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조선시대 문헌에 나타난 제주도 동물의 통시적 연구 -≪세종실록지리지≫, ≪신증동국여지승람≫, ≪탐라지≫, ≪남환박물≫, ≪제주계록≫을 중심으로 (Diachronic Study on Animals of Jeju Island in Chosun Dynasty Literatures -focus on ≪Se-Jong-Sil-Rok-Ji-Ri-Gi(世宗實錄地理志)≫, ≪Dong-Guk-Yeo-Ji-Seong-Ram(東國輿地勝覽)≫, ≪Tam-Ra-Ji(耽羅志)≫, ≪Nam-Whan-Bak-Mul(南宦博物)≫,)

2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8 최종저작일 2015.10
22P 미리보기
조선시대 문헌에 나타난 제주도 동물의 통시적 연구 -≪세종실록지리지≫, ≪신증동국여지승람≫, ≪탐라지≫, ≪남환박물≫, ≪제주계록≫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제주대학교 탐라문화연구원
    · 수록지 정보 : 탐라문화 / 50호 / 275 ~ 296페이지
    · 저자명 : 정종우, 정소연

    초록

    본고는 제주도라는 지역을 대상으로 조선시대 5백년간 공적 관심으로 이루어진 문헌을 기준으로 ≪세종실록지리지≫, ≪신증동국여지승람≫, ≪탐라지≫, ≪남환박물≫, ≪제주계록≫을 세기별로 대표문헌으로 선정해 이 문헌을 중심으로 동물의 현황을 통시적으로 살펴보았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가 본격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은 전통문헌을 대상으로 제주도 지역의 동물 현황을 정리하고 현재의 분류체계를 기준으로 동물상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15세기에서 19세기에 이르는 문헌 속에는 제주에서 발견되는 4문 11강 60종의 동물이 기록되어 있었다.
    둘째, 조선 전기에서 후기로 갈수록 기록되는 동물 종의 수는 증가하는 편이었다. 전기에는 식용 등의 직접적인 활용도에서 후기에는 조류 등 더 넓은 관심사로 동물을 기록 대상으로 삼는 관점의 변화를 볼 수 있었다.
    셋째, 전복, 갈치, 고등어, 말 등 지금도 특산물로 유명한 몇몇 동물은 15세기 이후 문헌에 가장 많은 빈도수로 나타나 제주 특산물의 장기지속적인 흐름을 볼 수 있었다.
    넷째, 현재 국내에 없는 앵무조개와 해달, 악어, 미록 등에 관한 기록은 이 종들의 분포에 관한 흥미로운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어서 기후, 생태 환경의 변화 및 외국과의 교류 등 다양한 원인의 가능성을 제기하였다.
    다섯째, 지금 사용되지 않는 동물 명칭을 통해 과학사적 관점에서의 전통문헌에 대한 연구는 국어사적 관점에서 과학 용어의 면밀한 검토가 동반되어야 한다는 점을 제기하였다.
    여섯째, 그간 문학이나 역사, 지리 등 인문사회 분야 연구에서 다루어진 전통문헌을 통해 과학사적으로 새롭게 접근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었다. 또한 제주 지역의 전통 생물 지식의 구축을 위해 문헌에 기초한 기반연구로서의 시작이라는 점에서 향후 더 구체적인 연구로 확장될 필요가 있다.

    영어초록

    In this study, faunistic records of Jeju Island were diachronically investigated using five selected official literatures on Jeju Island published during Chosun Dynasty: Se-Jong-Sil-Rok-Ji-Ri-Gi(世宗實錄地理志), Dong-Guk-Yeo-Ji-Seong-Ram(東國輿地勝覽), Tam-Ra-Ji(耽羅志), Nam-Whan-Bak-Mul(南宦博物), and Je-Ju-Gae-Rok(濟州啓錄).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we made a list of animal species occurred in classical literatures on Jeju Island and arranged them in view of present animal classification system. As a result, sixty-two animal species belonging to ten classes and four phyla had been recorded in the classical literatures studied (15th―19th centuries).
    Second, number of animal species tends to increase from earlier to later Chosun Dynasty period. And points of view on animals may have had been changed over time. Species that can be directly used for foods had been center of interest in the earlier period while broader range of animal groups including Aves were targets of description in the later period.
    Third, special products of Jeju Island nowadays such as abalone, hairtail fish, mackerel, horse were also frequently occurred in literatures since the 15th century, which suggested these products have been continuously popular.
    Fourth, species records about nautilus, sea otter, crocodile, and Pere David’s deer which do not occur today in Korea, give opportunities to think about whether these species previously occurred in Korea and about which factors had influenced distributional change of them such as climate change, ecological environmental change, and/or international exchange.
    Fifth, it is suggested that detailed examination on scientific terms should be accompanied to studies on classical literature in view of natural history based on animal names not used today.
    Sixth, this study is given significance by its scientific approach to classical literature which have been usually studied in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 such as literature, history and geography. Besides this study needs to be escalated to detailed studies as it is the first attempt to examine traditional biological knowledge in Jeju Island from the classicial literatur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탐라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5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