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북한 음악계의 일제 잔재 청산 (Liquidation of remnants of Japanese colonial rule in North Korean music groups)

3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8 최종저작일 2021.12
31P 미리보기
북한 음악계의 일제 잔재 청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민요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민요학 / 63권 / 3호 / 161 ~ 191페이지
    · 저자명 : 배인교

    초록

    이글의 목적은 1950~60년대 북한 음악계에서 도선법 악곡에 대한 북한 음악계의 해석 및 적용의 양상을 살펴봄으로써 일제 잔재의 청산 의지를 살펴보는 것이다.
    1950년대 북한 음악계는 일본 노래의 잔재를 없애는 한편 민족성이 강한 민요의 발굴과 민요이론 연구에 집중하면서 일제 잔재 청산 의지를 굳혔다. 그러나 일제강점기 음악의 급격한 변화 양상을 인정하면서 민요와 민족음악을 교조적으로 강조하지 않았다. 그리고 수집된 민요중 도선법 악곡에 대한 해석은 20세기 이후 변화상을 수용하면서 이루어졌다.
    1960년대는 김일성의 수령형상화 작업이 강화되면서 일본 군가나 창가조로 만들어진 독립군 노래들이 혁명가요로 부각되었고 북한 가요의 모범으로 자리매김하였다. 그 결과 요나누끼장음계와 같은 음계를 갖는 도선법 민요풍노래의 수가 급격히 증가하는 결과를 낳았다.
    체제 성립 초기부터 반일의지를 분명하게 드러냈던 북한에서 창작된 민요풍 노래는 일본식 창가조음계, 즉 요나누끼음계와 같은 도선법을 많이 사용하였으나 음악교과사에 수록된 노래의 가사에는 일제에 반대하는 내용이 그대로 드러나 있다. 이에 비해 우리의 경우는 요나누끼장음계를 반대하는 학계의 의견이 노래 창작자들에게 전달되지 못하였으며, 초중등 교과서에 수록된 악곡의 노래 중 일제에 반대하는 가사를 갖는 노래는 찾을 수 없다. 반일과 음악에서의 일제 잔재의 청산에 대한 지속적인 교육이 필요한 지점이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amine the willingness to liquidate the remnants of the Japanese colonial rule by examining the interpretation and application of the North Korean music group to the music of the Doseon Law in the 1950s and 1960s.
    In the 1950s, the North Korean music community strengthened its willingness to clean up the remnants of Japanese songs while focusing on discovering folk songs with strong ethnicity and researching folk song theory. However, while acknowledging the rapid change in Japanese colonial era music, he did not emphasize folk songs and national music in a cultivating way. In addition, the interpretation of the collected folk songs of Do-mode music took place after the 20th century while accepting the change.
    In the 1960s, as the songs of the independence army of the Japanese military or Changga style song emerged as revolutionary songs, they established themselves as models of North Korean music. And as the Juche ideology was consolidated, the number of folk songs with the Yonanuki major scale increased rapidly.
    Folk-song style songs created in North Korea, which clearly revealed anti-Japanese will from the beginning of the system, used a lot of conducting methods such as the Japanese-style Changga, that is, the Yonanuki scale, but the lyrics of the songs in the music textbook clearly show opposition to Japan.
    On the other hand, in our case, the opinions of academia against the Japanese changga style scale were not conveyed to popular songs. And we couldn't find any anti-Japanese songs i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music textbooks. This is a point that requires continuous education on anti-Japanese and the liquidation of the remnants of Japanese colonialism in music.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민요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3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