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현존 개보장본(開寶藏本) 잡아함경 제30권의 원문 고찰 (A review of the 30 volumes of Kaibao Tripitaka(開寶藏本) Saṃyuktāgama(雜阿含經) currently preserved in the original text)

2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8 최종저작일 2024.06
24P 미리보기
현존 개보장본(開寶藏本)   잡아함경   제30권의 원문 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동아시아불교문화 / 63호 / 131 ~ 154페이지
    · 저자명 : 석혜영

    초록

    본 논문에서는 현존하는 개보장본(開寶藏本) 가운데서도 중국 국가도서관 소장의 잡아함경(雜阿含經) 제30권의 원문 구성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으며, 현재 원형을 갖추고 있는 10개의 잔편(殘編)들을 고려대장경 재조장본(再雕藏本)과의 대조를 통해 그 차이점과 제현상을 파악하는 데에 목적을 두었다. 이와 더불어 고려대장경 초조장본(初雕藏本)과 재조장본(이하는 ‘초․재조장본’으로 표기함) 잡아함경 제30권의 원문을 대조한 결과 또한 함께 제시하였다.
    해당 자료의 원문이미지는 현재 경북대학교 중앙도서관에 소장된 현존 개보장본의 영인본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초조장본은 일본 남선사(南禪寺) 소장본을, 재조장본은 동국대학교 불교학술원 통합대장경 데이터베이스의 원문을 바탕으로 하였다. 고려대장경 초․재조장본 간 대조의 기준은 재조장본으로 삼았다.
    결과적으로 현존 개보장본 잡아함경 제30권은 9개의 잔본(殘本)과 간기(刊記)부분을 포함하여(사이지 미상) 총10개로 구성되어져 있음을 확인하였고, 현 상태를 구성하고 있는 원문들은 제30권의 내용이 3장, 제40권이 3장, 제35권이 1장, 제44권이 1장, 불설성법인경(佛說聖法印經) 1장을 포함하여 인출기록 등이 수록된 간기 1장이 합철(合綴)되었음을 밝혔다.
    한편 고려대장경 초․재조장본간의 대조에서는 1) 자(字)의 추가(追加), 탈락(脫落), 이자(異字), 피휘(避諱)가 제4장, 12장, 16장, 24장에서 총 9회, 2) 자의 이동(移動)이 제4장, 14장, 15장, 24장에서 확인되었다. 3) 자의 탈획(脫劃)의 용례는 제21장에서 총1회 나타났다.
    이 연구는 기존 연구에서 대략적으로 알려져 있던 사항들을 더욱 구체화하여 제시함으로써, 개보장본과 고려대장경 초․재조장본 간의 비교 연구에 보탬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영어초록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text composition of Volume 30 of the Saṃyuktāgama (雜阿含經) in the Kaibao Tripitaka (開寶藏本), particularly focusing on the edition held by the National Library of China. The objective is to understand its actual state by comparing the 10 existing fragments with the re-carved edition (再雕藏本) of the Goryeo Tripitaka. Additionally, the study presents the results of a comparison between the original texts of Volume 30 of the Saṃyuktāgama in the first carved edition (初雕藏本) and the re-carved edition of the Goryeo Tripitaka.
    The images of the original texts used in this study are facsimiles of the existing Kaibao Tripitaka held at the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Central Library. The first carved edition was based on the edition held at Nansen-ji (南禪寺) in Japan, and the re-carved edition was based on the original texts from the Digital Database of the Goryeo Tripitaka at Dongguk University's Buddhist Studies Institute. The re-carved edition was used as the standard for comparison between the first and re-carved editions of the Goryeo Tripitaka.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 existing Kaibao Tripitaka Saṃyuktāgama Volume 30 consists of a total of 10 fragments, including 9 remnants and a colophon. The original texts in their current state comprise 3 folios from Volume 30, 3 folios from Volume 40, 1 folio from Volume 35, 1 folio from Volume 44, 1 folio from the Buddha Pronounces the Sūtra of the Sacred Dharma Seal (佛說聖法印經), and 1 colophon containing printing records.
    In the comparison between the first carved edition and the re-carved edition of the Goryeo Tripitaka, the following results were found: Addition, omission, variant characters, and avoidance of taboo characters (避諱) occurred a total of 9 times in chapters 4, 12, 16, and 24. The movement of characters was identified in chapters 4, 14, 15, and 24. Examples of character strokes being omitted and supplemented in ink appeared once in chapter 21.
    This study aims to contribute to the comparative research on the Kaibao Tripitaka and the first and re-carved editions of the Goryeo Tripitaka by providing a more detailed account of previously partially known issu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아시아불교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콘크리트 마켓 시사회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2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5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