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백제 한성기 문자 수용과 중국계 지식인 (The Acceptance of Letters and Chinese Intellectuals of Hanseong Baekje Period)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8 최종저작일 2024.11
30P 미리보기
백제 한성기 문자 수용과 중국계 지식인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백제학회
    · 수록지 정보 : 백제학보 / 50호 / 75 ~ 104페이지
    · 저자명 : 오택현

    초록

    백제 한성기 문자는 기록과 남아있는 자료가 거의 없어 확인하기 어렵다. 하지만 백제의 전성기였다고 하는 근초고왕 시기부터 한성기 백제의 활동상을 엿볼 수 있는 문자 기록이 확인되고 있다는 점에서 근초고왕 시기에는 문자가 이미 수용되었다고 볼 수 있다. 칠지도의 전파, 개로왕 시기 중국으로의 표문 발송은 문자가 수용되지 않았다면 불가능했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한성기 문자는 언제 수용된 것인가? 현재의 자료로는 한성기 문자가 언제 수용된 것인지 알 수 없다. 다만 문자가 왜 들어왔는지에 대해서는 중국, 나아가 서아시아의 문자 수용 양상을 살펴보면 그 실마리를 얻을 수 있을 듯하다.
    우선 문자는 그림문자에서 문자로 발전해 왔다. 문자의 발전은 문자의 사용이 널리 퍼졌다는 것을 의미한다. 많은 사람들이 문자를 사용했기에 좀 더 간결하고 정형화된 문자로 변했기 때문이다. 과거 서아시아와 중국 주나라 초기 사람들의 문자 사용을 살펴보면 신과의 대화에 사용되던 문자가 인간의 대화 수단으로 변했음이 확인된다. 백제에서도 한성기 초기에는 단편적인 글자 혹은 부호가 제사유구에서 확인된다는 점에서 신과의 대화 수단으로 문자가 수용되고 사용되다, 국가가 발전하면서 인간의 대화수단으로 문자가 전용된 것이다.
    그럼에도 여전히 백제 한성기 문자의 수용이 언제 왜 이루어졌는지 답을 내리기는 어렵다. 그 실마리는 남겨진 자료와 주변국의 문자 수용 및 확산을 통해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영어초록

    Letters Hanseong Baekje Period is difficult to identify because there are few records and remaining data. However, it can be said that characters have already been accepted in the King Geunchogo period, given that text records that give a glimpse of Hanseong Baekje Period's activities have been confirmed from the King Geunchogo period, which was said to have been in Baekje's heyday. This is because the spread of The seven-pronged sword(七⽀刀) and sending of diplomatic document to China during the King Gaero period were impossible if the letters had not been accepted.
    Then, when were the Letters Hanseong Baekje Period accepted? With the current data, it is not known when the Hanseong Baekje Period was accepted. However, as to the reason why Letters came in, it seems that we can get a clue by looking at the letters acceptance patterns in China and even around the world.
    First of all, Letters has developed from picture Letters to Letters. The development of Letters means that the use of Letters has become widespread. This is because many people used letters, so it has changed into a more concise and standardized letter. Looking at the use of Letters by people in West Asia and early China in the past, it can be confirmed that Letters, which was used for conversation with God, has been transformed into a means of human conversation. Even in Baekje, in the early days of Hanseong Peiod, letters were accepted and used as a means of communication with God in that fragmentary letters or signs were identified in the ritual sites, and as the state developed, letters spread as a means of human conversation.
    It is still difficult to answer when and why The Acceptance of Letters of Hanseong Baekje Period was achieved. However, the clue will be confirmed through the marginal state's the Acceptance of Letters and Diffusion in neighboring countri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2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