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현대 일본 학교문법의 성립 과정 고찰-품사명과 분류 체계를 중심으로- (Study on the formation process of contemporary Japanese school grammar: Focusing on the part-of-speech name and classification system)

1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8 최종저작일 2017.12
14P 미리보기
현대 일본 학교문법의 성립 과정 고찰-품사명과 분류 체계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일본어학회
    · 수록지 정보 : 일본어학연구 / 54호 / 155 ~ 168페이지
    · 저자명 : 윤영민

    초록

    본논문은 현대 한국어 문법의 체계화 과정 속에서 산견되는 일본어 문법서와의 언어적 교섭 관계를 규명하기 위한 연구 가운데 하나로 우선 근현대기 일본어 문법서에 나타난 품사명과 분류 체계에 착목하여 현대 일본 학교문법의 성립 과정을 고찰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일본의 문법교육은 1872년 학제 공포 이후 1910년대 본격적인 언문일치운동이 대두되기 전부터 ‘구어문법’과 ‘문어문법’으로써 다양한 문법서를 통해 이루어져 온 것이 사실이다. 더하여 橋本의 문법관은 1890년대 오쓰키 후미히코(大槻文彦, 이하 大槻)가 견지한 국학(國學)과 양학(洋學)의 절충적 입장이 모색되어있으며, 이와 같은 관점은 이후 20세기 현대 일본 문법을 이끌었던 ‘마쓰시타(松下)문법’, ‘야마다(山田)문법’, ‘도키에다(時枝)문법’에서도 여전히 공유, 발전되어온 것이다.
    이번 고찰은 메이지(明治, 이하 明治)기를 포함하여 다이쇼(大正, 이하 大正)기와 쇼와(昭和, 이하 昭和)기에 간행된 일본 문법서를 조사 범위에 넣어, 19세기부터 20세기에 걸친 일본어 품사명과 분류 체계의 흐름을 정리해 보는 동시에 이들 문법서가 일본 학교문법의 확립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 고찰하여 보았으며 크로스 분류 형식의 제시는 1700년대부터 출현하였으며, ‘體․用’과 ‘言․辭’의 관점이 공존한 가운데 橋本에 의해 현재의 원형이 확립되었으나 이에 대한 초기적인 개념은 절충식 문법서를 통해 이르게는 1891년 岡倉에서 확인되고 있다는 점을 알았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how the linguistic negotiation relationship with the Japanese grammar book, which is found in the systematization of modern Korean grammar. First of all, the part of speech which appeared in the modern Japanese grammar book is explored. Focusing on the name and classification system, this paper explores the process of establishing the contemporary Japanese school grammar.
    Japanese grammar education has been classified as "colloquialism method" and "literal grammar law" before the full-fledged pronunciation movement of the 1910s emerged since the school system was released in 1872. In addition to this, Hashimoto's grammatical point of view is being sought for an eclectic position of "nationalism" and "Western studies" established by Fumihiko Otsuki in the 1890s. Such a viewpoint has been publicized through Matsushita, Yamada and Tokieda who led contemporary Japanese grammar.
    This review focuses on Japanese grammar books published from the 19th century to the 20th century, such as the Meiji, Taisho and Showa periods, and observed the flow of part of speech and classification of Japanese. And I explore how this grammar book affected the establishment of Japanese school grammar. As a result, the part-of-speech classification form of Japanese school grammar has appeared since the 1700's, and the original form was presented by Hashimoto while the viewpoints of "體・用" and "言・辭" were compatible. However, it was found that early concepts and forms of Hashimoto's part-of-speech classification system can be already confirmed by Okakura Yoshizaburo's 1891 "New Japanese Bibliography" which is a so-called eclectic grammar book.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일본어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