재지 공인에게 학습시키고, 재지 공인은 선택적 학습을 통한 반복적인 모방 과정을 통해 기술력을 향상시켰다. 4~5세기 동북아시아의 혼란했던정세에서 사람의 이동은 자연스러운 현상이었고, 그중 삼연계 마구의 제작 증폭에 영향을 끼친 것은 그러한이동에 있었던 제작 공인이었음을 상정하였다.

    영어초록

    This paper focuses on establishing which properties were altered when producing Samyan variants of horse harnesses and on identifying when, why, and along which routes they spread to the southern region of the Korean Peninsula.
    Local craftspeople of the southern region of the Korean Peninsula altered the properties of the harnesses to produce new types. In the case of bits, Type IIA1 was introduced and then developed into diverse types, such as Type IIA2, through collaboration with local techniques. This was the case for not only bits but also plate bits, which involved the most complicated production process; through this process, the entirety of the plate bits were localized. For example, the cross-shaped ornament made of shellfish (which is the original ornamental harness of the Gimhae area) came to be produced based on the collaboration of the cross-shaped ornament and the ornament made of shellfish.
    Samyan horse harnesses spread along two types of routes, based on the time period: 1) through Baekje or 2) through Goguryeo, Silla and Gaya. The former can be traced through the Type IA, ID bridle bits showing the characteristics of Buyeo harnesses, which have been found in the regions under Baekje’s influence, as well as included in Baekje’s network, which was an alternative to the unstable network with Nangnang, using the western and southern coastal routes of the Korean Peninsula. The latter is based on the fact that Goguryeo took control over the north-western region of Korean Peninsula and served as a mediator with the southern region. The relationships of harnesses between the Jin type metal belt found in the regions of Goguryeo and Silla and the harnesses of Jian, Gyeongju, and Gimhae also attest to the latter route.
    In the southern region of the Korean Peninsula, locally produced Samyan variants tend to be found in greater number than harnesses produced in Samyan due to prestige. The existence of a variety of Samyan variants is caused by the movement of craftspeople and the fast acceptance by locals. Samyan craftspeople educated local craftspeople with their techniques, and the local groups not only accepted what they learned but also selectively copied by repetition, which led to the improvement of production techniques. The increase in harness production in the southern region can be traced back to the movement of craftspeople, which was a typical situation under the chaotic circumstances of North and East Asia in the fourth to fifth centuri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고고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30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4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