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9세기 말 高宗代 李奎承의 望京庵 重修에 관한 고찰 (In the late 19th, consideration about the repair of Mangkyung-am Temple by Lee Gyu Seung)

3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8 최종저작일 2017.11
31P 미리보기
19세기 말 高宗代 李奎承의 望京庵 重修에 관한 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역사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지방사와 지방문화 / 20권 / 2호 / 37 ~ 67페이지
    · 저자명 : 김엘리

    초록

    본고는 망경암에 대한 기존의 견해를 역사적 사실에 근거하여 재고하고, 망경암 조성에 관하여 고찰하였다. 경기도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어 있는 망경암마애여래좌상 주변에 각자된 명문을 분석하고, 망경암칠성대중수비와 망경암소비의 비문을 살펴 망경암에 관한 역사적 사실을 조명하고자 하였다.
    먼저 망경암을 왕실 주도의 원찰로 보고, 고려 말에서 조선 초에 이르기까지 왕들이 친히 행차하여 제의하였다는 견해를 재고하였다. 이 같은 의견은 망경암칠성대중수비의 명문과 망경암칠성대 각자를 바탕으로 한 것이다. 중수비의 명문에 따라 망경암의 조성시기를 고려시대까지 소급할 수도 있겠으나, 문헌상에 확인된 바는 없다. 따라서 왕들이 친히 제의를 행한 암자로 보기는 어렵고, 원찰의 기능을 했던 망경암 인근 봉국사의 영향으로 형성된 설화가 전승된 것이라고 추정된다.
    망경암 칠성대 명문에 조선전기 인물인 평원대군과 제안대군이 각자되어 있고, 왕과 왕실의 일원이 각자되어 있어 망경암이 왕실주도의 사찰로 인식되어 왔다. 그러나 소비와 중수비의 명문 분석을 통해 이 각자를 새긴 주체는 왕실이 아닌 망경암 조성자 이규승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칠성대 명문의 내용을 분석한 결과 19세기 말 고종대 일정기간동안 각자되었으며, 대한제국 이전과 이후 두 차례 이상 시간차를 두고 조성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망경암과 칠성대를 조성한 이규승은 칠성신앙과 불교를 바탕으로 왕실을 축원하고, 개인적인 구복행위를 하였다. 이러한 제의행위는 평원대군과 제안대군의 祀孫으로 정해진 1872년경부터 시작되었다고 추정되며, 망경암 칠성대각자도 이 무렵부터 각석되었다고 짐작된다. 망경암칠성대에서 이루어진 제의행위를 배경으로 이규승은 관료로 진출하게 되었고, 그의 아들 이용호에까지 영향을 미쳤으며, 영락했던 그의 집안이 경성 부호라는 칭호를 얻을 정도로 번성할 수 있었다.
    망경암은 이규승 개인의 염원과 더불어 19세기 말 고종대의 역사가 투영되어 있다. 따라서 망경암에 관한 역사적 사실관계를 논의함으로써 망경암의 문화재적 가치를 높이는 계기가 되었을 것으로 사료된다.

    영어초록

    This thesis reconsiderated the previous opinions about Mangkyung-am Temple based on the historical facts and studied building up Mangkyung-am Temple. This thesis analyzed the inscription on Mangkyung-am-ma-ae-yeolae seated statue, which was designated as intangible cultural asset, then illuminated the historical facts about Mangkyung-am Temple, with the epitaph on Mangkyung-am Chilsung-dae- jungsu stele and Mangkyung-am-so stele.
    First, I regard Mangkyung-am Temple as the royal temple and reconsiderated the opinion that Kings from the end of Goryeo Dynastyto the early Joseon Dynasty visited and ancestral rites personally. This opinion is based on the epitaph of Mangkyung-am Chilsung-dae-jungsu stele and the inscription of Mangkyung-am-so stele built by LeeGyuseung. The period of making Mangkyung-am Temple can be hold to be the Goryeo Dynasty but it isn’t sure. So, this hermitage cannot be the place the kings performed ancestral rites personally, and it is presumed that the tale was handed down by Boungguksa Temple around Mangkyung-am Temple.
    The epitaph has the names of Pyungwondaegun and Jaeandaegun who were figures during the early days of the Joseon Dynasty, because there were also the members’names of royal family. That’s the reason Mangkyung-am Temple has been regarded as the royal family’s. But through the analysis of the inscription on them, the main agent of Mangkyung-am Temple is LeeGyuseung not the royal family. Besides, the result of the analysis tells this inscription was made during Gojongdae in the late 19th and that it was made in twice on different timetables.
    LeeGyuseung prayed personal subsistence and the royal family based on Chilsung religious belief and Buddhism. His action of memorial service was begun since 1872 when Pyungwondaegun and Jaeandaegun were appointed Sasuon, which means people should hold a memorial service for their ancestors, the epitaph of Mangkyung-am Chilsung-dae-jungsu stele is estimated at those days. This proved by the part it was 20 years when LeeGyuseung prayed for good fortune at the inscription of Sobi in 1893.
    Due to this action of memorial service at Mangkyung-am Chilsung-dae, LeeGyuseung launched into politics and it affected his son, LeeYoungho, his poor family got to be rich. Mangkyung-am Temple by personal wish and the history of Gojongdae in the late 19th. Therefore, the cultural assets value of Mangkyung-am Temple is improved since the historical fact relation about Mangkyung-am Temple has been discuss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지방사와 지방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2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01 오후