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다크 나이트>에 나타난 ‘실재계’ 연구 (Study of ‘The real’ presented in Dark Knight)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8 최종저작일 2012.05
28P 미리보기
&lt;다크 나이트&gt;에 나타난 ‘실재계’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영상예술학회
    · 수록지 정보 : 영상예술연구 / 20호 / 35 ~ 62페이지
    · 저자명 : 서수정

    초록

    ‘명품 블록버스터’란 칭호를 얻은 화제작 <다크 나이트>는 놀란에 의해 새롭게 써진 배트맨 이야기이다. 그래서 이 영화는 헐리웃 블록버스터의 외피를 입고 ‘만화 같은 영웅서사’의 관습적인 통로를 성실히 우회한다. 하지만 이 영화가 결국 회귀하는 지점은 ‘우리 시대의 현실에 대한 성찰’이라는 철학적 지점이다. 즉 <다크 나이트>에서 배트맨은 상업적 오락물의 아이콘에서 후기자본주의 시대를 드러내는 사회적 아이콘으로 진화한 것이다.
    본 논문은 <다크 나이트>가 재현하는 현실 풍경 가운데 특히 상징계의 틈새를 통해 현실로 합류한 뒤 우리 삶을 재구성하고 있는 실체들에 주목한다. 이들은 대부분 상상계적 질서와 가치에 포섭되지 않는 영역들 즉 실재계를 포함하고 있다. 본 논문은 이를 라캉과 지젝의 이론을 바탕으로 분석하여 실재계로 설명되는 우리 삶의 풍경들을 구체적으로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논문은 <다크 나이트>를 세 가지 측면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우선 이 영화의 현실배경으로는 첫째, 유리(거울) 이미지로 매개되는 도심 공간, 둘째 범죄자로 대변되는 어두운 분신들이 한 축을 형성하고 있는 사회공간 셋째, 해체된 공식적 삶의 방식들과 그 사이를 침투한 비공식적 삶의 방식들의 혼재한 ‘카니발’을 들 수 있다.
    인물들을 분석한 두 번째 측면에서는 조커를 제외한 그들 모두가 분열된 주체라는 점 그리고 그들의 생존방식이 판타지라는 점을 밝혔다. 세 번째 측면에서는 배트맨과 조커의 관계를 통해 상징계와 실재계의 관계와 그 특징에 대해서 다뤘다. 선와 악의 숙명적인 대결인 배트맨과 조커의 싸움은 결국 우리 시대 선의 실체를 드러내는 것으로 귀결되는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지금 우리 현실에서 선을 수호하기 위해서는, 우리 내면의 또 다른 얼굴 즉 선의 이면인 악이 현실로 분출되는 것을 막아주거나 그 악을 흡수하는 일종의 장치인 마스크가 필요하다. 그리고 상징계적 질서에 저항하고 전복을 꾀하는 불경스런 존재인 조커를 통해 선의 존재자체가 부정되고 있다. 또한 선과 악이 뫼비우스의 띠처럼 연결되어 있음이 폭로된 <다크 나이트>에서 배트맨과 조커는 적대자로 분리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의 이면이자 쌍둥이 또는 도플갱어이다. 배트맨과 조커는 각각 상징계와 실재계를 대변하며 이 두 세계가 혼재하는 현실 풍경을 드러내고 있는 것이다.
    배트맨이 악의 이면으로서의 선을 들추어내려는 조커를 막아내며 이 대결에서 승리했지만 이 대결의 주인공은 조커다. 조커가 상징계를 지켜내야 하는 배트맨의 임무가 더 이상 진실을 통해서는 불가능하다는 것을 폭로했기 때문이다. 그로인해 배트맨은 고담시의 유일한 희망인 하비의 죄를 은폐하기 위해 영웅 대신 어둠의 기사가 된다.
    앞으로 <다크 나이트>의 고담시에서 벌어질 선악 대결은 더 이상 선이 악을 이기기 위한 싸움만은 아니다. 이 대결은 악의 이면으로서의 선을 평화롭게 받아들이기 위한 더 복잡하고 더 힘든 싸움을 내포하고 있다.

    영어초록

    Dark Knight, that is considered as masterpiece blockbuster, is one of Batman series written by Christopher Nolan. So this movie takes a long way around convention path of Hollywood blockbuster, but it eventually arrives the philosophical place of ‘Introspection of the reality of current Our time’. In other words, in Dark Knight Batman evolved to the social icon that represents the post capitalism from the icon of commercial entertainment.
    This paper pays attention to reality landscape in Dark Knight especially truths that join one of the part reality through the gap of ‘the symbol’ and reconstitute our reality. These contain the area that is not taken by order and value of ‘the symbol’, and this area can be named as ‘the real’. This paper desired to concretely identify the area with zizek theoy.
    So this paper analyzed Dark Knight into three parts. First, the background of this movie is the urban space to be carried by mirror image. Second, the social space to filled with criminals as one of main section, third the Carnival that mixed the formal life’s ways to dissolve and the informal life’s ways to invade.
    In second part, this paper revealed that all the characters are split subjects except Joker and the survival method of these is fantasy.
    In third part, this paper deal with the relationship of ‘the symbol’ and ‘the real’ through the relationship of Batman & Joker. The battle of Batman $ Joker, fatal fight of good versus evil, eventually is concluded the thing that reveal the truth of good in our time. The results are as follows.
    To protect good in our reality, we need the mask that protect evil that is the other face of good. And through Joker who resist and plot against to overthrow ‘the symbol’, this movie deny existence of good itself. In Dark Knight, Batman & Joker are other face of each other and twins or doppelganger. Batman & Joker represent ‘the symbol’ and ‘the real’, furthermore they reveal the reality landscape that is the mix of the two world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영상예술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6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1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