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관계중독에 대한 자기치유 고찰 - 『관무량수경』 16관법 중 보수관(寶樹觀)을 중심으로 - (Consideration of self-healing of relationship addiction - Focusing on the meditation on the jeweled tree of the sixteen meditations of Amitābha in Amitāyur-dhyāna-Sūtra)

3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8 최종저작일 2017.08
33P 미리보기
관계중독에 대한 자기치유 고찰 - 『관무량수경』 16관법 중 보수관(寶樹觀)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불교문예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불교문예연구 / 9권 / 391 ~ 423페이지
    · 저자명 : 황선미

    초록

    본 논문은 정서ㆍ심리적 혼란과 불균형 상태인 중독의 자기치유적 관점에서 상담심리 주변 연구와 소통하며 불교의 치유적 기제(機制)를 문헌적으로 고찰하고자 했다. 『관무량수경(觀無量壽經)16관법이 의존ㆍ회피ㆍ충동의 총체인 중독의 상태에서 효과적으로 벗어나는 초월적ㆍ직관적 통일체험으로써 자기인식과 자기성장에 도움을 주는 유의미한 치유과정임을 고찰했다. 본 논문에서는 과정중독인 관계중독의 치유적 고찰을 위해 <관무량수경> 16관법 중 ‘보수관(寶樹觀=수상관(樹想觀), 나무를 관상함)’에 등장하는 보배나무의 상징성을 분석했다.
    『관무량수경』은 아직까지 폭넓게 연구되지 않은 모습이다. 『관무량수경』은 『아미타경』, 『무량수경』과 더불어 정토삼부경에 속하지만 다른 경전에 비해 사상적 담론보다는 관경변상도 등 불화에 대한 불교미술사적 연구와 정토사상을 구현한 사찰건축물 조성을 바라보는 입장에서 언급되었고, 16관법에 관한 심리치유적 담론 연구는 김용정이 1977년 『한국불교학』에서 「관무량수경의 16관법」을 주제로 근원적 종교체험으로서 관법을 다루었다. 본 논문은 『관무량수경』 16관법에 대한 선행 연구를 종합해, 관상(觀想)에 의한 인식주체와 대상의 통일체험이 중독 치유과정에서 어떤 의미를 지니는지를 분석했다. 16관법의 관상법이 현대를 살아가는 소외된 대중이 빠지기 쉬운 심리ㆍ정서적 불균형 상태를 회복할 수 있는 대안적 치유기제인 것이다.

    영어초록

    This essay considers healing mechanism of Buddhism philologically connecting with the study of counselling psychology in terms of self-healing of addiction resulting in the emotional and psychological state of confusion and imbalance. It is investigated that the sixteen meditations(vipaśyanā) of Amitābha in Amitāyur-dhyāna-Sūtra(觀無量壽經) are the meaningful healing process which helps one's self-awareness and self-growth by making it possible to experience transcendental and intuitional unity. In order to consider healing process of relationship addiction, I analyze the symbolism of the jeweled tree appearing in the meditation on the jeweled tree(寶樹觀) of the sixteen meditations of Amitābha.
    Amitāyur-dhyāna-Sūtra has not been extensively studied yet. It belongs to three principal texts of the Pure Land tradition(淨土三部經) along with Larger Sukhāvatīvyūha(無量壽經) and Amitābha-Sūtra(阿彌陀經). But it has been researched in the study of Buddhist art history about Buddhist painting like Gwangyeong-Byeonsangdo(觀經變相圖) and that of the buildings of Buddhist temple materializing the idea of the Pure Land more than in the ideological discussion as compared to the others. Kim Yong jeong dealt with meditation as a fundamental religious experience in his essay, ""the sixteen meditations of Amitābha in Amitāyur-dhyāna-Sūtra"",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for Buddhist Studies in 1977, which is the study of the sixteen meditations in respect of the discourse on psychological healing.
    Taking preceding research into consideration, I analyze here what the united experience of cognitive subject and object means in the healing process of addiction. The approach of contemplation(觀想法) of the sixteen meditations of Amitābha can be the alternative healing mechanism to recover from the emotional and psychological state of imbalance which isolated people in modern society are liable to get themselves into.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불교문예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20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4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