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세종대의 景幾體歌 詩形에 대한 연구­ - 경기체가의 시상 및 어법의 활용 양상 ­- (A Study on the Form of Gyeonggichega in the Reign of King Sejong ­- Focusing on the Application of the Poetic Sentiment and Expression of Gyeonggichega ­-)

3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8 최종저작일 2013.10
36P 미리보기
세종대의 景幾體歌 詩形에 대한 연구­ - 경기체가의 시상 및 어법의 활용 양상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민족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한민족문화연구 / 44권 / 99 ~ 134페이지
    · 저자명 : 김승우

    초록

    본고는 세종대에 경기체가景幾體歌의 시상이나 어법을 활용하여 제작한 작품들의 사례와 특징을 분석함으로써, 경기체가 갈래의 분포 및 위상을 재검토하는 데 목적을 둔다.
    현재까지 알려지거나 거론된 경기체가 작품은 모두 30편 정도이며, 왕대별로는 세종대가 10편으로 가장 많다. 세종대는 작자층으로나 작품의 내용면으로나 경기체가 갈래의 세력이 가장 왕성했던 시기임은 물론, 경기체가 갈래가 지닌 가능성과 적용력이 최대치로 발현된 시기이기도 하다. 경기체가 고유의 어법과 시상 전개 방식이 세종대에 들어 여타 갈래의 시가 작품들에까지 폭넓게 영향을 미쳤던 것도 그 같은 상황을 반영한다.
    <축성수>의 경우 매장 2행까지에서는 별다른 정서적 감흥이나 찬탄 없이 사실과 행위를 나열하는 데 중점을 두다가 매장 마지막에서 그 같은 교술적 내용들을 영탄적 언술로써 수렴해 내고 있기에, 비록 파격이 심하기는 하나 경기체가의 일종으로 파악하는 데 큰 무리가 없다.
    변계량 소작의 <천권동수지곡>과 <복록가>는 현전 표기상으로는 경기체가 양식과 별반 관련이 없어 보이기는 하지만, 교술과 서정이 교직된 시상의 전개 방식을 고려하거나, 이들과 매우 유사한 시형을 지닌 <축성수>와의 관계를 참작하거나, 작품을 기록에 남기는 과정에서 국문 어구가 누락되었을 여지까지 감안한다면, 둘 모두 경기체가 일반의 특성을 이면적으로 체현한 작품이라 파악할 수 있다.
    <용비어천가>의 경우 태조 관련 사적의 마지막 부분인 88, 89장에 경기체가 시형이 도입되었는데, 이는 경기체가 양식에 응축된 시상 전개 방식을 <용비어천가> 전체 구도 속에 효과적으로 전용하려 한 때문으로 짐작된다. 즉, 27~85장에 상세화 된 태조의 각종 사적들을 모두 모아 종합하는 단계를 설정하였던 것이다. 또한 태조의 영웅적 면모가 이루 다 언급하기 어려울 만큼 무한정하다는 주지를 전달하는 데에도 경기체가 시형은 기여하는 바가 크다. 이렇듯 확장과 폐쇄, 개방과 차단의 지향을 동시에 달성하기 위한 기재로서 경기체가 시형은 매우 적절한 대상으로 착목되었던 것이다.
    한편, <용비어천가>와 같은 형식으로 제작된 <월인천강지곡>에서도 경기체가의 어법과 시상이 드러나는 사례를 수 개의 곡에서 찾을 수 있다. 특히 <월인천강지곡>의 경우에는 국문 어휘의 사용이 더욱 두드러지기 때문에 다른 어떤 작품들에서보다도 국문화 된 경기체가 시형의 모습 내지 가능성을 살펴볼 수 있다는 의의가 발견된다.
    위와 같은 사례들을 통해 경기체가 갈래가 현재까지 알려진 것 이상으로 강한 세력을 확보하고 있었으며, 시형의 적용 범위 역시 보다 광범했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is aimed to analyze several verses composed under the influence of the form of gyeonggichega(景幾體歌) in the reign of King Sejong.
    Gyenggichega verses which has been known to us so far is around thirty, of which ten were composed in the reign of King Sejong. In respect of not only the number of the verses but also of the extent of the authors and the variety of the contents, gyenggichega genre was the most preffered in its history in that period. Therefore, we can assume that many of other verses of different genres at that time were also composed in the direct or indirect influence of the form of gyeonggichega; in fact, several of them are found as the following.
    Every stanza of Chukseongsu(祝聖壽) consists of didactic substance in the beginning and lyric exclamation in the end, which is the principal feature of gyenggichega genre. So, it can be regarded as one the gyenggichega verses despite its difference from the regular gyenggichega form.
    Cheon-gwondongsujigok(天眷東陲之曲) and Bokrokga(福祿歌), both by Byeon Gyeryang seems to have little to do with gyenggichega apparently. However, considering their resemblance to Chukseongsu and a possibility of certain Korean vernacular words having been omitted when the whole verses were recorded, the influence of gyenggichega form upon them cannot be easily denied.
    Cantos 88 and 89 of Yongbieocheon-ga(龍飛御天歌) play an important role in integrating the preceeding cantos from 27 to 85, which present King Taejo’s achievements in detail. It is worthy of notice that cantos 88 and 89 are adapted to the form of gyenggichega by rearranging their lines and adding some extra words. With such a form, they contribute to expanding and closing the narratives of King Taejo at the same time.
    Several cantos of Wolincheon-gangjigok(月印千江之曲), which was composed according to the style of Yongbieocheon-ga, also preserve the form of gyenggichega in them. They could be the most vernacularized gyenggichega because Wolincheon-gangjigok has much more pure Korean vocabulary than any other verses in that era.
    In conclusion, gyenggichega genre had had a considerable influence upon coexisting other verses and genr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민족문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5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