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비구·비구니 불공계(不共戒)의 제정 요인 고찰 (Legislation Factors of Buddhist Monastery and Nunneries Monastic Code)

3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8 최종저작일 2020.11
31P 미리보기
비구·비구니 불공계(不共戒)의 제정 요인 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불교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불교학 / 96호 / 271 ~ 301페이지
    · 저자명 : 한수진

    초록

    본 논문은 비구·비구니 불공계(不共戒) 중에서 비구 불공계인 색미식계(索美食戒), 수비구니찬탄식계(受比丘尼讚歎食戒), 비구니지수식계(比丘尼指授食戒), 비친니수식계(非親尼受食戒) 등과 비구니 불공계인 불식산계(不食蒜戒), 8바라제제사니 등의 조문을 중심으로 비구·비구니 불공계의 제정 요인을 살펴보고자 한 것이다.
    비구 색미식계(索美食戒)와 비구니 8바라제제사니에서는 이부 승가 간에 미식(美食)에 관한 규범적 차등을 보였으며, 그 규제가 비구니 승가보다는 비구 승가에 엄격하게 규정되어 있다. 비구니 불식산계(不食蒜戒)와 비구의 산법(蒜法)에서는 비구니 승가에는 처벌조항이 제정되어 있으며, 비구 승가에는 대중이 마늘 냄새로 인한 불쾌감을 느끼지 않도록 철저하게 행동적 제약을 두고 있다. 이들 불공계가 제정된 요인은 불교 교단이 사회의 차별적 관념과 관습 등의 외부적 요인을 불교 교단의 이념에 맞게 재구성하여 수용하였기 때문이다. 이것은 불교 교단이 사회적 불평등에 맞서 차별이 아닌 차등으로 변화시키려는 노력이었다고 생각된다.
    아울러 비구 불공계인 수비구니찬탄식계(受比丘尼讚歎食戒), 비구니지수식계(比丘尼指授食戒), 비친니수식계(非親尼受食戒) 등의 조문 제정은 비구·비구니 승가의 관계가 수직이 아닌 수평적 관계를 형성하기 위한 노력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불교 교단은 청정하고 화합하는 승가를 유지하고, 비구 승가의 지위가 남용되거나, 승가 간에 수직적 관계가 형성되어 비구니 승가에 피해가 생기는 일이 없도록 비구니 승가의 보호 차원에서 이들 불공계가 제정되었다고 볼 수 있다.

    영어초록

    In this study, bhikkhu (male ascetic) and bhikkhunī (female ascetic) saṃgha were examined focusing on the factors of an explicit and unequal monastic code, which was specifically targeted at monks or nuns.
    The differences between the price of the male Pāṭimokkha of ‘not begging delicious food’ and the female Pāṭimokkha of eight pāṭidesanīya, suggest that the rules were stricter for monks than the nuns. This phenomenon appears to have been influenced by the social differences between men and women emanating from male supremacy and class status, which were predominant in the Indian society. The additional female monastic code that was not regulated in any of the male versions that ‘forbid eating garlic’ was influenced by the social conventions of Indian society, in which generally garlic was banned among upper classes and was mainly ingested by women and vulnerable lower classes.
    The rules of pācittiya such as ‘not receiving the alms admired by a bhikkhunī’, ‘not eating the food ordered by a bhikkhunī’, and ‘not receiving the food offered by a bhikkhunī’ in the male Pāṭimokkha were designed to prevent a close relationship between monks and nuns, and to ensure fair distribution in the saṃgha. Additionally these disciplines were aimed to protect the nuns from the monks who abused their power against the nuns.
    In conclusion, it is difficult to state that the different rules for monks and nuns were regulated to abuse nuns as women. The rule was based on the hierarchy of the monks who led the Buddhist saṃgha, and had a responsibility to train and educate the nuns who followed them as their teacher. The monks were burdened by rules more than the nuns. Serious discipline led to additional challenges. Therefore, it is not considered as sexual discrimin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불교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4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