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조선 후기 연행사의 ‘吳三桂論’ 창작과 사적 전개 양상 (The Creation of Yeonhaengsa(燕行使)'s Critical Comments about Oh Sam-gye(吳三桂) and Its Historical Developmental Aspects in Late Joseon(朝鮮) Period)

3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8 최종저작일 2016.06
31P 미리보기
조선 후기 연행사의 ‘吳三桂論’ 창작과 사적 전개 양상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우리한문학회
    · 수록지 정보 : 漢文學報 / 34권 / 33 ~ 63페이지
    · 저자명 : 정용건

    초록

    燕行錄은 고정된 연행 경로 위에 燕行使들의 체험 기록이 오랜 세월에 걸쳐 반복적으로 축적되어 있다는 특징을 가진다. 때문에 연행록에 등장하는 특정 대상(사건, 장소, 인물)에 대한 인식을 통시적으로 관찰하는 과정은, 그들이 영위했던 의식과 감정의 역사적 변화 양상 및 의미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해 주는 유용한 연구 방법이 된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고는 연행사들이 연행로 위에서 관습적으로 소환한 작품 대상으로서 ‘吳三桂’에 주목하고, 그를 주제로 형성된 ‘吳三桂論’의 사적 전개 양상과 의미를 살펴보았다.
    오삼계는 明 멸망 당시 山海關을 개방하여 청의 중원 지배 계기를 제공했지만 이후 청에 대항해 ‘三蕃의 난’이라는 漢族 부흥 운동을 전개했다는 점에서 ‘이중적 가치’를 점유한 인물로, 이것이 연행사들로 하여금 그를 다양한 모습으로 논평하게 만든 역사적 배경이었다.
    17세기 중반에 작성된 초기 오삼계론은 그가 亡國의 원인을 제공했다는 맥락에서 ‘한탄과 비판’의 논조가 두드러졌다. 그러나 17세기 말 삼번의 난 소식이 조선 내부에 전해진 이후, 오삼계론에서 그는 조선 문인들의 ‘기대와 열망’에 힘입어 문명 회복의 상징으로 재평가 받았다. 이렇게 역전된 인식은 18세기 중반에 들어 오삼계와 삼번의 난의 실체가 확인됨에 따라 다시 한 번 전환의 과정을 겪는다. 즉, 오삼계가 일으킨 반란의 명분과 목표가 명 황실 회복이 아니었다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그는 다시금 ‘천하의 죄인’ 혹은 ‘亂逆者’라는 비난 어린 시선 위에서 다루어진 것이다. 뿐만 아니라 소위 ‘陳圓圓 일화’가 조선 문인 사회에 널리 확산됨으로 인해 그는 심지어 ‘조롱’의 대상으로까지 전락하기도 했다.
    ‘오삼계’라는 연행 공간 위의 작품 대상에 대해 역사적으로 형성된 이와 같은 논의들은 결국 연행사의 의식 속에 내재해 있던 ‘中華主義’가 다양한 모습으로 표출된 문화적 현상이라 할 수 있다. 다만 오삼계론이 특징적인 것은 동일한 대상을 두고도 논평 주체가 소유하고 있는 ‘정보’나 ‘감정’ 등의 변수에 따라 매우 극적인 형태로 전환되어 왔다는 점이다. 이러한 측면에서, 오삼계론은 연행사들이 유가적 관념을 기저로 삼아 전개했던 문학적 위안의 양상을 확인케 하는 지점인 동시에, 역사 논평의 가변성을 보여주는 하나의 흥미로운 사례라 할 것이다.

    영어초록

    Yeonhaengnok(燕行錄) has a feature that Yeonhaengsa(燕行使)'s Experiences were repeatedly accumulated on the route of Yeonhaeng(燕行) for a long time. For that reason, the diachronic observation about awareness in specific targets(event, place or character) on Yeonhaengnok can be a useful research in terms of understanding their recognition and sense's aspects of transition and meaning. On that point, this thesis took notice on Oh Sam-gye(吳三桂) as a conventional subject matter and researched historical developmental aspects and meaning of critical comments about Oh Sam-gye.
    As a general of Ming(明), Oh Sam-gye surrendered to Qing(淸) after heard the revolt of Lee Ja-sung(李自成) and fall of Beijing(北京). But after that, he broke out in revolt called 'Revolt of the Three Feudatories(三藩)' despite of Qing's hospitality. Because he not only brought about Qing's rule to Chinese mainland but also rose a revolt of Chinese revival, he was a unique character had a twofold aspects.
    Early critical comments about Oh Sam-gye in middle of the 17th Century had a feature of 'lamentation and blame' in awareness that he lead to collapse of Ming. But after the report about 'Revolt of the Three Feudatories' in late of the 17th Century, he was revalued as a symbol of civilization recovery by expectation and desire of Joseon scholars. This altered awareness of Oh Sam-gye had a change once more in middle of the 18th Century, because of delivery of the information that Oh Sam-gye's loyalty to Ming was a fiction. on this account, he was evaluated as a criminal of civilization again and even laughed at due to the story of Jin Won-won(陳圓圓).
    In conclusion, the critical comments about Oh Sam-gye was a cultural phenomenon caused by Yeonhaengsa's inward consciousness called 'Sino-centrism(中華主義)'. It can have a special feature because it went through a dramatic change according to some variables like 'information' or 'emotion'. Therefore, it is not only a aspect being able to recognize their literary comfort based on Confucian sense, but also a interesting case showing changeability of historical comment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漢文學報”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4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