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전인적 성숙을 위한 시민교육―아도르노, 김수환 추기경, 프란치스코 교황의 교육관을 중심으로― (Civic Education for Maturity of a Person as a Whole –Adorno, Cardinal Stephen Soo-Hwan Kim, and Pope Francis’s Educational Vision–)

4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8 최종저작일 2020.01
46P 미리보기
전인적 성숙을 위한 시민교육―아도르노, 김수환 추기경, 프란치스코 교황의 교육관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가톨릭대학교 인간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인간연구 / 40호 / 61 ~ 106페이지
    · 저자명 : 노성숙

    초록

    본 논문은 시민교육이 학교교육에만 국한될 것이 아니라 전 생애에 걸쳐 꾸준한 교육으로 확장되어야 한다는 비판적 문제의식에서 출발한다. II장에서는 오늘날 교육현실을 비판적으로 직시하기 위해 오히려 가장 극단적인 반례가 되는 시민의 한 사람으로서 아돌프 아이히만을 소개한다. 그러고 나서 그가 평범한 일상을 살면서, 법을 지키려는 시민의 의무를 다했지만, 오히려 역설적으로 어떻게 홀로코스트의 엄청난 비인간적인 야만성에 빠져들고 말았는가를 비판적으로 들여다본다. III장에서는 아도르노의 교육에 대한 사유들을 토대로 야만적 교육현실의 문제점을 비판한 뒤, ‘성숙을 위한 시민교육’이라는 아도르노의 개념을 고찰한다. 그가 말하는 ‘성숙’은 다름 아닌 ‘스스로 사유하는 자율적 주체’가 되어 자신이 속한 ‘사회에 대한 비판적 자기성찰’을 지속적으로 실천함으로써 ‘올바른 의식을 생성’하는 데에 있다.
    IV장에서는 가톨릭교회의 입장과 연관시켜서 ‘전인적 성숙을 위한 시민교육’의 이념과 그 실천가능성에 대해 알아본다. 아이히만과 정반대로 탈야만과 성숙을 실현한 한 시민이자 종교지도자로서 김 추기경의 구체적인 삶을 소개한 뒤, 김 추기경과 프란치스코 교황의 교육관을 살펴본다. 김 추기경은 시민 민주주의의 이념인 자유, 평등, 박애가 그리스도교적 인간관에 자리 잡고 있으며, 그에 따라 성숙을 위한 시민교육도 그리스도교적 전인성에 뿌리내리고 있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또한 프란치스코 교황은 ‘성숙을 위한 교육’은 시간을 들인 경험을 필요로 한다고 강조하면서, 스스로 선택하는 자유와 사회적인 공동선과 더불어 한 걸음 더 나아가 종교적 거룩함이라는 차원에까지 이르는 교육을 실천해 나가야 한다고 말한다.
    이와 같이 볼 때, 아도르노, 김 추기경, 프란치스코 교황은 각각 서로 다른 사상적 배경을 지니고 있지만, 이들은 공통적으로 ‘전인적 성숙’이라는 교육목표를 매우 뚜렷하게 강조한다. 이들이 공통적으로 말하는 시민교육은 개인으로서의 시민 각자가 스스로 생각하고 자유로운 선택을 할 수 있는 존재이어야 하며, 자신이 속한 사회에 대해 비판적 성찰을 할 수 있고, 자신을 넘어서서 타인과 함께 공동선을 지향하고 실천할 수 있어야 한다는 데에 있다. 이와 같이 하여 본 논문은 김 추기경이 말한 ‘전인적 성숙을 위한 시민교육’을 아도르노의 철학적 차원과 프란치스코 교황의 영성적 차원으로 심화와 확장을 시도해 본 데에 그 의의가 있다.

    영어초록

    This paper begins with the critical awareness that a citizen’s educa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school, but should continue throughout their life. Chapter II introduces Adolf Eichmann as one of the most extreme counter-citizens in order to critically face education today. This chapter examines how, paradoxically, Eichmann fell into the inhuman barbarity of the Holocaust, although he maintained his routine and fulfilled his civil duty to uphold the law. Chapter III critically considers the problem of barbarism in education based on Adorno’s theory of education, and then examines Adorno’s concept of civil education to achieve maturity. Adorno’s definition of maturity is to create the right consciousness by becoming an autonomous subject that thinks for oneself and by practicing continuous critical reflection on the self and on society.
    Chapter IV examines the practicality of civic education for the maturity of a person as a whole in relation to the Catholic Church. This chapter introduces the life of Cardinal Kim, who, in contrast to Eichmann, achieved debarbarization and maturity as a citizen and religious leader. This chapter also examines the educational views of Pope Francis. Cardinal Kim believes that civil democracy is based on the Christian view of humanity, so that civil education for maturity should be rooted in Christian wholeness. Pope Francis also stresses that maturity requires time-consuming experience and says maturity must reach religious holiness with and beyond the ability to choose freedom and the social common good.
    Adorno, Cardinal Kim, and Pope Francis have different theoretical backgrounds, but they each emphasize clearly the educational goal of the maturity of a person as a whole. Their common vision of civic education is that each citizen should be able to think for themselves and make free choices, to reflect critically on their society, and to look beyond themselves and work toward the common good. This paper deepens and expands Cardinal Kim's concept of civic education for a whole person’s maturity into the philosophical dimension of Adorno and the spiritual dimension of Pope Franci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4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