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모란의 심연, 선덕여왕과 그의 씨내리 남자들 -‘花王戒’ 薛聰 찬술 점검을 겸하여- (Abyss of tree peony, Queen Seondeok and sperm donors : In addition to verify whether Seolchong(薛聰) was the author of Hwawanggye(花王戒))

4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8 최종저작일 2014.04
49P 미리보기
모란의 심연, 선덕여왕과 그의 씨내리 남자들 -‘花王戒’ 薛聰 찬술 점검을 겸하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신라사학회
    · 수록지 정보 : 신라사학보 / 30호 / 251 ~ 299페이지
    · 저자명 : 김태식

    초록

    ≪삼국사기≫와 ≪삼국유사≫에 의하면 당 태종 이세민은 모란 그림과 함께 진평왕에게 모란씨를 보냈다. 한데 이 그림을 본 진평왕의 딸이자 나중에는 그를 이어 신라 제27대 왕이 되는 선덕은 그 씨를 심어 핀 꽃은 향기가 없을 것임을 미리 알았으며, 실제로 그리 되었다고 한다. 이런 사실을 선덕은 모란 그림에 나비가 없음을 보고 알았다고 한다. 우리는 진평왕 시대에 과연 중국에서 모란씨를 보낼 수 있었을까를 검토한 결과 이것이 사실이 아님을 밝혀낸다. 그것은 다른 무엇보다 중국사에서 볼 때 모란이 당 황제에게 알려지고, 더구나 당 제국의 수도를 중심으로 모란이 재배되기 시작한 것은 진평왕 시대보다 무려 100년이나 뒤지는 서기 750년 무렵 이후, 그리고 아무리 빨라도 730년 이전이 될 수 없기 때문이다. 중국의 모란 관련 기록을 검토한 결과 모란은 중국 대륙 북부 사막지역에서 이 무렵에 들어왔으며, 더구나 그런 모란이 광적인 열풍을 일으킨 것은 더욱 엄밀히는 서기 800년 이후다. 따라서 진평왕 시대에 당나라에서 신라에 모란씨를 선물로 보낼 수는 없다. 하지만 당 태종이 신라 진평왕에게 막상 심어서 향기가 없는 꽃을 피우게 되는 모란씨를 보냈다는 기록을 간단히 거짓이라 치부할 수 있겠는가? 이번 논문은 더 나아가 이 점을 해명하고자 한다. 그 결과 모란 전래 관련 기록이 실은 진평왕과 선덕여왕 시대 신라의 정치적 사건의 은유임을 주장한다. 당에서 보내온 모란씨를 심었더니 각기 다른 세 가지 색깔의 꽃이 피었지만 향기가 없다는 것은 바로 진평왕을 이어 왕위에 오른 선덕왕이 자기 왕위를 이을 왕자를 낳지 못한 역사적 사건의 은유였다. 최근에 새로 출현한 신라사 관련 문헌을 보면 실제로 선덕여왕은 왕위에 있으면서, 그 자리를 물려줄 아들을 생산하기 위해 남자 세 명을 들였으나, 모두 다 실패한 것으로 드러났다. 나아가 모란에 대한 이런 문화사적인 검토를 통해 우리는 모란과 관련되는 저명한 ‘花王戒’라는 이야기에서 말하는 花王 또한 모란일 수 없다는 사실을 밝혀낸다. 화왕계란 신라 신문왕(재위 681~692) 때 설총이라는 사람이 지은 이야기로서 花王, 다시 말해 꽃의 왕인 모란을 의인화한 소설의 일종이다. 우리는 모란을 주인공으로 내세운 이런 소설이 신문왕 시대에 나올 수 없다고 주장한다. 왜냐하면 앞서 밝혀냈듯이 모란이 꽃의 제왕이 된 시기는 신문왕 시대보다 적어도 반세기 가량이나 지난 뒤이기 때문이다. 모란을 주인공으로 내세운 화왕계라는 소설이 신문왕 시대에 나올 수는 없다.

    영어초록

    According to the History of the Three Kingdoms (“Samguk Sagi”) and Memorabilia of the Three Kingdoms (“Samguk Yusa”), the peony was imported from the Tang China to the Korean Peninsula during the King Jinpyeong era of Silla (in reign 579 to 632 A.D). The related literatures recorded that the Emperor Taizong of Tang had sent the peony seeds to King Jinpyeong with a painting of a peony. However, the daughter of King Jinpyeong (who later reigned as the 17th ruler of Silla), Princess Seondeok knew that the peony flower blossomed after being planted will have no scent, which turned out to be true. King Jinpyeong asked Seondeok how she knew that the flower would have no scent, to which she answered, “I knew there would be no scent as there were no butterflies in the peony painting”. This paper studied whether it was possible to send the peony seeds from China to the Korean Peninsula during the King Jinpyeong era and proves that it is not possible. The reason was, above all, when looking at Chinese history, it was only after 750 A.D that the peony became known to the Emperor of Tang China and started to be cultivated centrally from the capital city. This was over 100 years after the King Jinpyeong era. In fact, even at its earliest, it can’t have been before 730 A.D. After reviewing the records of peony related literatures in China, it was found that the peony had only just begun to be brought in from the northern desert continent of China. Moreover, it was, strictly speaking, after 800 A.D that a fanatical enthusiasm of peonies developed across China. Therefore, It was not possible for Tang China to send the peony seeds to Silla during the reign of King Jinpyeong. However, could we simply conclude that the documents showing that the seeds peony flowers that have no scent once blossomed, were sent to King Jinpyeong from the Emperor of Tang China as ‘false’ or ‘wrong’? This paper will investigate further in order to bring light upon this point. As a result, it claims that it is just a metaphor that the hereditary literatures have put in to represent a political issue in the King Jinpyeong and the Queen Seondeok eras. The planted seeds sent from the Tang China which blossomed into three different coloured peonies but has no scent is a metaphor for the historical event where Queen Seondeok had no sons to be her successor. Works of literature that have been found recently cite that Queen Seondeok while in reign, had been with three men to produce her successor but failed to do so. Furthermore, we find out that the ‘King of Flowers’ cannot be a peony in the book Hwawanggye (Warning of the Flower King) by reviewing the cultural aspect of the matter. Hwawanggye is a fiction written by Seolchong during the King Shinmun era (in regin 681-692 A.D), personifies the peony flower, in other words, peony is the ‘King of Flowers’ (Hwawang). We argue that works of fiction like this (personifying peony flowers) cannot have be written in the King Shinmun era. This is due to, as previously found, the period where the peony became the ‘King of Flowers’ was at least half a century past the King Shinmun was in reig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신라사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1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