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경기지역 조선시대 民家의 조성방식 변화에 대한 연구 -수혈・지상식 주거를 중심으로- (A Consideration on the Change of Construction Method for Private Houses in Gyeonggi-do during the Joseon Period)

3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8 최종저작일 2014.04
33P 미리보기
경기지역 조선시대 民家의 조성방식 변화에 대한 연구 -수혈・지상식 주거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중부고고학회
    · 수록지 정보 : 고고학 / 13권 / 1호 / 35 ~ 67페이지
    · 저자명 : 김용호, 이유진

    초록

    현재까지 조선시대 민가에 관련된 연구는 수혈식 주거에만 집중되어있고 지상식 주거에 대한 관심은거의 전무하다. 이에 본고에서는 굴립주식 지상주거를 포함한 경기지역 조선시대 민가의 조성방식과 내부시설을 분석하여 6가지 형식으로 분류하고 시기에 따른 구조적 변천과정을 살펴보았다.
    전기(14c후반~16c)에는 수혈식 주거(1식)와 지면식 지상주거(2A식)가 함께 나타난다. 하지만 지면식 지상주거가 수혈식을 파괴하고 조성된 경우는 확인되지만 반대의 경우는 보이지 않아 수혈식이 지면식 지상주거보다 선행하며 조성방식에 있어서는 수혈식에 비해 지면식 지상주거가 발전된 양식으로파악된다. 내부시설인 취사 및 난방시설에서는 수혈식의 경우 화덕(a식)과 구들(b식)이 나타나는데 구들에 비해 화덕시설이 압도적으로 많으며 지면식 지상주거는 구들만 설치되어있다.
    중 후기(16c후반~19세기)에 이르러서는 주생활 공간과 보조 생활공간을 뚜렷하게 구분한 지면식 지상주거와 ‘ㄱ’자형, ‘ㅡ’자형, ‘田’자형 등의 일정한 범위를 나타내는 굴립주식 지상주거(2B식)가 주를 이뤄 확인된다. 지면식 지상주거의 대표적인 평면형태는 ‘呂’자형, ‘日’자형을 띤다. 굴립주식 지상주거는칸과 칸 사이로 구들(b식)이 설치되는데 지면식 지상주거와 마찬가지로 공간을 분리한 것으로 보인다.
    종합해보면 경기지역 조선시대 민가는 수혈식+화덕(1a식) 및 수혈식+구들(1b식)에서 내부에 주혈이 설치되지 않은 형태의 지면식 지상주거(2Ab식)로 변화하고 다시 공간이 분리된 지면식 지상주거와일정한 범위에 주혈이 설치되는 굴립주식 지상주거(2Bb식)로 발전된 것으로 이해된다. 또한 내부 출토유물과 문헌 등을 고려할 때 일반 서민들 및 하층민의 주 생활공간으로 추정되며 경제력이 미천한 양반등 지배계층도 일부 포함하는 형태라고 볼 수 있겠다.

    영어초록

    This paper is the first study which analyzes the structure and internal facilities of privatehouse during Joseon period located in Gyeonggi-do area including both pit type andaboveground type and explores the structural transition process of them by time andby type classification. The trend of early and middle of Joseon period (late 14th century~ late 16th century) is that both pit type and aboveground type are found; however,the excavation results suggest that most aboveground type dwellings were built afterdestroying existing pit type dwellings. Therefore, it is judged that the pit type precedesaboveground type and aboveground type is more advanced method. Regarding cookingand heating facilities inside, pit type has brazier (type a) and hypocaust (type b); whilethe number of dwellings with brazier dominates the number of dwellings with hypocaust.
    The characteristic of ‘ground type aboveground dwelling’ is that it has hypocaust but itdoes not have column holes. According to literature, it is believed that walls were madeby earth or dried mud brick. The trend of middle and late of Joseon period (17th century~ 19th century) is that ‘aboveground dwelling with columns erected in dug ground’ (2Btype) within certain boundary such as ‘ㄱ’ type, ‘ㅡ’ type and田 ‘’ type appeared; while ‘pi ttype’ and ‘ground type aboveground dwelling’ decreased. Most dwellings are built onthe slope of hills; while drainage facility and storage pits are found nearby. Inside house,hypocaust (b type), 1 to 3 dependent on scale, is found betwee npartition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5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3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